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 단백질 식품 트렌드와 시사점 : 푸드테크가 여는 새로운 미래
작성자김보경날짜2021.04.30
TF16호. 대체 단백질 식품 트렌드와 시사점.pdf.pdf목차Ⅰ. 대체 단백질 식품 시장 현황
Ⅱ. 대체 단백질 식품 기업 사례로 보는 트렌드
1. 햄버거가 쏘아올린 공, 이제 닭 없는 달걀, 바다 없는 참치
2. 접시 위에 오르는 동물 세포 배양육
3. 촘촘해지는 B2B 생태계
4. 중국, 대체육 시장에 눈뜨다
Ⅲ. 결론 및 시사점요약코로나19 이후 건강, 환경, 동물 복지 등 사회ㆍ환경 부문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식물성 대체육을 중심으로 대체 단백질 식품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대체 단백질(Alternative Protein) 식품이란 동물성 단백질 식품 제조 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원료 대신 식물 추출, 동물 세포 배양, 미생물 발효 방식을 통해 인공적으로 단백질을 만들어 맛과 식감을 구현한 식품을 의미한다. 비욘드미트, 임파서블푸드, 오틀리 등 글로벌 기업의 성장에 힘입어 대체 단백질 식품은 '특별하고 신기한 제품'에서 '일상적 소비제품'의 범주로 이동하고 있다. 대체 단백질 식품 시장 활성화는 소비자의 지속가능성 중시에 따른 장기적 트렌드로 식품 산업뿐 아니라 유관 산업의 변화를 촉진해 약 3천 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
대체 단백질 식품 트렌드와 시사점
: 푸드테크가 여는 새로운 미래
[해당 보고서는 무역협회 유투브에서 영상으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클릭]
코로나19 이후 건강, 환경, 동물 복지 등 사회ㆍ환경 부문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식물성 대체육을 중심으로 대체 단백질 식품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대체 단백질(Alternative Protein) 식품이란 동물성 단백질 식품 제조 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원료 대신 식물 추출, 동물 세포 배양, 미생물 발효 방식을 통해 인공적으로 단백질을 만들어 맛과 식감을 구현한 식품을 의미한다. 비욘드미트, 임파서블푸드, 오틀리 등 글로벌 기업의 성장에 힘입어 대체 단백질 식품은 ‘특별하고 신기한 제품’에서 ‘일상적 소비제품’의 범주로 이동하고 있다.
대체 단백질 식품 시장 활성화는 소비자의 지속가능성 중시에 따른 장기적 트렌드로 식품 산업뿐 아니라 유관 산업의 변화를 촉진해 약 3천 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최근 주목받고 있는 대체육의 경우 2030년 전 세계 육류 시장의 30% 규모로 성장하고 2040년에는 60% 이상을 차지해 기존 육류 시장규모를 추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단백질 재배·사육 시대에서 추출ㆍ발효ㆍ배양 시대로의 전환기를 맞아 시장 트렌드를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4가지로 분석했다. 대체 단백질 제품은 지속적인 R&D 투자 확대와 식품기술 혁신을 통해 다양한 대체 제품과 새로운 제조 방식이 상용화되고 있으며, 대체 단백질 식품시장은 B2B 생태계 조성, 중국 시장 공략 본격화 등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대체 단백질 식품 시장의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여 기업들은 현지 맞춤형 식감ㆍ맛ㆍ향 개발, 규모의 경제 실현, 국내외 협업을 통한 기술 개발 및 유통망 확대 등의 전략 실행이 필요하다.
대체 단백질 식품 시장 진출 시 건강ㆍ친환경 등의 가치 전달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지만 무엇보다도 현지 문화권의 기호에 맞는 맛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또한 식품 명칭, 영양 성분 등 규제 적용 상황과 클린 라벨 도입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뤄져야 하며 시장 확대의 촉매제가 될 생산 비용 절감을 위해 공정별로 최적화된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체 단백질 식품 시장은 B2B 네트워크 중심의 생태계가 조성되면서 대체 단백질 식품 기업 대상 제조기술, 식품 원료 및 첨가제 등 새로운 시장 수요가 창출되고 있다. 또한, 세계 최대 육류 소비국인 중국에서 글로벌 대체 단백질 기업들의 진출 가속화, 중국 기업들의 현지 맞춤형 대체 단백질 제품 출시 등으로 시장이 빠르게 확대 중이다. 중국 기업들의 대체육 제조기술은 아직 성숙하지 않아 기술 협력 수요가 클 것으로 기대되므로 대체육 관련 중국 소비자 트렌드 분석, 협력 가능한 중국기업 발굴, 국내외 대체육 관련 기업과의 기술 개발 및 유통망 확보를 통해 중국 시장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