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구사회적경제제협의회 창립총회
1부, 창립 총회를 축하하다
사회적경제로 지역공동체를 새롭게 하고자 지난 9월 9일 한신대 서울캠퍼스 컨벤션홀에서 38개 조직이 서로 손을 맞잡고 ‘강북구사회적경제협의회'(이하 ‘협의회') 창립 총회를 개최했다.
강북구사회적경제협의회 공동준비원장인 최동준(삼양신협 이사장)님은 기념사에 “오늘에 이르기까지 무려 20개월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한결 같은 마음으로 함께 해주신 각 단체 동지 여러분께 심심한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막 아직 갓 태어난 아기에 불과하다”며 “함께 해주신 여러분께서 협의회가 충실히 제 역할과 소명을 다 할 수 있도록 관심과 협조, 지원을 아끼지 말아 달라”는 당부로 기념사를 마쳤다.
강북구 사회적경제 조직, 지역주민, 시민사회단체, 내외빈 등 200여 명이 넘는 분들이 참여했다. 박겸수 구청장을 비롯하여 김동식 구의회 의장, 유대운 국회의원, 박진형 시의원, 구본승 행정보건위원장 등 공공 관계자들과 정미희 강북여성인력개발센터 관장, 김성훈 강북마을모임 운영위원장, 안광훈 삼양주민연대 대표, 박범용 서울특별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상임본부장, 윤미례 협동조합지원상담센터 실장, 최근영 서울지역협동조합협의회 등의 지역내외 연대 기관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내주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일정상 참석하지 못하여 축하 영상으로 대체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강북구는 주거, 돌봄, 교육, 일자리, 건강과 의료, 문화예술, 주민공동체에 이르기까지 지역의 여러 문제 해결을 위해 서울시와 함께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의 성장, 발전 가능성이 큰 지역이라며 사회적경제가 사회서비스를 확충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사회통합과 시민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했다. 박겸수 강북구청장은 “급속한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우리 구의 지역경제 활성화와 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 창출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건강한 사회적경제가 지역사회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협의회가 그간 걸어온 발자취를 영상에 담아 소개했다. 같은 내용을 반복해야했다든지 회의에 참여하는 구성원이 매번 달라져서 힘들었던 이야기가 나왔다. 전국동시지방선거가 한창이던 지난 2014년 5월 27일‘강북구사회적경제매니페스토정책협약식’을 진행했던 이야기와 6차례의 준비위원회와 7차례의 준비팀회의, 10여차례 이상의 실무기획팀 논의, 사회적경제 포럼과 비전워크숍 등의 과정이 담겼다. 협의회의 회원사로 함께하는 극단 원향이 축하 공연을 진행했다. 복지의 사각 지대에 처한 여성이 협의회의 도움으로 일자리를 구하는 과정을 뮤지컬로 표현했다. 1부 기념식이 끝난 후 기념품 증정이 있었다. 협의회 회원사에서 생산하는 물품을 선물로 마련했다. 유기농 우리쌀(한살림), 티셔츠(나그네다문화센터), 공정무역 후추(공정무역마을공동체협동조합), 천연비누(솔샘누리, 우리동네 온터),em세안비누(녹새가게),수제두부과자(함께웃는가게), 업사이클링 소이캔들(강북지역자활센터)을 협의회 창립을 축하해주신 주민들에게 나눠 드렸다.
2부, 창립 총회를 열다
1부 기념식이 끝나고 창립 총회를 진행했다. 최동준 삼양신협 이사장이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서경석 녹색가게 대표, 백영학 아키테리어 금빛가람 대표, 이경주 사회적협동조합강북나눔돌봄센터 센터장이 부회장이 되었다. 사무처장으로 김건식 강북구사회적경제지원단 단장이 선임되었다. 운영위원으로 허재만 나그네다문화센터 센터장, 최미경 함께웃는가게 대표, 박향숙 극단 원향 대표, 김성훈 강북마을모임 운영위원장, 윤미라 한살림 북부지부 지부장, 장이수 삼각산고등학교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이 선출되었다. 강북구사회적경제협의회 정관(안)도 이견 없이 제정되었다.
“우리사회는 고속성장의 외형적 풍요로움의 이면에 양극화와 불공정, 노동의 불안정성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양산했고 이는 행복, 지속가능성, 공동체 정신을 잃어가는 과정이었다…….이에 사회적경제의 원리와 활동으로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노력해 온 강북구의 사회적경제 기업과 조직들이 강북구사회적경제협의회를 창립하고 적자생존의 경쟁사회에서 더불어 사는 사회로, 지속가능한 새로운 공동체로 나아가고자 한다.”(강북구사회적경제협의회 정관 전문)
이날 창립 총회에서는 협의회의 공동 사업 계획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협의회가 창립되면 상호 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사회적경제 탐방’을 실행할 예정이다. ‘더불어 사는 세상 꿈의 장터’에 참가하고 ‘마을과 사회적경제 한마당'을 주관하는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강북구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구청과 거버넌스 파트너 역할을 하게 된다.
협의회 참여 기관은 참여조직은 강북구사회적경제지원단, 강북평화의집, 강북장애인자립생활센터, 강북
행복한돌봄협동조합, 건강의집(준), 공정무역마을공동체협동조합, 교육극단원향, 나그네다문화센터, 녹색가게, 둥지협동조합, 마을기업인큐베이터, 사회적협동조합강북나눔돌봄센터, 사회적협동조합민들레가게(준),살림, 솔샘누리, 삼각산고등학교사회적협동조합, 삼양신용협동조합, 삼양주민연대, 서울강북소나무자활공제협동조합, 서울강북지역자활센터,솔샘일터, 아키테리어금빛가람㈜, 역사만들기, 오패산협동조합, 온누리안전생활환경협동조합, 우리동네온터, 이음서비스협동조합, 전국주거복지협동조합, 푸른선별장, 한살림북부지부, 한국가시설협동조합, 한국고령자근로자협동조합, 한빛예술단, 한우리사업단, 함께웃는가게, 해든마음돌봄사회적협동조합, 행복한반찬가게 등 이며
협력조직은 강북여성인력개발센터, 민주사회정책연구원, 아름다운가게미아점, 아름다운국수가게, 양지마을주민협의회 등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5054E5055F2408A2B)
![](https://t1.daumcdn.net/cfile/cafe/27108C4D55F240B92F)
![](https://t1.daumcdn.net/cfile/cafe/2308B44D55F240BD34)
![](https://t1.daumcdn.net/cfile/cafe/2606444D55F240BF37)
![](https://t1.daumcdn.net/cfile/cafe/221E004D55F240C228)
![](https://t1.daumcdn.net/cfile/cafe/22555B4D55F240C503)
![](https://t1.daumcdn.net/cfile/cafe/2419444D55F240CC2B)
![](https://t1.daumcdn.net/cfile/cafe/2258C74D55F240CF01)
![](https://t1.daumcdn.net/cfile/cafe/27050D4B55F240D701)
별첨.
20150909-협의회창립총회자료집.pdf
첫댓글 함께 축하해 주신 지역사회와 내외빈입니다(1차정리분)
강북마을모임, 강북장애인부모회, 삼각산재미난학교/마을목수공작단, 열린사회북부시민회, 녹색마을사람들, 북한산저충주거지지역재생기획단, 강북주거복지센터, 한신대학교사회혁신경영연구소, (사)통일준비네트워크, 삼각산포럼, 생명평화연대, 도깨비, 강북교육복지센터, 동북4구지역재생협력지원센터, 강북혁신교육지구실행추진단, 강북FM, 굿씨상담센터, 강북영성인력개발센터, 민주수호강북행동, 환경경영품질연구소, 강북구지역사회복지협의체, 삼각산포럼, 삼각산농협, 닮복지재단, 새봄노인복지센터
삶터사회적협동조합, 번역협동조합, 노원사회적경제활성화추진단, 도봉구사회적경제협의회, 금천사회경제연대, 서울시협동조합협의회, 서울시협동조합지원센터,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동림P&D
박겸수구청장, 유대운국회의원, 정양석새누리당위원장, 박진형시의원, 김동식강북구의회의장, 이영심강북구의회상임위원장, 구본승강부구의회보건행정위원장, 이용균강북구의회복지건설위원장대행, 박문수구의원, 유인애구의원,김명숙구의원, 이백균구의원, 강북구청일자리지원과, 강북구청자치행정과, 인수동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