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성계의 친필 싸인 (전시안)
출생 : 쌍성총관부 화령
재위기간 (태상왕) : 1408년 6월 27일 까지
사망 : 1408년 6월 27일 (향년 72세)
이씨조선(李氏朝鮮)은 북한, 중국, 일본에서
1392년 이성계가 건국한 나라 조선을 일컫는 말. 줄여서 이조(李朝), 북한에서는 리조라고 함
국가의 모든 스탠스가 중국과 사대관계로 전환
이성계는 고려 말기의 명장이자 조선을 건국한 조선왕조의 창업군주.
묘호는 태조(太祖), 성은 이(李), 초명은 성계(成桂). 즉위 후 개명한 이름은 단(旦)
조선 건국과 동시에 태조 '이단'으로 개명
2. 성씨의 연관성
중국 송나라 시대에 유대인들이 서역을 경유하여 중국에 들어와 살았다고 한다.
그들이 사용한 성씨로는 리(李), 장(张), 안(俺), 진(金)씨 등이 있다고 한다.
이들의 일부가 고려로 들어오기도 했다. 북송의 카이펑(开封)에 거주하여
카이펑 유대인(開封猶太人) 또는 이츠러예(一赐乐业, 일사락업)인으로 불렸다.
'이츠러예'는 북송 황제가 하사한 이름으로 이스라엘의 음역이다.
리 - Levi
유대계 인물들에게 많이 쓰이는 영어권의 남자 이름.
유래는 히브리 성서 창세기의 인물이자 야곱과 레아의 셋째 아들인 '레위(לֵּוִי)'이며,
뜻은 '연합하다'. 레위로부터 비롯된 레위 지파를 영어로 '리바이트(Levite)'라고 하며,
사제 지파인 레위인들에게 내려진 지침서가 바로 히브리 성서 레위기이다.
유대인 성씨 중에 Levy, Levin, Levine, Lewis, Levinson 등이 다 이 이름의 변형된 성씨다. 즉, 유대인들 사이에서 꽤나 흔한 성씨이기도 하다.
유일하게 한국 성씨중 외국에서 많이 쓰임
3. 이성계의 '왕씨 몰살'
조선 초에 일어난 일부 개성 왕씨 왕족들에 대한 몰살 사건이다.
태조 3년 순흥군 왕승, 정양군 왕우 일가와 여자, 방계를 제외하고 왕위에 가까운 남자 후손 135명이 삼척, 강화도, 거제도에서 제거되었다. 제1차 왕자의 난(무인정사)때 죽은 사람들까지 아울러 놓은 《개성 왕씨 대동보》에 의하면 150여 명이다. 제34대 공양왕 중심으로 직계 유력 남자 후손들만 제거한 후, 남은 왕씨들은 외가 성으로, 사성 개성 왕씨들은 원래 성씨로 되돌려서 왕씨만 아니게 만드는 선에서 끝났다. 이 같은 조치로 태조 신성대왕 왕건 이래 잦은 사성 정책으로 불어난 개성 왕씨의 세력은 크게 줄어들었다.
이후 고려(korea)와 관련된 세력이 아예 전멸
4. 하레디 모자와 조선시대 갓의 연관성
고려시대 문라건에서 복식변경
5. 단과 신세계 질서
신세계질서(New World Order; NWO)
신new 천지world
단 one 월드 world
통일교 World Unification
단원고등학교 세월호
한국인은 유대인이 정착하지 못한게 아니라
조선건국부터 계획된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