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경제전망 | 수정, 2024년 8월
2024.08.08
2024년 8월 2024 상반기 2024년 2월 2023 하반기 2023년 8월 2023 상반기 2023년 2월 2022 하반기 2022 상반기 2021 하반기 2021 상반기 2020 하반기 2020 상반기 Update 2020 상반기 2019 하반기 2019 상반기 2018 하반기 2018 상반기 2017 하반기 2017 상반기 2016 하반기 2016 상반기 2015 하반기 2015 상반기 2014-2nd 2014-1st 2013-2nd 2013-1st 2012-2nd 2012-1st Update 2012-1st 2011-2nd 2011-1st 2010-2nd 2010-1st 2009-2nd 2009-1st Update 2009-1st 2008-2nd Update 2008-2nd 2008-1st 2007-2nd 2007-1st 2006年 4/4 2006年 3/4 2006年 2/4 2006年 1/4 2005年 4/4 2005年 3/4 2005年 2/4 2005年 1/4 2004年 4/4 2004年 2/4 2004年 1/4 2003年 4/4 2003年 3/4 2003年 2/4 2003年 1/4 2002年 4/4 2002年 3/4 2002年 2/4 2002年 1/4 2001年 4/4 2001年 3/4 2001年 2/4 2001年 1/4 2000年 4/4 2000年 3/4 2000年 2/4 2000年 1/4 1999年 4/4 1999年 3/4 1999年 2/4 1999年 1/4 1998年 4/4 1998年 3/4 1998年 2/4 1998年 1/4 1997年 3/4 1997年 2/4 1997年 1/4 1996年 4/4 1996年 3/4 1996年 2/4 1996年 1/4 1995年 4/4 1995年 2/4 1995年 3/4 1995年 1/4 1992年 4/4 1992年 2/4 1992年 1/4 1991年 4/4 1991年 3/4 1991年 2/4 1991年 1/4 1990年 3/4 1990年 2/4 1990年 1/4 1989年 4/4 1989年 3/4 1989年 2/4 1989年 1/4 1988年 4/4 1988年 3/4 1988年 2/4 1988年 1/4 1987年 4/4 1987年 2/4·3/4 1987年 1/4 1986年 4/4 1986年 3/4 1986年 2/4 1986年 1/4 1985年 3/4 1985年 2/4 1985年 1/4 1984年 4/4 1984年 3/4 1984年 2/4 1984年 1/4 1983年 4/4 1983年 3/4 1983年 2/4 1983年 1/4 1982年 4/4 1982年 3/4 1982年 2/4
원문 다운로드
네이버블로그페이스북프린트URL 복사크게보기작게보기
수출 증가세는 확대되는 반면, 민간소비와 설비투자의 회복은 지연되면서 2024년 경제성장률은 기존 전망(2.6%)보다 낮은 2.5%로 전망됨.
- 민간소비는 고금리 기조 장기화를 반영하여 기존 전망(1.8%)보다 낮은 1.5%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설비투자는 반도체경기 호조세가 투자로 이어지지 못함에 따라 기존 전망(2.2%)보다 크게 낮은 0.4% 증가할 것으로 예상
- 건설투자는 부동산PF 부실의 파급이 제한적인 수준에 그치며 기존 전망(-1.4%)에 비해 감소폭(-0.4%)이 축소될 것으로 전망
- 총수출은 반도체경기가 기존 예상을 크게 상회하는 호조세를 보임에 따라 기존 전망(5.6%)보다 높은 7.0% 증가할 것으로 전망
- 경상수지는 기존 전망(703억 달러)보다 흑자폭이 확대된 770억달러를 기록할 전망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내수 부진과 국제유가 하향 조정을 반영하여 기존 전망(2.6%) 보다 낮은 2.4%로 전망
- 내수 부진을 반영하여 취업자 수 증가폭을 24만명에서 20만명으로 하향 조정
Ⅰ. 현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
- □ 최근 우리 경제는 1/4분기에 이례적으로 높았던 성장세가 내수를 중심으로 조정되는 모습
- · 2/4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증가세(3.3% → 2.3%)가 큰 폭으로 둔화되었으며, 전기 대비로는 -0.2%의 역성장을 기록
- ·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민간소비가 상품소비를 중심으로 낮은 증가세에 그친 가운데, 투자도 둔화되는 등 내수는 부진한 모습
- · 내수 부진이 파급됨에 따라 물가상승세가 둔화되고, 취업자 수 증가폭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축소
- · 반면,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은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였으며, 수출 개선과 내수 부진의 영향으로 경상수지는 대규모 흑자 추세를 지속
- □ 향후 우리 경제를 둘러싼 대외 여건을 보면, 2024년 세계경제는 완만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반도체경기에 대한 긍정적 시각이 강화됨.
- · 최근 메모리를 중심으로 반도체 거래액 전망치가 대폭 상향 조정됨.
- · 한편, 최근 중국과 미국의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 등으로 주요국의 주식가격이 급등락 하는 가운데 국제유가는 하락
- □ 이러한 대내외 여건을 고려할 때, 우리 경제는 기존 전망에 비해 수출 증가세는 확대되겠으나, 내수는 미약한 수준에 그치면서 경기 회복이 다소 지연될 것으로 전망
- · 2024년 경제성장률은 5월 KDI 경제전망(2.6%)을 소폭 하회하는 2.5%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 · 부문별로는 수출 증가율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기존 전망을 상회하겠으나, 민간소비와 설비투자를 중심으로 내수 증가세는 기존 전망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됨.
- · 내수 전망이 하향 조정됨에 따라 물가상승률과 취업자 수 증가폭도 하향 조정
-
Ⅱ. 2024~25년 국내경제 전망
1. 대외여건에 대한 주요 전제
- □ 2024~25년 세계경제는 2023년에 이어 완만한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제
- · 최근 IMF는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2024년 세계 경제성장률을 0.2%p 상향 조정한 3.1%로 전망
- · 2024년 글로벌 메모리반도체 거래액은 기존 전제(44.8%)를 크게 상회하는 76.8% 증가할 것으로 전제
- □ 최근 중국과 미국의 경기둔화 우려에 따른 유가 하락을 반영하여 2024년의 원유 도입 단가를 하향 조정함.
- · 2024년(배럴당 85달러 → 82달러)의 원유 도입단가(두바이유 기준)를 기존 전제보다 소폭 하향 조정하였으며, 2025년 유가(배럴당 82달러)는 기존 전제를 유지
- □ 실질실효환율로 평가한 원화가치는 최근 수준에서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전제
2. 2024~25년 국내경제 전망
- □ 기존 전망에 비해 수출 증가세는 확대되는 반면, 민간소비와 설비투자의 회복은 지연되면서 2024년 경제성장률은 기존 전망(2.6%)보다 낮은 2.5%로 전망됨.
- · 민간소비는 고금리 기조 장기화를 반영하여 기존 전망(1.8%)보다 낮은 1.5% 증가할 것으로 전망
- · 설비투자는 반도체경기 호조세가 투자로 이어지지 못함에 따라 기존 전망(2.2%)보다 크게 낮은 0.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건설투자는 부동산PF 부실의 파급이 제한적인 수준에 그치며 기존 전망(-1.4%)에 비해 감소폭(-0.4%)이 축소될 것으로 전망
- · 총수출은 반도체경기가 기존 예상을 크게 상회하는 호조세를 보임에 따라 기존 전망(5.6%)보다 높은 7.0% 증가할 것으로 전망
- · 수출 전망치는 상향 조정된 반면, 내수는 하향 조정되면서 경상수지는 기존 전망(703억 달러)보다 흑자폭이 확대된 770억달러를 기록할 전망
- · 한편, 2025년 경제성장률은 기존 전망(2.1%)과 유사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내수 증가세 둔화를 반영하여 기존 전망(2.6%)보다 소폭 낮은 2.5%로 전망
- ·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상승률도 기존 전망(2.3%)보다 낮은 2.2%로 전망
-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내수 부진과 국제유가 하향 조정을 반영하여 기존 전망(2.6%) 보다 낮은 2.4%로 전망
- · 실업률도 기존 전망과 동일한 3.0%로 전망
- □ 내수 부진을 반영하여 취업자 수 증가폭을 24만명에서 20만명으로 하향 조정
- · 실업률은 기존 전망과 동일한 2.8%를 유지
3. 전망의 위험요인
- □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위험이 확대되거나 중국이나 미국의 경기가 급락하는 경우 우리 경제의 회복세가 더욱 지연될 가능성
- ·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이 확대되면서 국제유가가 급등하는 경우, 물가 상방압력 및 경기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
- · 중국과 미국의 경기가 점진적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높으나, 경기침체의 가능성도 배제하기는 어려움.
- · 이와 함께 2024년 말 미국 대선 이후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될 경우, 우리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 대내적으로는 물가상승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는 경우 내수 회복이 지체될 가능성
- · 민간부채가 대규모로 누적된 상황에서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될 경우 가계 소비여력과 기업 투자여력이 제약되면서 내수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음.
-
목차별 원문보기
요 약
원문 다운로드Ⅰ. 현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
원문 다운로드Ⅱ. 2024~25년 국내경제 전망
원문 다운로드
카페 게시글
뉴스(가끔 종목이 보인다)
KDI 경제전망 | 수정, 2024년 8월
힘힘
추천 0
조회 83
24.08.08 16:09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