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18개월 남자아이 키우고 있어요!
에너지가 너무과할정도로 넘치고 개월수보다 말도 빠르고 행동도 빠르고 똑똑한 아이입니다.
돌전에는 자주놀던 한살형아에게 자주 밀침당하고 맞고 ...돌지나고 시누아들하고 3일 생활하다보니 그집아들이 자주 꼬집고 물고 많이 당하고 왔어요! 어린이집에서도 시누아들 손톱 바짝잘라서 보내라고 했다네요~ 자주얘들을 물고 꼬집는아이라고...
그 뒤로 그래서인지 몰라도 아들래미가 또래아이나 형,누나할거없이 꼬집고 물더라구요! 한시라도 눈을 뗄수가 없을 정도예요!
사촌 누나들 어깨 등 물고 꼬집어서 상처가 심하게 나고 놀이터나,키즈카페,아이들 모여있는곳 등등 저만 화가나서 집에 들어와요.... 모르는 아이엄마랑도 싸우기도 하고 사과도 많이하고 아이에게 그자리에서 화내기도 해보고 손도때려도보고 이러다간 혼자놀게 생겼어요.
6개월동안을 "안돼! 무는행동은 나쁜행동이야!" 백번 말하고 저음으로도 단호하게도 해보고 이제는 제가 잘못키워서인지 심각한 고민에 빠져있습니다.
육아로 힘이들때 아이보는데서 싸우기도 하고 몇번 폭력까지오간적도 있었어요!
아이가 신랑하구 조금만 큰소리로 얘기하면 알아체고 울고 싸움이 심각해지면 그어린것이 혼자울다 방에가서 잠을 자버립니다.... 절대 혼자 자는적이 없는아이예요! 그런일이 한두번이 아니예요~
아이한테도 문제가 있는건지 저희부부 싸우기만하면 울며 방으로 가서 잠들어요~깊은잠은 아닌것같은데....안되지하면서도 이문제로 아이상담,부부상담도 생각해봤는데 지방이라 찾기가 힘들어 이곳을 검색해서 알아보게 됐습니다.
어디서든 다 이시기에 물고 꼬집고 한다는데 너무 속상하고 밖에 나가기가 싫을정도입니다!
양육하는 제가 정신과상담을 받아야 하는지...명쾌한 답변좀 주세요!정말이지..이대로는 아이정서상,저희부부 너무 힘이듭니다.....
A.안녕하세요.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입니다.
아이가 물꼬 때리는 행동을 보여서 여러가지고 염려되시는 어머님의 마음이 느껴집니다.
또 이유를 생각해보다가 부부사이의 싸움이 아이에게 나쁜 영향을 미친 것이 나닌지 걱정되기도 하고 또 눈치를 보는 아이가 안타깝기도 한 마음을 가지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들이 공격적인 행동을 일시적으로 모방할 수는 있어서 이런행동이 지속될 때는 아이의 심리적인 어려움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아이들이 공격적으로 대처를 할 때는 자신의 마음을 들어주는 사람이 없다거나 이렇게 밖에 표현할 수 없을 때 주로 그런 방법을 택합니다.
어머님께서 아이양육에 최선을 다하는 것으로 보여지나 구체적으로 아이가 느끼기에는 불만족스러운 상황이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부부싸움도 아이가 느끼기에는 불안정함을 주는 부분으로 신뢰감을 가지고 부모님께 기대지 못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어머님의 마음도 복잡한 부분이 있고 아이의 공격성도 깊히 살펴 보아야 하는 측면이 있는 바 가까운 상담센터에서 애착 검사 및 양육과 관련된 상담을 받는 것이 필수적일 것으로 사료됩니다. 지방이라서 상담을 받기 어려우시다고 하셨는데 가까운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간단한 상담이 가능하고 본 센터의 경우 예약 접수 후 전화상담도 가능하니 여러가지 방법을 찾아보기시를 권합니다. 짧은 답변이지만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현명하게 부부갈등에 대처하는 방법
■ 갈등 상황에서 부부 각자만의 시간을 갖기
서로 다른 환경에서 성장한 두 사람이 하나의 가정을 이루어 살아가는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하는 것은 너무나도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그러나 그 갈등을 어떻게 해결해 나가는가에 따라 가정 내에서의 부모와 자녀의 삶의 만족도는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갈등이 생겼을 때 감정적으로 대화를 주고받는 것 보다는 적당히 거리를 두고 각자만의 시간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먼저 자신의 마음에 올라오는 감정을 충분히 느껴준 후, 갈등 상황을 적당한 거리를 두고 살펴보는 노력을 합니다.
갈등이 고조되었을 때 서로 거리를 두는 시간을 갖고 나면 훨씬 더 이성적이고 지혜로운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
■ 자녀가 안심하고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부부간의 갈등은 자녀에게 심리적, 정서적으로 불안과 두려움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부모의 갈등에 지나치게 많이 노출된 자녀들은 언제나 알 수 없는 죄책감을 안고 살아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부사이에 갈등이 발생했을 때, 최우선적으로 자녀가 안심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상황에 대해 아이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주고, 이러한 갈등이 부부간의 사랑에서부터 시작되며, 갈등이 해결되는 과정을 통해 더 신뢰와 믿음이 쌓여나간다는 것을 갈등해소과정을 통해 자녀에게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부부갈등 속에서 부모가 느끼는 심리적 고통은 고스란히 자녀에게 전달된다는 것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전문가의 도움 구하기
부부간의 갈등이 계속적으로 반복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시도가 될 수 있습니다.
부부사이에 현명한 해결점을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반복되는 갈등은 부부 사이의 벽을 두껍게 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통해 부부간의 갈등의 원인을 찾고, 지혜로운 방법을 찾아나가는 노력은 부부사이 뿐 아니라 가정의 행복을 지키는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쑥박사의 고민상담소 "외모콤플렉스를 어떻게 극복할까?"
[상담후기] >> 음식을 삼키지 못했던 아동 치료후기
[온라인상담하러가기]
*참고문헌
김진.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가 자녀의 이성관계 갈등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경기도
Center for Children and Youth. “5 Ways to Handle Disagreements in Front of Your Kids”. April 21, 2017.
https://ccy.jfcs.org/5-ways-handle-disagreements-front-kids/ accessed January 5, 2023.
*사진출처: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김단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