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명품도 온라인과 아웃렛 등을 통해 매출 증가 전략 -
- 소셜미디어 마케팅, 중요 요소로 떠오르고 있어 -
□ 글로벌 명품시장 개요
ㅇ 유명 컨설팅 기관 Bain & Company에서 조사한 세계 명품시장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명품시장의 시장규모는 2015년 약 2530억 유로(약 2840억 달러)를 기록함.
ㅇ 명품시장은 미국으로부터 시작된 2009년과 2011년 경제공황 속에서도 유일무이하게 높은 성장률을 보여줬던 시장으로, 앞으로도 계속된 시장 성장이 예측됨.
명품시장 글로벌 시장규모
자료원: Statista, Bain & Company
ㅇ LVMH 그룹, 2016년 글로벌 명품 브랜드 순위 1위 기록
-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하며 가치 있는 명품 기업은 루이비통 그룹(LVMH)으로, 이 그룹은 루이비통, 셀린느, 지방시, 불가리, 크리스찬 디올, 겔랑 등의 명품 패션브랜드를 소유하고 있고, 모에 샹동과 헤네시 등의 주류 브랜드도 소유한 글로벌 기업임.
- 루이비통 그룹은 몇 년 전부터 브랜드 가치 2위인 에르메스와의 합병을 추진 중에 있으며 향후 귀추가 주목됨.
글로벌 명품 브랜드 가치 순위
자료원: Millward Brown, Statista
□ 미국의 명품시장
ㅇ 지속적인 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미국 명품시장
- 미국은 전 세계 가장 큰 명품시장으로 알려짐. 2012년부터 현재까지 전 세계의 약 25%의 명품시장 규모를 차지함.
- 이와 같은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 지속될 것이라 예측됨.
- 2014년의 미국 명품시장의 매출은 잠시 주춤했음. 이 같은 현상은 미국 달러의 강세로 인해 중국 및 아시아와 유럽에서 오는 여행객들의 발길이 멈췄기 때문이며, 중국 내 경제 성장률이 전보다 조금씩 느려지고 있는 것 또한 원인으로 작용했음.
- 2015년과 2016년은 여행객들을 대신해 국내 명품 소비가 늘어났다고 분석됨.
- 미국 사람들의 고정수입이 올라감에 따라 소비가 활성화돼 명품시장 매출에 좋은 영향을 미침.
ㅇ 아웃렛과 할인 전략의 미국 명품 백화점들
- 미국 내 유명 백화점들인 Nordstrom, Neiman Marcus 그룹, Saks fifth Avenue와 같은 백화점들은 각자의 아웃렛 형태의 할인매장을 운영하며 매출을 높이려는 전략을 보이고 있음.
- Nordstrom의 Nordstrom Rack, Neiman Marcus의 Last Call, Sassks Fifth Avenue의 Sasks Off 5th 등이 바로 그것들임.
- 이와 같은 전략은 기존의 명품시장의 소비자들을 포함해 새로운 소비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전략으로, 매출에 긍정적인 기여를 기대할 수 있음.
ㅇ 온라인 명품시장, 가장 폭발적인 성장
- 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인터넷 명품 도매/소매 시장은 2014~2015년 폭발적 성장을 한 것으로 조사됨.
- 현대의 소비자들은 온라인을 통한 쇼핑의 간편성을 선호하며, 명품시장에서도 온라인을 통한 판매와 마케팅이 중요 요소로 떠오름.
- 럭셔리 브랜드들은 온라인 사업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고 있음. 명품 럭셔리 브랜드들의 특성상 오프라인 매장이 비교적 다른 브랜드에 비해 매장 수가 적기 때문에, 온라인 매장을 설립해 모든 소비자들에게 다가간다는 사실은 매력적일 수밖에 없음.
- 스마트폰, 인터넷, 태블릿PC 등 보급의 활성화는 앞으로도 온라인 쇼핑 시장의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예측됨.
□ 미국 명품시장 트렌드
ㅇ 베이비부머 세대가 가장 큰 소비층
- 미국의 베이비부머 세대들은 명품시장의 가장 큰 소비자들로, 이들은 미국의 2009년 경제 대공황 이후 경기가 좋아지기 시작한 뒤 가장 많은 소비를 하는 집단으로 조사됨.
- 2009년 이후로 2016년까지 미국 내 평균 GDP는 4만9000달러 이상을 기록함.
- 명품시장의 최대 소비자들인 베이비부머 세대들은 1946년과 1964년 사이에 태어난 50~65세 이하의 소비자들로, 평균 소득이 15만 달러를 기록하는 미국 내 7%의 소비자들임.
- 이들은 소득이 15만 달러 이상이며, 미국 내 상위 14%의 소득 기록자들임.
- 미국의 베이비부머 세대들은 현재 기업과 정부의 높은 공직에 위치해 있으며, 소득이 높은 이들을 공략하는 명품시장들의 브랜드와 백화점들의 마케팅 전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ㅇ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마케팅
- 명품 브랜드들의 온라인 매장 확대와 소셜미디어 마케팅의 흐름이 매서움.
- 명품 브랜드들은 대표적인 소셜미디어들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Pinterest, 유튜브 등을 활용해 소비자들에게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고, 이러한 점이 브랜드 인지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함.
- 예를 들어, 글로벌 화장품 업체 Estee Lauder는 소셜미디어 인스타그램에 가장 많은 4400만 명(2015년 기준)의 Follower를 보유 중인 세계적인 모델 Kendell Jenner와 파트너십을 맺었으며, 그녀를 이용한 브랜드 인지도 향상과 매출 향상을 경험함.
- 명품 브랜드들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세계적으로 유명한 모델들과 사진사들을 고용해 자신들의 제품을 더 빛나게 소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를 활용해 대중들에게 실용적인 마케팅을 할 수 있음.
명품 브랜드 Saint Laurent의 인스타그램 페이지
자료원: Saint Laurent 인스타그램
ㅇ 미국 명품시장을 장악하는 중국 여행객들의 소비
- 미국에 관광오는 중국 관광객은 점점 늘어나는 추세
- 2014년에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 200만 번의 비행이 있었으며, 2010년과 2014년 사이 미국을 방문한 중국 관광객은 2배 늘어난 것으로 추정됨.
- 중국 관광객들이 늘어남에 따라 미국 내 명품 소비가 늘어남. 미국을 방문하는 중국 관광객들의 주요 목적은 명품
- 중국 관광객들의 명품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미국 내 명품 백화점과 명품 브랜드들은 중국 관광객들을 위한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음. 예를 들어, 명품 브랜드 백화점들에는 항상 중국어를 할 수 있는 판매사원이 있으며, 이들이 중국 고객들의 쇼핑을 도와줌.
- 중국 관광객뿐 아니라 중국인들의 인터넷 사용량과 명품 사랑이 널리 알려져, 명품 브랜드들은 자체적인 명품 온라인 쇼핑몰을 만들어 중국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고 있음. 예를 들어, 어떠한 명품 쇼핑몰에 들어가더라도 중국어 서비스가 존재하며, 중국 신용카드로 결제가 가능함.
ㅇ 명품 백화점에 한국 브랜드들
- 한국 제품이 미국 명품 매장에 있는 것은 흔치 않은 일.
- 미국 명품 백화점 Nordstrom 에는 한국 브랜드 ‘젠틀몬스터’의 선글라스가 진열돼 있음.
- 또한, 명품 백화점 매장 Barneys New York와 Neiman Marcus에서는 한국의 디자이너 ‘우영미’, ‘Junn.J’ 등의 명품 패션 옷들이 진열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판매 중에 있음.
명품 백화점 Neiman Marcus의 한국 디자이너 Juun.J의 제품
자료원: Neiman Marcus
□ 시사점
ㅇ 미국, 앞으로도 최대 명품시장 유지할 듯
- 미국은 현재까지 최대 명품시장으로 자리를 매겨옴.
- 중국을 포함한 모든 나라의 관광객들의 수와 상위층 자녀들의 유학생 수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 전망됨에 따라, 외국인들이 미국에서 생활하며 명품 소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예측
- 미국인들의 소득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의 베이비부머들의 소비는 미국 명품시장을 뒷받침해줄 것
ㅇ 온라인 판매 및 마케팅 중요 요소
- 이전의 명품시장과 현재의 명품시장의 가장 큰 차이점은 명품 브랜드들이 온라인 판매를 시작했다는 것임.
- 기존의 명품시장은 매장 수도 다른 브랜드들에 비해 적었으며, 특정 소수를 위한 브랜드라는 인식이 컸음. 하지만 현재는 온라인을 통해 모든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인식을 높일 수 있음. 이로 인해 온라인 마케팅, 소셜마케팅이 중요점으로 떠올랐으며, 온라인을 통해 자신들의 상품을 판매하기 시작함.
- 온라인은 국경이 없는 것 또한 장점으로, 우리나라 업체들도 온라인을 통해 세계적인 브랜드 인식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함.
ㅇ 한국 기업들, 진출 도전 필요
- 이전의 한국 제품들은 세계적으로 명품이나 하이엔드(High-End) 시장에 도전할 것이라는 전략조차 계획하지 못할 때가 많았지만, 현재는 유능한 디자이너들의 능력과 품질로 미국을 포함한 유럽에서 유명한 패션 명품 브랜드들이 형성되고 있음.
- 또한, 전 세계적으로 K-pop 문화가 고급 패션 및 라이프 스타일이라는 인식이 형성돼, 이제는 한국 제품도 명품시장에 도전할 수 있는 좋은 시기임.
- 일례로, 미국 명품 백화점들에 종종 한국 토종 디자이너들의 패션브랜드들이 눈에 띄며, 품질 면에서도 전혀 뒤지지 않음.
- 현재 무역의 흐름으로 보아, 가격경쟁력에서 값싼 동남아와 중국 제품에 비해 다소 불리한 한국 제품들도 품질로 승부해 명품시장을 노리는 전략도 참고할 만함.
자료원: Euromonitor, Millward Brown, Statista, Neiman Marcus, Saint Lauren 인스타그램 및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