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네카 인생철학이야기 /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인간이란 무엇인가? 인생이란 무엇인가?
사욕을 버리고 자신의 깊이를 더하라!
로마정신 세네카 삶과 지혜 철학사상!
로마지성의 선생 세네카
세네카(BC 4∼AD 65)는 제정로마시대의 정치가, 철학자, 시인이며 당대의 정신문화를 이끈 대표적 스토아철학자다. 세네카는 윤리적이고 종교적인 데에 멈추지 않고 그리스의 자연철학과 대결한 이론철학자이며 로마 최대의 비극 시인이었다. 또한 인간심리의 세밀한 관찰자요, 뛰어난 문장가였다. 그는 철학을 바탕으로 한 해박한 지식과 담론으로 어떤 문제나 고통에도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해주었으며, 현실문제를 다룬 뛰어난 연설로 로마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팍스 로마나’ 시대, 로마인들은 안정과 번영 속에 사치와 향락에 빠져들었다. 네로황제 스승인 세네카는 그에 대해 크게 우려하며, 문학적 기술과 개인 경험, 상식을 동원해서 로마인들을 교육하고자 했다.
세네카 철학은 윤리적 색채가 짙다. 더욱이 한결 깊은 인생철학적이다. 세네카는 자신을 성찰하면서, 다른 사람들에게 호소하고 위로하며 격려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그는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며 남의 고뇌와 빈곤과 절망에 구원의 손길을 뻗은 것이 아니다. 세네카 자신이 그 괴로움과 슬픔의 한가운데에 함께 서 있었던 것이다. 그는 철학자이기 전에 휴머니스트였다.
저 :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Lucius Annaeus Seneca)
고대 로마의 사상가이자 정치인이며, 시인이자 비극작가이다. 또한 후기 스토아 철학을 대표하는 철학자이자 네로 황제의 스승 겸 참모로도 유명하다. 세네카는 에스파냐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로마에서 자라면서 수사학과 변론술, 철학을 공부했는데 특히 스토아 철학자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는 평생 여러 가지 병으로 고생했는데 젊어서는 천식과 결핵을 앓았고, 이에 자멸적인 우울증으로 자살 시도도 여러 차례 했다. 늦깎이로 정계에 입문하지만 황제의 질투와 노여움을 사게 되어 8년간 코르시카 섬에서 유배생활을 하게 된다. 다시 로마로 복귀할 때 그에게 맡겨진 직책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어린 네로의 가정교사라는 숙명적인 자리였다. 결국 5년 동안 그의 가정교사로, 네로가 황제가 된 후에는 10년 동안 그의 보좌역을 맡게 된다.
황제가 된 후 처음 5년간 네로는 선정을 베풀지만 자신의 어머니를 죽인 후로 그의 폭정이 극에 달하자 회복하기 어려운 절망을 느낀 세네카는 관직에서 물러나 오로지 학문과 집필 활동에 몰두한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황제의 암살 계획에 연루되었다는 의심을 받게 되면서 네로로부터 즉각 자결하라는 명을 받는다. 결국 세네카는 자신의 제자였던 황제의 명을 받들어 스스로 혈관을 끊고 독약을 마시며 생을 마감했다.
공포와 광기가 소용돌이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부침이 많은 삶을 살아온 세네카의 이러한 경험이 바로 그의 철학적 근간을 이룬다. 키케로와 함께 로마 철학을 대표하는 세네카는 『서간집』, 『대화』 등과 「행복한 삶에 관하여」, 「관용에 대하여」 등의 에세이와 9편의 비극작품을 남겼다. 그가 남긴 저서들은 중세 이후 널리 애독되었는데,〈제2의 세네카〉로 불리는 몽테뉴와, 단테, 루소, 흄, 『월든』의 저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 등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고달픈 삶을 비추는 인생의 빛
이 책은 다음 3장에 걸친 세네카의 작품들에서 세네카의 인간과 사상과 더불어 인생론 행복론을 담고 있다.
‘인생이란 무엇인가’에서 세네카는 삶의 섭리, 현자의 떳떳한 마음, 마음과 감정을 다스리는 법, 사람들에 대한 위로, 행복한 삶에 대한 이야기를 친구들과 어머니 등 여러 인물과의 대화 형식으로 풀어내고 있다. 특히 ‘너그러움에 대하여’에서는 네로 황제에게 황제로서의 마음가짐과 태도, 군주의 도리 등에 대해 진솔하게 이야기한다. 개인적인 영혼에게 말하는 구체성, 서로 교감이 넘치는 절절한 내용을 담은 따뜻한 문체 등이 읽는 이의 가슴에 크게 와 닿는다.
운명을 사랑하라! 평생 삶의 공부책
세네카철학은 인간의 개인 영혼에 대한 부르짖음, 그 구원, 섬세한 온정, 죽음의 응시, 그리고 황제에 대한 선정권유로 엮였다. 세네카에게 있어서 철학은 마음을 진정하여 죽음을 생각하고, 인간세상을 과감하게 받아들여, 끊임없이 자신과 대화하며 영혼을 고결함으로 채우는 것이었다. 이것을 위해 좁은 윤리학을 넘어서 넓은 철학, 즉 자연학도 포함하는 배움에 이르기를 확실하게 주장하고 있다.
모든 종교적 원칙이나 신조, 일정한 틀 속에 갇혀 융통성이 없고 사리에 어두워 헛수고가 되지 않게 자기를 연마하는 것, 깊이를 더해 가도록 세네카는 타이르고 있다. 이 세상의 명성이나 영예, 지위나 재산 등에 매달리는 욕구로부터 벗어나라고 충고한다. 올바른 운명을 달게 받아들이는 것은 운명에 대한 사랑이 없이는 안 된다. 세네카야말로 이런 의미에서 니체의 선구자였다.
현대는 어지러운 정보사회, 약육강식의 경쟁사회, 유행에 현혹되는 자기상실사회이다. 자신을 잃지 않고 자기를 연마하여 인격을 깊이 있게 도야하는 데 얼마나 소홀한 시대인가. 이러한 시대에 로마 대철학자 세네카의 인생의 지혜를 모은 《세네카 인생철학이야기》는 현대인의 어두운 앞길을 밝혀 주는 등대가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