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란 무엇인가 / 이상과 현실-에드워드 핼릿 카(Edward Hallett Carr)
“역사란 현재와 과거 사이의 그칠 줄 모르는 대화”
현대 가장 훌륭한 역사가로 꼽히는 E.H.카, 그 예지의 결정체!
여전히 새롭고 뛰어난 역사철학서! 『역사란 무엇인가』
국제정치학의 기념비적 대작! 『이상과 현실』
인문학의 필독서! 이상두 교수 필생의 명역!
예지의 결정체 『역사란 무엇인가』
1961년 1월부터 3월에 걸쳐 에드워드 핼릿 카(Edward Hallett Carr)는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제목으로 강의를 한다. 같은 해 가을 이를 엮어,『역사란 무엇인가』를 출판한다. 이 책은 카의 명성을 전 세계에 떨치는 데 크게 기여하며 오늘날까지도 명실상부한 고전 중의 고전으로 꼽히고 있다. 『역사란 무엇인가』는 ‘역사가와 사실’, ‘사회와 개인’, ‘역사에서의 인과관계’ 등 목차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역사의 근본문제를 본질적으로 면밀하게 따진 책으로 일종의 역사철학서이기도 하다. 카는 현대의 가장 탁월한 역사가로 꼽히는데, 이 책에는 오랜 역사 연구와 서술 경험을 통해 그가 얻은 지혜의 결정이 담겨 있다.
도전적인 제목이 암시하듯이 『역사란 무엇인가』가 일반 독자를 포함하여 그 분야에 미친 충격은 엄청났다. 역사의 본질을 묻는 카의 급진적인 자세는 많은 사람들의 기성관념을 깨뜨렸고, 지금도 여전히 학문의 묘미를 실감하게 하고 있다.
역사란 사실인가? 해석인가?
19세기는 위대한 사실 존중의 시대였다. 19세기 역사가들은 거의 모두가 이와 같은 의견이었다. 그러나 카는 이러한 ‘사실 존중의 시대’를 자기 스스로 생각하는 성가신 의무에서 역사가들을 벗어나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고 비판한다. 그는 ‘흔히 사실은 스스로 이야기한다고 말한다. 물론 이것은 거짓말이다. 사실은 역사가가 사실에 말을 건넸을 때에만 이야기한다. 또 어떤 사실에 어떤 순서, 어떤 문맥으로 발언을 허용하느냐 하는 것도 역사가’라고 말한다. 이윽고 카는 ‘역사가는 사실의 겸손한 노예도 아니고, 그 포악한 주인도 아니’라면서 역사가와 사실은 평등한 관계, 서로 주고받는 관계라고 정의한다. 즉 카의 주장에 따르면 역사가는 자신의 해석에 따라서 자기의 사실을 만들어 내고, 그 사실에 따라서 자기의 해석을 만들어 내는 끊임없는 과정에 몸담고 있는 것이다.
카에게 ‘사실들’은 생선 가게의 생선 같은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사실들은 광대한 바닷속을 헤엄쳐 다니는 물고기 같은 것이며, 역사가가 무엇을 잡느냐 하는 것은 우연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가 바다의 어디쯤에서 낚시질을 하느냐, 어떤 낚시 도구를 쓰느냐에 따라서 달라진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카는 ‘역사란 해석을 말한다’고 주장하기에 이른다.
역사가와 사실 사이의 끊임없는 상호 작용 과정
카는 현재의 눈을 통해서만 과거를 바라볼 수 있고, 과거를 이해하는 데 성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역사가의 기능은 과거를 사랑하는 것도 아니고, 자기를 과거로부터 해방하는 것도 아니며, 현재를 이해하는 열쇠로서 과거를 정복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역사가는 사실의 일시적 선택과 일시적 해석으로 출발한다. 역사가는 현재의 일부이고, 사실은 과거에 속하므로, 이 상호 작용은 현재와 과거의 상호 관계를 포함한다. 때문에 역사가와 역사적 사실은 서로에게 필요한 것이다. 카는 ‘사실을 가지지 못한 역사가는 뿌리도 없고 열매도 맺지 않으며 역사가가 없는 사실은 생명도 없고 의미도 없다’고 말한다. 바로 여기에서 ‘역사란 역사가와 사실 사이의 끊임없는 상호 작용 과정이며, 현재와 과거 사이의 그칠 줄 모르는 대화’라는 카의 그 유명한 정의가 비롯되었다. ‘역사는 현재와 과거가 나누는 대화다.’ 카는 이 말을 여러 차례 언급한다. 이는 카의 역사철학 정신을 분명히 보여주며 오늘날에도 수많은 학자와 연구자들에게 영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전간기(1919~39) 20년의 위기를 파헤친 《이상과 현실》
《이상과 현실》의 저본인 《20년의 위기(The Twenty Years’ Crisis
1919~39)》 초판은 1939년 가을, 즉 제2차 세계대전 발발과 거의 때를 같이하여 간행되었다. 《이상과 현실》은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부터 제2차 세계대전 전야까지의 이른바 전간기 20년을 관통하는 정치사상 또는 국제정치사상의 역동적인 모습의 본질을 밝히고자 한 책이다. 전쟁병기의 기술혁신과 이데올로기에 고무된 세계규모의 전쟁, 그리고 수많은 국민 대중을 휩쓸어 넣은 총력전이었던 제1차 세계대전은 그때까지 일어났던 어떠한 전쟁과도 달랐다. 사상자 규모만 봐도 제1차 세계대전은 그전까지의 일부 외교관이나 군인만의 전쟁이 아니라 국민 모두의 전쟁이었고, 무엇보다 대중에게 말할 수 없는 희생을 강요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에게 상상도 할 수 없는 고통을 안겨준 제1차 세계대전은 도대체 무엇이었을까. 이 고통스러운 깨달음 속에 인류는 살아가기 위한 학문, 즉 전쟁과 평화를 깊이 연구하기 위한 국제정치학을 탄생시키게 된다. 카의《이상과 현실》은 바로 이 국제정치학이 탄생하는 과정에서 원고를 쓰기 시작하여, 전간기 20년의 시대와 학문의 역동적 관계를 생생하게 써내려간 것이다.
인문학의 필독서! 국제정치학의 기념비적 대작! 《이상과 현실》
카는 원저를 출판하면서, 표제를 《유토피아와 리얼리티》로 할 생각이었다. 그러나 이 추상적인 제목으로는 책이 팔리지 않을 것이라고 본 출판사는, 카와 타협한 끝에 최종적으로 《20년의 위기 1919~39》로 결정했다. 독자에게 다행스럽게도, 책의 내용으로 보아 이 제목이 크게 생뚱맞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이 번역서의 제목을 《이상과 현실》로 한 까닭은, 그것이 이 책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기 때문이며, 아울러 원저의 제목을 《유토피아와 리얼리티》로 하고 싶어 했던 카의 생각에 공감했기 때문이다. 《이상과 현실》은 전간기 국제정치학과 현실 속에 넘쳐나고 있던 사상에서 소재를 찾아, 거기에 펼쳐진 이상주의와 현실주의의 사유양식에 깊은 분석의 칼날을 가한다. 또한 이 책은 전간기 국제정치학으로 흘러드는, 그 이전의 유럽정치사상을 완벽할 정도로 시야 속에 넣어, 전간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점이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현실》은 전간기의 이상주의와 현실주의에 대한 객관적, 이론적 분석을 통해 정치학 또는 국제정치학의 진수를 보여주며 출간 70여 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높은 명성을 누리고 있다. 만일 고전 명저라고 불리는 것이 동시대인은 물론이고, 후세 사람들에게 아무리 길어도 마르지 않는 지식의 샘을 끊임없이 제공하는 것이라면 《이상과 현실》이야말로 그런 명성을 얻을 자격이 있다. 반세기가 훨씬 넘어서도 이 책이 여전히 불사신 같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은, 그것이 논쟁의 풍설을 견디면서 저마다의 시대로부터 새롭게 생명을 부여받아, 각각의 시대사조를 환기해 왔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E.H. 카(Edward Hallett Carr)
1892년 런던에서 태어난 그는 런던의 머천트 테일러즈 스쿨(Merchant Taylor's School)과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트리니티 칼리지(Trinity College)를 졸업했다. 1916년에 외무부에 들어가 수많은 업무에 종사하다가 1936년에 사임하고, 웨일스 유니버시티 칼리지의 국제정치학 교수가 되었다. 1941년부터 1946년까지「더 타임스(The Times)」의 부(副)편집인을 역임했으며, 1948년 국제연합의 세계인권선언 기초위원회 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1953년부터 1955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의 베일리얼 칼리지의 정치학 튜터(Tutor)를 맡았으며, 1955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트리니티 칼리지의 펠로우, 1966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베일리얼 칼리지의 명예연구원(Honorary Fellow)으로 활동했다.
영국이 낳은 금세기의 대표적 사가로, 특히 소비예트 러시아사 연구에 탁월한 업적을 남겼다. 4부작 「소비예트 러시아의 역사」는 그의 대표작이자 불후의 명저로 꼽힌다. 다른 주요 저서로 양차 대전 사이 국제정치의 흐름을 다룬 『위기의 20년, 19191939(The Tewnty Years' Crisis, 』(19191939) 을 비롯해 『소련이 서구에 준 충격(The Soviet Impact on the Western World)』 (1946), 『낭만의 망명객(The Romantic Exiles) 』(1933), 『평화의 조건(Conditions of Peace) 』(1942),『새로운 사회(The New Society)』(1951), 『나폴레옹에서 스탈린까지(From Napoleon to Stalin and Other Essays)』(1980), 그리고 역사철학의 명저 『역사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한편 역사가로서 그는 기념비적인 저작 『소련사(History of Soviet Russia)』로 가장 유명하다. 1945년부터 쓰기 시작하여, 거의 30여 년간 매달려 완성한 이 책에 대해서「가디언(Guardian)」지는 "금세기에 한 영국인 역사가에 의해서 쓰여진 가장 중요한 저작들 중의 하나"라고 했고, 「더 타임스」지는 "탁월한 역사적 업적"이라고 말했다. 『소련사』는 한 권의 개요집인 『러시아 혁명ː레닌에서 스탈린까지(The Russian RevolutionːLenin to Stalin)』를 포함하여『볼셰비키 혁명, 19711923(The Bolshevik Revolution, 19171923)』;『공백기, 19231924(Interregnum, 19231924)』;『일국 사회주의, 19241926(Socialism in One Country, 19241926)』, 『계획경제의 기초, 19261929(Foundations of a Planned Economy, 19261929)』등의 14권으로 되어 있다.
카발라 탈무드
신에 의해 선택받은 특별한 민족,
그러나 수천 년을 떠돌아야 했던 방랑민족!
그들의 인생에 대한 깨달음과 신비로운 비밀을 담은,
내 삶의 진정한 멘토가 되어 주는 책!!
유대인이 탈무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탈무드가 유대인을 만든다!
인생의 참된 지혜와 비법을 파헤쳐 본다.
놀라운 재능 발휘하는 유대인의 저력
매년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고 나면 놀라움을 금치 못하기 마련이다. 전 세계 인구수 대비 0.2%에 불과한 소수민족인 유대인이 한둘은 반드시 껴 있기 때문이다. 어디나 뛰어난 인재가 있기 마련이지만, 숫자가 많지도 않은 유대인이 왜 항상 끼어 있는지 놀라울 따름이다. 게다가 세계 각국의 정계 인사들이나 세계 경제를 쥐락펴락하는 큰손들을 살펴보노라면 이들 중에 유대인이 꽤나 많다는 사실에 오싹하기까지 한다. 이들이 주장하는 대로 그들이 정말 선민(選民)이기 때문일까? 그러한 궁금증을 풀어줄 책이 바로 이 《카발라 탈무드》이다.
이 책은 영원한 방랑민족 유대인들이 기나긴 세월 동안의 핍박 속에서도 꿋꿋이 지켜온 관습과 율법을 담고 있다. 탈무드에서 권하는 엄격한 제약의 틀은 타 민족으로 하여금 유대인들이 사방으로 꽉 막힌 감옥 속에서 살아가는 답답한 민족이라고 여기게 만들었다. 그러나 우리는 그 틀이 유대민족을 여태껏 유지시켜 왔으며 그들에게 특출한 능력을 선사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신비주의의 유대 비의 《카발라 탈무드》
《카발라 탈무드》는 유대인들의 놀라운 성공비법과 함께 카발라라는 유대교의 신비로운 지식을 함께 담은 책이다. 유대 신비주의인 카발라는 정답이 존재하지 않는 인생에 대해 보다 깊이 알게 하고, 속세의 인간을 뛰어넘어 신에게 가까이 가는 출구를 마련해 준다. 특히 그 가운데 명상과 계시는 신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방법이었다. 하지만 이성적인 것이 아니므로 말로 설명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그렇게 씌어진 비밀의 지혜 카발라는 너무나 심오하고 아득하여 한낱 인간들이 함부로 범접하기엔 무척이나 난해하다. 더욱이 오랜 기간 비밀스럽게 전해져 왔기 때문에 이해하는 것도 쉽지 않은 것이다.
카발라는 특정한 말과 수를 중시하는데, 거기에 신의 힘이 서려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또한 모든 사물은 보이는 모습만으로는 알 수 없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믿는다. 이 미지의 지혜는 이렇게 창조주의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법칙을 노래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우리와 아주 동떨어진 것은 아니다. 인간이 인생을 살아가는 동안 속하여 경험하게 되는 불변의 법칙을 밝혀내기 위한 통로일 뿐이다. 《카발라 탈무드》는 독자들이 우주의 에너지가 깃들어 있는 그 신비의 통로에서 신의 소리에 귀를 기울일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당신의 행복한 인생을 위한 최고 멘토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장님이 길을 가기 위해선 안내자가 필요하다. 그것이 지팡이가 됐든, 안내견이 됐든 간에 그를 이끌어 주는 존재가 있어야 하는 법이다. 사실 한치 앞도 알 수 없는 우리도 장님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래서 우리는 멘토를 구하고 그에게서 조언을 얻는다.
여러분이 인생의 어두운 골짜기를 만나 길을 잃었을 때 《카발라 탈무드》는 훌륭한 멘토가 될 것이다. 이 안내자는 문제 해결을 위해 보석과 같은 조언을 아끼지 않는다. 그러나 맑고 투명한 정신의 고양만이 아니라 현대사회에서 잘 살아갈 수 있는 현실적인 비법도 소개한다. 성공을 위해 지녀야 할 마음가짐이나 커뮤니케이션 방법, 멀리해야 할 것들, 이성이나 감성 모두 충만한 아이를 키우기 위한 부모의 역할 등이 그것들이다.
《카발라 탈무드》에는 세상에 대한 적극적인 질문과 자기성찰, 꿈을 이루고자 하는 노력과 실천이 제시된다. 이것은 탈무드에서 제시하는 가르침의 방식, 즉 ‘대답보다 질문을 평가한다’라는 보다 구체적이면서도 근본적 삶의 지침을 보여준다.
즐겁게 배우는 흥미진진 탈무드
유대인의 교육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가운데 우리가 배워야 할 한 가지는 재미난 가르침이다. 일반적으로 ‘가르침’이나 ‘교훈’이라고 하면 딱딱하고 지루한 것을 떠올리기 마련이다. 이것은 그만큼 거리감이 들어 쉽게 접할 수 없게 한다. 하지만 ‘한바탕 배꼽 잡고 웃어라, 길이 열리리라’는 유대속담에서 볼 수 있듯이 유대인들은 유머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래서 어떠한 가르침이든지 적당한 유머를 더함으로써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게 하였다. 유머는 그들이 고통스런 역사에 얽매이거나 좌절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는 힘이 되었다. 《카발라 탈무드》는 재미난 이야기로 풀어낸 탈무드를 곁들여 즐겁게 깨달음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유대인의 생활 속 풍자와 재치 넘치는 유머는 여러분에게 유대인의 삶과 철학을 생생하게 전달할 것이다.
유대인들의 놀라운 성공비법과 함께 카발라라는 유대교의 신비로운 지식을 함께 담은 책이다. 이 책은 유대인들이 수천년이 넘는 시간 동안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을 수 있었던 비밀을 밝힌다. 또한 유대 신비주의인 카발라를 다루며, 맑고 투명한 정신의 고양만이 아니라 현대사회에서 잘 살아갈 수 있는 현실적인 비법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