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향기 은은한 어느 봄날에...
梅一生寒不賣香
매 일생한 불매향
매화는 평생 추위에 떨며 살아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
매향을 파는 곳이 없으니 돈을 주고도 살 수가 없다.
이른 봄이면 가장 먼저 정원 가득히 향기를 풍기는 것은 매화다.
돈을 주고 살 수는 없지만
매화는 언제나 벌과 사람들에게 향기를 그냥 나누어 준다.
Kenny G - Spring Breeze
매화는 우리네 정원에 눈이 내려도 피어난다.
그래서, 雪中梅는 더욱 반갑다.
桐千年老恒藏曲 동 천연노 항장곡
梅一生寒不賣香 매 일생한 불매향
月到千虧餘本質 월 도천휴 여본질
柳經百別又新枝 유 경백별 우신지
오동은 천년이 지나도 가락을 지니고 있고,
매화는 한평생 추워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
달은 천번을 이지러져도 그 본질이 남아 있고,
버드나무는 백번 꺾여도 새 가지가 올라 온다.
(신흠 (象村 申欽/1566~1628) 조선시대 4대 문장가)
이른 봄이면 우리에게 가장 먼저 봄소식을 전하는 것은 매화다.
물론 산에는 복수초와 노루귀, 바람꽃이 피지만
매화는 우리네 정원에 눈이 내려도 피어난다.
그래서, 雪中梅는 더욱 반갑다.
이른 봄 눈속에 피는 매화는
'봄눈 녹아 흐르는 맑은물에 얼굴을 씻고
아침 햇살에 환하게 웃는 청순한 소녀'와 같다.
낙엽이 지는 가을을 쓸쓸히 보내고
겨울의 눈보라와 찬바람을 혼자 견디고
이른 봄 햇살을 보고 방긋 웃는 매화는
철부지 시절 시냇물에서 함께 멱을 감던
청순의 소녀의 티없는 미소를 생각케 한다.
추위가 물러가기 전에 꽃망울을 터뜨리며 봄을 재촉하는 꽃, 매화.
그 중에서도 양산 통도사 홍매화는 300년이 넘는 세월을 간직한 고목으로,
빼어난 자태를 자랑하는 통도사의 명물이라고 하는데.
화사한 빛깔과 그윽한 향기로 봄을 선사하는
통도사 홍매화를 찾아 그 아름다움에 취해 본다.
춥고 기나긴 겨울은 시간의 흐름 앞에 자리를 내 놓아야만 한다.
자연의 섭리이자 순리죠. 겨울의 끝자락에 피어난 영축총림 양산 통도사의 홍매화
이 때쯤이면 양산 통도사에는 많은 사진작가들이 찾와와 붐비지요. 왜일까?
통도사 '자장매화'라고 하는 홍매화를 촬영하기 위해서다.
'영각' 앞에 고풍스런 모습으로 서 있는 홍매화.
영각은 역대 주지 및 큰스님들의 영정 85폭을 봉안한 건물로,
정면 8칸 측면 3칸의 긴 장방형 평면으로 된 팔작지붕을 한 건물입니다.
초창연대는 분명치 않으며, 현재의 건물은 1704년(숙종 30년)에 지었다고 전합니다.
이 홍매화는 통도사 창건 조사 신라시대 자장율사(590~658)의 법명에서 비롯됐다고 하여,
자장매(慈藏梅)라고 부르고 있다고 합니다.
매화를 찍는 동안 어디선지 직박구리 한 마리가 날아와서 놀았다.
꿀을 먹기 위하여 날아온 벌이나 벌레들을 잡아 먹으러 왔지만
사진을 찍는 사람들에게는 좋은 모델이 되었다.
첫댓글 1234567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