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산업 (025560) 경영진 교체 및 신사업 진출 기대감 등에 급등
▷전일 의안확정에 따른 주주총회소집결의 정정 공시. 다음달 13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신규경영진 선임 및 향후 진행할 신사업 관련 정관변경에 대한 안건들을 다룰 예정으로, 이번 주총을 통해 추가하는 사업목적은 전기자동차, 도시광산업, ESS,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 이차전지 소재의 제조 및 판매업 및 폐기물·AI의료 솔루션·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등임.
▷이와 관련, 동사는 "신사업 진출과 사업다각화를 위해 미리 사업목적을 추가하기로 했다"며, "전문경영진 선임을 통해 투명경영과 경영효율성을 높이고, 관계사들과의 전략적인 협력을 기반으로 사업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효과적인 사업다각화를 진행해 나가겠다"고 밝힘.
JW중외제약 (001060) 영업실적 개선 추세 지속 전망 등에 상승
▷상상인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실적은 매출액 1,874억원(YoY +13.6%), 영업이익 150억원(YoY +59.5%)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엔데믹 효과로 2분기 영업실적 고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핵심 고마진 제품인 리베로가 복합제 리베로젯 중심으로 고성장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주력 품목인 리바로/수액제 고성장 속 하반기에는 신제품 등이 매출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 하반기 단백질 함량을 높인 위너프에이플러스를 출시할 예정이며, 5월부터 혈우병치료제 헴리브라가 비항체군까지 보험적용, 하반기 매출(2023년 100억원 수준)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3,000원 -> 35,000원[상향]
SG (255220) 정부, 폐자원 재활용 순환경제 프로젝트 추진 소식 속 친환경 슬래그 아스콘 공급 사실 부각 등에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철강, 배터리 등에서 나오는 부산물로 폐자원을 재활용하는 순환경제 9대 선도 프로젝트 선정해 ‘CE(순환경제) 9 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한 가운데, 동사가 친환경 슬래그 아스콘을 만들어 공급한 사실이 부각되는 모습. 동사는 지난해 10월 취득한 ‘제강슬래그 골재 특성을 활용한 아스팔트 도로포장공법’으로 국내 한 물류센터 도로포장에 공급 중인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제강슬래그 골재 특성상 고강도 도로를 만들 수 있다”며 “물류센터의 경우 하중이 큰 차량 이동이 많아 일반 아스콘보다 높은 강도의 아스콘이 필요하다”고 밝힘. 이어 “물류센터 이외에도 항만, 부두 인접 도로, 버스전용차로 등 대형 차량이 주로 오가는 도로부터 아스콘이 쓰이고 있다”며 “향후 일반도로에 사용되는 아스콘도 대체할 수 있을 거로 본다”고 설명.
지오릿에너지 (270520) 엑스트라릿, 배터리 등급 리튬 추출 글로벌 테스트 실시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4월 지분을 취득한 이스라엘의 엑스트라릿이 하반기 중 이스라엘, 요르단, 터키, 캐나다, 미국 등에서 파일럿 플랜트 테스트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힘. 계획은 5~10kg의 배터리 등급의 탄산 리튬을 제조하는 능력 시연이 포함됐음.
▷엑스트라릿은 지난 4월 이스라엘 에너지부로부터 직접리튬추출(DLE) 기술을 인정받아 100만 달러의 보조금을 지원 받았으며, 보조금은 오는 9월 가동을 목표로 이스라엘 사해에 설치되는 파일럿 플랜트 건설에 사용될 예정. 또한, 오는 7월 요르단 마그네시아 지역의 파일럿 플랜트도 가동될 예정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현재 미국 지열발전소 인수를 위해 실사를 진행 중"이라며, "지열발전소 인수가 완료되면 엑스트라릿 기술을 적용한 파일럿 플랜트를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힘.
▷한편, 동사는 지난 4월 리튬사업 전략적 제휴를 통한 사업확장을 목적으로 XtraLit Ltd. 주식 750,000주를 194.31억원에 신규 취득키로 결정한 바 있음. 취득후 지분비율은 29.88%임.
라이콤 (388790) 세계 최대 규모 레이저산업 전시회 참가 속 유럽 자율주행 시장 진출 추진 소식에 급등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유럽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 레이저산업 전시회 중 하나인 '레이저 월드 오브 포토닉스(LASER World of PHOTONICS)'에 참가한다고 밝힘. 최근 테슬라 파트너사인 미국의 L사에 자체 개발 자율주행 라이다 레이저의 테스트용 초도물량을 납품한 데 이어 이번 전시회 참가를 통해 유럽 자율주행 시장 진출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펄스드 파이버 레이저는 동사가 국내 기업 최초로 자율주행용 라이다 레이저 센서로 상용화한 제품"이라며, "최근 글로벌 선두 자율주행 라이다 기업을 통해 북미 시장에 테스트 초도 물량을 공급했으며, 자율주행 분야 적용 확대를 위해 유럽의 라이다 기업들에게도 관련 제품을 적극 홍보하고 새로운 고객사를 발굴할 예정"이라고 밝힘. 이어 "이번 전시회를 기점으로 유럽의 여러 자율주행 라이다 기업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라며, "자율주행 뿐 아니라 보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 동사의 레이저 관련 기술이 유럽에서 확산될 수 있도록 비즈니스 파트너링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임.
현대이지웰 (090850) 저평가 분석 등에 강세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컨센서스 매출액은 1,291억원, 영업이익은 218억원, 순이익은 181억원으로 P/E 9.5배 수준이라며, 컨센서스 기준 밸류에이션 최하단 위치에 있다고 분석. 18년 매출액 730억원에서 지난해 매출액 1,124억원으로 역성장 없이 꾸준히 성장했음에도 현재 밸류에이션은 P/E 밴드 최하단 수준이라고 설명.
▷아울러 사무기기 같은 총무성 비용과 관련한 사업으로 사업영역 확장중이며, 경조화한, EAP, 상조, 웨딩 등 분야 확대에 따른 매출 확대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 인수한 벤디스의 경우, 월 거래액 150 ~ 160억원 정도가 BEP 달성 금액으로 23년말쯤이면 BEP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
보로노이 (310210) 비소세포폐 암 치료제 등 주요 파이프라인 기대감 등에 강세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상장 이전부터 다수의 물질을 글로벌 제약사에 기술 수출한 바 있으며, 전임상 단계에서 수출된 만큼 계약의 규모는 크지 않으나, 성장성 및 추후 유입될 마일스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 가장 앞선 개발단계에 위치한 파이프라인은 미국 Oric사에 수출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VRN07으로, 현재 임상 1상이 진행 중이며 2023년 하반기 중 예정된 학회에서 임상 중간결과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고 밝힘.
▷아울러 가장 주요한 파이프라인인 VRN11은 변이 및 내성 발생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 중이라고 밝힘. 연내 아시아 임상 1상 IND가 예정되어 있으며, 하반기 중 학회에서 전임상 효력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 특히, 긍정적인 효력 결과를 예상하며 주가 상승의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원익QnC (074600) 실적 안정성 확보 및 고성장 전망 등에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자회사 모멘티브의 제품 가격 상승으로 실적 호조가 지속됐고, 국내외 반도체 장비 업체 및 비메모리向 쿼츠 매출 확대로 실적 체력을 확보했다고 밝힘. 또한, 소부장 반도체 업체 內 안정적 실적 성장이 가능한 업체로 도약했다며, 과거와 달리 비메모리向 쿼츠 매출 비중은 약 20%까지 늘어나며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성공한 점이 밸류에이션 리리에팅(PER↑)이 기대되는 이유라고 밝힘.
▷아울러 2023년 안정적 실적을 기반으로 2024년 고성장이 기대된다며, 수요 회복시 성장은 더욱 가속화 될 수 밖에 없다고 언급. 또한, 자회사와의 시너지를 통한 수직 계열화 성공도 주목할 포인트라고 설명.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0,000원 -> 43,000원[상향]
지더블유바이텍 (036180) 美 디스커버리 라이프 사이언스 제품 독점 브랜드 계약 체결 소식 등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바이오 시료 및 바이오 마커 전문 기업 디스커버리 라이프 사이언스(Discovery Life Sciences)와 Gentest ADME/Tox 제품 국내시장 공급을 위한 독점 브랜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을 통해 동사는 국내 신약 연구 및 개발 분야에 더욱 진보된 비 임상 시험과 관련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며, 또 약물 대사 및 독성 연구 분야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 향상도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
▷동사 관계자는 "이번 계약 체결은 디스커버리의 국내시장 진출에 있 어 중요한 이정표"라며, "자사는 국내에서 30년 이상의 경험과 노하우가 축적된 바이오 생명과학 기업으로 이번 계약을 통해 Gentest ADME/Tox 제품을 국내 고객에게 보다 광범위하고 전략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고바이오랩 (348150)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간손상 치료 소재 관련 日 특허 등록 소식에 상승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간손상 치료 소재에 대한 일본특허가 등록되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자체 보유한 루미노코쿠스(Ruminococcus spp.) 속기능성 균주를 활용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가지는 환자의 간 손상 개선 효과를 확인했고, 해당 조성물은 혈중 ALT, AST농도를 감소시키고 맹장 내 2차 담즙산 농도를 증가시키며 섬유성 유전자 발현을 크게 감소시켰다고 설명.
▷동사 관계자는 "본 소재는 동사의 대사 질환 파이프라인에 대한 글로벌 권리 확보에 있어 중요한 치료제 후보"라며 "향후 NALFD 치료제 개 발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밝힘.
알에스오토메이션 (140670) 중기부 강소기업 100 과제 선정 속 협동로봇용 스마트 액추에이터 국산화 도전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 강소기업 100으로 선정됐다고 밝힘. 과제명은 '정전용량식 엔코더를 활용한 로봇용 서보모터의 구동모듈 개발'로 충남대와 서울대가 위탁연구개발기관으로 함께 참여하며, 동사는 이번 과제로 로봇 제어 핵심 기술을 집적해 엔코더, 드라이브, 모터 및 자체 알고리즘을 탑재한 일체형 구동모듈(스마트 액추에이터)을 개발할 예정.
▷특히, 세계 최초로 정전용량식 엔코더를 활용해 진동과 온도 등 외부 환경에 강하고, 고성능 스마트 서보제어 방법을 적용해 초소형화, 자가화, 고신뢰성화를 실현한다는 계획임.
▷강덕현 대표는 "최근 글로벌 경제의 저성장 위기 속에 로봇의 핵심모듈 국책과제로 국내 로봇 및 자동화 업계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며, "정전용량식 엔코더를 활용하면 향후 휴머노이드 웨어러블 등의 분야에서 전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국내로봇 업계에서 큰 기대와 관심을 갖고 있다"고 밝힘.
에이트원 (230980) 선문대 AI 학사정보 시스템 개발 수주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선문대학교의 ‘학생 친화적 AI 학사정보 시스템 개발’ 사업을 수주하고 웹3.0 전문기업으로 도약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밝힘.
▷이번 학사정보시스템 개선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선문대 학사 운영의 효율성과 사용자 편의성이 동시에 증진되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수강 시간표 데이터 수집 후 학생별 가이드정의 및 설계, 사용자별 로그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규 AI 메뉴 시스템 구축, 인공지능 빅데이터 활용한 학생 중도 이탈 예방 기능 등 최신 기술들이 적용될 예정임.
▷이진엽 대표는 "이번 선문대 프로젝트 수주를 시작으로 2조원 디지털 학사시스템 시장에 과감히 도전해 디지털 전환 분야의 시스템 통합 역량강화와 더불어 지속적인 매출성장을 이어 나가겠다"고 밝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