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655페이지의 16번도 그렇고 639페이지의 예제1번도 마찬가지로 x1년에 2년 용역제공조건 이런식 일 때
주식선택권, 주가차액보상권 계산시에 퇴사인원 파악할 때 조건의 마지막 연도는 추정치가 아니라 실제 퇴사자 수를 근거로 계산하는게 맞나요?
말로 써진 개념엔 수량예측치라고 되어있는데 문제에선 다 마지막 연도는 실제 퇴사자 수를 기준으로 해설이되어있어서 질문남깁니다!
2. 646페이지 재무비율의 수익성비율에서 강의에선 자본이익률을 둘로 나누고
총자본(산)이익률 = 당기순이익/평균자산
자기자본이익률 = 당기순이익/평균자본
이렇게 수업당시 ppt에 나와있었는데 653페이지 11번 문제에서는 자기자본이익률을 당기순이익/자본총계(총자본) 으로 계산하는걸로 되어있어서 이게 ppt에 오타가 있던건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3. 654페이지 12번 문제관련 660페이지 해설에 (4) 반영 후 유동비율 : (3000+400+200) / (1500+200) 이 부분에서 3000+400+200이 어떻게 나온건지 이해가 잘 안됩니다.
-> 이거 외상(부채) 200원 증가해서 자산도 증가되는 건가요??
첫댓글 1. 마지막연도는 실제 남은인원수로 계산합니다.
2. 교재내용으로 정리해주세요
3. 3,000은 현재의 유동자산이고, 400은 현금수취액, 200은 재고900-현금 700이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