사랑이 세상을 아름답게 한다
세상 사는 것은 사랑이다
세상에 태어난 유명한 베스터 셀러는 사랑을 주제로 한다
사랑이 무엇일까?
월인천강
왕비를 사랑한 세종왕.
세종은 아내 소헌왕후를 존중하여 아내가 올 때마다 반드시 일어나 예를 갖춰 맞이했다.
태종의 아들 성군 세종은 청송심씨 심온의 딸
소현왕후(함창김씨 김택의 외고조손녀) 를 맞아들었다
하지만 아버지 태종은 며느리의 친정 식구들을 역모로 몰아 도륙을 냈다.
아내는 두 아들의 잇단 죽음으로 상심하여 시름시름 앓다가 명을 달리한다.
아내가 죽자 세종은 그 옆에 자신의 묫자리도 만들어 나중에 함께 묻힌다(여주 영릉).
조선왕조은 정치를 바로 잡기 위해 아픔이 너무 컸다
명문가 여흥 민씨 가문의 수장 민제(閔霽)의 4남 4녀 중 셋째로 태어난 원경왕후.
영흥 민씨 가문에 원경왕후(태종의 비), 인현왕후(숙종의 계비), 명성왕후(고종의 정비)
드라마틱한 삶을 살았던 조선의 왕비로 평가받는다.
원경왕후는 태종이 왕권을 차지하는데 1등 공신이자 여걸이었다.
세종대왕이 성군으로 빛나게 살게 기반을 다진 어머니이다
정도전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동생들을 동원해 정보를 수집하거나,
무기를 숨겨놓고 결정적 순간에 남편에게 갑옷을 입혀 출전을 독려한 것은 유명한 일화다.
태종의 바람기는 특출났다. 후궁을 19명이나 두었고 조강지처의 여종까지 취했다.
내서사 이지직과 좌정언 전가식이 올린 상소문 중에
"전하께서는 성색(聲色·놀이와 여색)을 즐겨 하심이 여전하다"
아이러니한 점은 태종과 원경왕후가 여자 문제로 다퉜지만 '금슬'이 썩 나쁘지만은 않았다. 실제로 태종과 원경왕후는 슬하에 8남 4녀(4명은 요절)를 두었다.
원경왕후는 만47세인 1412년(태종 12년)에 마지막 왕자(요절)를 낳기도 했다.
이는 동생인 민무구·민무질 형제가 비명횡사한 지 2년여 뒤의 일이다.
권력은 냉혹한 현실이다. 태종은 보위(寶位)에 오른 뒤 처가를 도륙했다.
자신을 위해 선봉에 섰던 처남 민무구·민무질 형제를 귀양 보낸 뒤 사약을 내렸다.
그 아랫 동생들인 민무휼·민무회도 유배 보낸 뒤 교수형에 처했다.
외척의 발호는 태종의 경계 대상이었다. 처가의 권력 팽창은 왕권의 약화를 의미했다.
그 정점에 원경왕후가 있었다.
드라마에도 나오듯이 태종은 원경왕후와 처가의 도움이 없었으면 대권을 잡기 어려웠다.
태종은 앞서 정도전의 '재상정치론'에 반발해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킨 바 있다.
태종이 처가와 며느리 집안을 '멸문지화'(滅門之禍)에 몰아넣으면서까지
정권의 기반을 다져놓았기에 성군(聖君) 세종대왕이 등장해 태평성대를 구가할 수 있었다
태종은 당대에 '비정한 군주'라는 오명을 무릅쓰고 왕권과 후대를 위해
'외척 리스크'를 제거한 것이다.
정치는 바로 잡는 것으로 아픔이 있었다
세종은 아내의 명복을 빌기 위해 한글로 된 찬불가를 직접 짓는다.
‘월인천강지곡’.
부처의 지혜가 ‘달(月)이 천 개의 강(千江)을 비추는(印) 것과 같다’
어디 천 개의 강뿐이겠는가. 모든 존재는 혼자가 아니라 서로 이어져 있다는
부처의 지혜는 하늘에 떠 있는 달뿐만 아니라 강에 비친 ‘달그림자’도 안다.
그림자는 물체에 빛을 비추면 생기는 검은 그늘이다.
천연색의 입체를 무채색의 평면으로 모두 바꾼다.
아무리 잘 빼입고 단장을 해도 소용이 없다.
뙤약볕 아래라면 검게 이글거리지만 흐린 날엔 같이 흐릿해지고 깜깜밤중엔 사라진다.
하지만 ‘달그림자’는 달의 그림자가 아니다!
달을 비추는 빛이 없는데 그림자가 생길 리 없다.
그런데도 그림자라고 하니 이상도 하지.
‘달그림자’는 ‘물’을 만나 ‘그림자’란 낱말의 뜻을 비틀어 버렸다.
거울에 비친 얼굴처럼, 그건 달을 요약한 실루엣이 아니라 은빛 달을 그대로 보여준다.
출렁이는 물에 어른거리는 달의 얼굴.
오늘 아침에
교훈적인 고사성어 복차지계(覆車之械)가 생각난다!
역사에서 배움을 얻지 못하는 민족은 희망이 없다고 했다.
앞의 수레가 넘어져 엎어지는 것을 보고,
뒤의 수레는 미리 경계 한다는 복차지계(覆車之戒)
뜻으로 앞 사람의 실패를 거울삼아 뒷사람은 실패하지 말라는
훈계의 말을 우리는 깊이 명심해야한다!
1934년 1월 17일자 일본 일간 시사신보에
‘반초카이(番町會)를 폭로한다’라는 제목의 기사가 대서특필됐다.
도쿄주식거래소 이사장과 일본상공회의소 소장을 지낸 고세이 노스케를 중심으로 한
기업인 모임인 반초카이가 당시 일본 상공대신, 철도대신과 결탁해
섬유회사 제국인견의 주가를 조작해 큰 이익을 봤다는 내용이었다.
사이토 마코토 내각이 총사퇴하는 등 정경유착 스캔들이 미친 후폭풍은 거셌다.
후일 일본최고재판소장이 되는 이시다 가즈토 판사가 사건 관계자 16명 전원에게
무죄 판결을 내린 것.
정상적인 주식 거래가 있었을 뿐 범죄의 흔적은 어디에도 없었지만
‘썩어빠진 정·재계를 바로잡고 국가를 혁신하겠다’던 검찰은 고문도 마다하지 않고
‘허위 자백’을 받았다.
이런 문제점을 간파한 이시다 판사는
“물속의 달그림자를 잡으려 하는 것과 같다”는 판결문을 남겼다.
“호수 위에 떠 있는 달그림자를 쫓는 듯한 느낌”이라고 말했다.
평소 투박하고 직설적인 화법을 애용하는 윤 대통령이 이례적으로
시적인 비유를 들었기에 주목받았다.
검찰총장까지 지낸 법조인 출신으로 ‘내란은 실체 없는 허상’이라거나
‘여론에 휘둘리지 말고 법리에 근거해 판결해달라’는 심경을
일본 사법사의 한 장면을 빌려 전한 게 아닌가 싶다.
아내를 사랑한 대통령.
쿠데타로 나라가 수렁에 빠져 있는데 그는 사람들이 호수 위에 떠 있는
달그림자를 쫓는 듯하다고 한다.
얄궂게도 저 괴물의 말을 들으며 왜 천 개의 강을 비추는 달의 자비가 생각나는지.
호수 위의 달그림자는 허망하지 않다. 쫓아가야 할 지혜다.
달 그림자는 사랑을 흘러 보낸다
정치는 따뜻한 섬김과 사랑을 흘러 보내는 것이다
세상이 사랑으로 향기롭다
사랑이 머물다 간 자리는 아름답다
향기롭다
우리 모두 사랑을 흘러 보내어라
세상이 아름다우리라
향기로우리라
서로 사랑하라
겸손과 온유로 오래 참음으로
사랑 가운데서 서로 용납하고 평안을 매는 줄로 사랑을 힘써 지켜라(에베소서4:2~3)
삶은 참고, 기다리고, 견디는 것이다
삶은 겸손과 온유로 오래 참는 것이다
삶은 함께 어울려, 세우고, 섬기고, 사랑으로 존경하고, 존중하며 아름다워 지는 것이다
서로 용납하고 평안의 줄로 사랑을 힘써 지키는 것이다
진실한 삶은 사랑의 삶이다
나이 팔십이 되어 삶의 굽이굽이 힘들어지만 바르게 살았더니
아름다운 삶을 노래를 불러본다.
참 사랑은 진실한 삶이라는 진리를 알아야 한다
우리 현대사에서도 대통령의 처가는 정권의 위기를 불러오는 위험 요소이자,
좀처럼 풀기 어려운 난제였다.
전두환 전 대통령이 그랬고, 윤석열 대통령도 부인과 처가 문제에 발목이 잡혀
막다른 골목으로 내몰린 처지가 돼버렸다.
진실한 삶을 위해 참되게 살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