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이삭을 속인 야곱(이삭은 야곱의 두 손이 저의 형 에서의 손처럼 털이 나 있음으로 그가 야곱인 줄을 모르고 그에게 축복하여 주기로 하였다. 23절)
▶간교한 야곱–고령의 이삭은 자신의 시간이 다 되어 감을 느끼면서 에서를 축복하려고 한다. 리브가는 이삭에 에서를 축복하려 한다는 상황을 엿듣게 된 이후로 야곱와 이삭을 속이고 축복을 가로채려는 계획을 세운다. 리브가는 염소가죽을 야곱의 팔에 붙여주고 이것이 결정적으로 이삭이 야곱을 에서로 믿게 하는 요인이 된다. 에서는 동생 야곱이 자신의 축복을 가로챘다는 것을 알고는 엄청난 분노를 표출시킨다. “아버지를 곡할 날이 머지 않았으니 그 때가 되면 동생 야곱을 죽이겠다.” 창27:41절
그러나 이 장면에는 하나님의 은총은 모든 사람에게 제공된다는 사해동포적 은총이 나타나도 있다. “아버지께서는 악한 사람에게나 선한 사람에게나 똑같이 해를 떠오르게 하시고 의로운 사람에게나 불의한 사람에게나 똑같이 비를 내려주신다.” 마태5:45
2.복에 담겨 있는 하나님의 은총(여러 민족이 너를 섬기고 백성들이 너에게 무릎을 꿇을 것이다. 너는 너의 친척들을 다스리고 너의 어머니의 자손들이 너에게 무릎을 꿇을 것이다. 너를 저주하는 사람마다 저주를 받고 너를 축복하는 사람마다 복을 받을 것이다. 창27:29절)
▶하나님의 복이 가지고 있는 의미–아브라함에서 이삭의 가정으로 흐르는 전통에서의 복의 개념은 보이지 않는 것으로서의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정통성을 계승하는 것이다.
▶복/꾸준한 자기성찰 “내가 그들에게 이르기를 나에게 순종하고 내가 명하는 모든 것을 실천하면 그들의 나의 백성이 되고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어. . .” 렘11:4
3.보이지 않는 것을 보아내는 안목(그러나 그들은 듣지도 않고 귀를 기울이지도 않았다. 오히려 그들은 자기들의 악한 마음에서 나오는 고집대로 살았다. 그래서 나는 지키라고 명한 이 모든 언약을 말씀대로 그들에게 벌을 내린 것이다. 그런데도 그들은 지키지 않았다. 렘11:8)
▶생각의 형성–자신이 살아가는 시대의 가치에 의하여 교육을 받고 그 시대를 형성하고 있는 사회, 교육, 문화, 지역적 특수성과 연관된 관습과 시대전통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믿음의 도약/뛰어오르기–비본래성에서 본래성으로 뛰어오르기. 모리아 산의 아브라함.
4.참된 복을 누리며(주님께 두 가지 간청을 드리니 제가 죽기 전에 그것을 이루어주십시오. 허위와 거짓말을 저에게서 멀리하여 주시고 저를 가난하게도 부유하게도 하지 마시고 오직 저에게 필요한 양식만을 주십시오. 제가 배가 불러서 주님을 부인하면서 주가 누구냐고 말하지 않게 하시고 제가 가난해서 도둑질을 하거나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거나 하지 않도록 하여 주십시오. 잠언30:7-9) 야곱은 형에서 젖히고 아버지 이삭을 속여 가면서 까지 축복을 가로채고 있다. 이 사건은 야곱이 초월적인 신앙적 삶의 자리로 나가는 출발점이 되었다.
참고도서
윌터 브루거만. 『창세기』. 한국장로교출판사.
장성식. 『인문학과 기독교의 책임』. 북랩출판사.
김성언. “창세기 속임수 내러티브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신학논단』제108집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