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Türkiye)의 역사와 고고학(考古學)의 명소
터키 카파도키아 지방 / 카파도키아 풍광 / 니케(Nike) 신상(Efes-에베소)
1. 튀르키예(Türkiye) 약사(略史)
튀르키예는 우리가 지금까지 터키공화국(Republic of Turkey)으로 불렀는데 일명 토이기(土耳其), 튀르키예(Türkiye)라고도 불렀다. 위치는 아시아의 서쪽 끝으로 유럽에도 국토의 일부(이스탄불)가 속해 있는 나라이며 수도는 앙카라(Ankara)이다. 면적은 78만㎢, 인구가 8,500만으로 제법 큰 나라인데 면적(面積)으로 보면 우리나라(남한)의 8배, 인구(人口)는 1.5배 정도의 나라라고 보면 되겠다.
국호는 작년(2021년)까지는 ‘터키(Turkey)’로 통용되었으나 2022년 ‘튀르크인의 땅’을 의미하는 ‘튀르키예(Türkiye)’로 변경했다고 한다.
튀르키예(Türkiye)는 지도에서 보는 것처럼 서쪽으로 보스포루스(Bosporus) 해협을 건너면 유럽대륙인데 유럽 땅에 터키의 대도시인 이스탄불(Istanbul)이 있다.
이스탄불은 BC 8세기, 그리스(Greece)인들이 비잔티움(Byzantium)제국을 세우고 수도로 정하였던 곳이며 AD 4세기에는 로마(Rome)의 콘스탄티누스(Constantinus) 1세가 동로마제국의 수도(首都)로 삼았다.
이스탄불(Istanbul)은 당시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이름을 따서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이라고 불렀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도시이며 인구가 1,500만이 넘는 대도시이다.
이곳은 다시 AD 15세기, 투르크(Turk)인들이 세운 오스만(Osman)제국의 수도가 되었다가 1923년에 터키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수도를 앙카라(Ankara)로 옮기고 도시 이름을 이스탄불(Istanbul)로 바꾸었다고 한다.
이스탄불의 위치를 보면 흑해(黑海:Black Sea) 입구 삼각형 모양의 반도(半島) 요충지에 있으며 보스포루스 해협을 끼고 동양과 서양을 잇는 통로로 옛 실크로드(Silk Road)의 종착지이기도 하였다.
이곳 튀르키예 지방은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다양한 문화유산을 보유한 지역인데 페르시아(Persia), 아랍(Arab), 비잔틴(Byzantine), 오스만(Osman) 및 서유럽 문명 등 다양한 문화가 꽃피웠던 곳이기 때문이다.
터키의 중심부는 광활한 아나톨리아(Anatolia) 고원이 펼쳐져 있는데 이곳의 역사를 잠시 되짚어 살펴본다.
이 지역은 BC 7,000년 이전에 정착민들이 자리 잡았던 곳으로, BC 1,900년경에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하는 히타이트(Hittite)인들에 의해 점령되었는데 이집트의 파라오(Pharaoh-람세스 2세)들과 전쟁(Qadesh전쟁 등)이 많았다.
이후, 페르시아(Persia) 제국이 BC 6세기에 이 지역을 차지하여 찬란한 헬레니즘(Hellenism) 문화를 꽃피우게 된다.
그러다 BC 1세기경에 로마령이 되는데 로마황제인 콘스탄티누스(Constantius) 대제(大帝)가 콘스탄티노플(지금의 이스탄불)을 수도로 삼으면서 비잔틴 제국의 영향권 안에 들어갔다.
13~14세기 들어서는 다시 오스만족(Osnan)이 세력을 휘어잡고....
1,2차 세계대전의 시련을 겪은 후 1952년에는 NATO에 가입하고 1950년 6·25전쟁에 UN군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한국과 끊을 수 없는 인연을 맺게 된 우리나라의 혈맹(血盟)이다.
튀르키예(Türkiye)를 근대화를 이끈 선구자는 튀르키예(Türkiye)의 아버지로 칭송되는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Mustafa Kemal Atatürk, 1881~1938)로 일명 케말 파샤(Kemal Pasha), 무스타파 케말(Mustafa Kema) 이라고도 부르는데 아타튀르크(Atatürk)의 의미는 ‘투르크 민족의 아버지’라는 뜻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