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正財)
육친별로 보면 큰아버지,큰어머니를 나타내고 남자는 정처를 의미하고 여자에게는 시어머니를 나타낸다.
헛점을 싫어하고 가식과 거짓을 모르는 정의로운, 기질을 내포하고,있으며 타인에게 신용이있고 고지식한 성질과 사리판단이 단순하여 그로인하여 발전의 경향이 늦는경향이 많다,
근면,성실하고 매사를 원만하게 처리한다, 반면에 정재가 많으면, 놀기만 좋아하고, 맺고 끊음이 없으며, 금전에는 인색하여, 수전노가 되기쉽다.재성이 간합이 많고, 사주가 신약이면,외면은 화려해보여도, 사람을 대하는것이, 내면으로 웃음을 가장한 간사함이 많아 아첨을 하는경우도 있다.
ㅡ허위를 모르는 고지식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천간에 정재가 있고 지지에 비겁이 있으면 겉과 속이 다른사람이다.
ㅡ정재가 3개이상 있으면, 결단심이 부족하고, 매사를 용두사미로 처리하는 기질이 있다.
ㅡ일간이 신강하여, 신왕 정재격은 사업가로서 크게 발전하고 그러나 편재와 정재가 혼잡되면 남자는 여자문제와 금전문제로 고민이 많다
ㅡ 신약하고 정재격은 남에게 의지하는 성질이 강하고, 신약사주에 재성이 강하면, 비겁과 인수가 있어야 발복하는데 다시 세운이나, 대운에서 일간을 생조할때 부귀가 형성된다
ㅡ 신왕사주에 재성이 왕성하면, 남녀 다같이 부귀가 따르나, 신왕사주에 재성이 약하면 사주에 식신, 상관이 있어야 발복한다.
ㅡ 신약사주에 재성이 약해도, 금전문제와 여자문제로 고민하고 그러나 종재격은 오히려 대부 대귀한다.
ㅡ남자사주에 신왕하고 일지에 정재가 있으면 처덕이 있고, 더하여 그의 처는 현모양처이다
ㅡ 년간에 정재가 있으면, 조부가 부귀한 사람이고, 십이운성에 장생, 건록,제왕드의 왕성한 십이운성과 동주하면 더욱 더확실하다.
ㅡ년과 월주에 정재과 정관이 있으면,부귀명문가의 출신이다.
ㅡ사주월간에 정재가 있으면 근면성실하다
ㅡ남자사주에 재성이 암장되어 있으면, 외첩을 두고 이중살림을 차리는 경우가 많다
ㅡ사주원국에 재성이 하나뿐이고 더하여 일간이 신왕하여, 재성이 용신이나 희신이 되면 부부금실이 좋다
ㅡ 사주에 재성이 일간과 합이 되어 나오는 오행이 용신이나 희신이 되면 아내로 인하 출세가 빠르고 금전적 이익도 많다
ㅡ 남자사주에 정재가 십이운성에 목욕이나 도화살이 동주하면 그의 처는 정절이 없어 부정하다
ㅡ 정재가 십이운성에 쇠,묘,사,절등에 동주하면, 그의 처는 신체및 용모가 보잘것이 없고, 더하여 부부간 불화한다
ㅡ사주에 정재과 겁재가 동주하면, 여자와 부친의 덕이 없거나, 금전적으로 인하여 고민이 따른다
ㅡ 정재와 인수가 동주하면 모든일에 실적이 나타나지 않으며, 더하여 금전이 들어오더라고, 빠져나가는 면이 많다
ㅡ여자 사주에 정재, 정관, 인수가 균형되게 있으면, 재색을 겸비하니, 아름다운 용모와 인격을 갖춘다
ㅡ여자사주에 정재가 많으면 빈곤하여, 천한 경향이 있는데 신약이면 확실하다
ㅡ여자사주에 정재과 인수가 많으면, 음란하거나 천부이며, 그로인해 부부간 갈등이 많고, 또한 간부를 두기 쉽다
ㅡ여자사주에 정재와 인수가 서로 형충파해가 되면 고부간에 갈등이 심하고, 그로인해 시비 다툼이 많다
ㅡ 정재와 정관이 조화를 이루면 남자는 자식이 똑똑하고, 여자는 남편복이 많다
ㅡ신약사주에 정재격은 빈천한 운명이고, 또한 신약하고 제왕하면 수명이 단명하다.
ㅡ신왕사주에 정재가 진술축미의 고에 있어, 세운이나, 대운에서 상충하게 되면, 길하게 된다.
ㅡ 사주원국에 간합된 오행이 재성이면, 남자는 처의 말에 순종하며,천간에 있는 재성이 일간과 합이되면, 처는 남편의 말에 순종하는사람이다
ㅡ천간에 재성은 지지에 뿌리를 두어야하지, 뿌리를 두지 못하는 재성은 구실을 못한다
ㅡ일간이 신왕하고 정재에 건록이 동주하면 부귀의 운명이며, 일건이 신왕정재격은 정관운에 발복한다,
ㅡ년과 월에 정재와 인수가 파극이 되면, 부모중에 한 분이 단명하다.
ㅡ여자사주에 재성이 없으면 자식복이 없고, 정재격에서 인성운을 만나면 직업 변동이 생긴다.
재성의 실전응용
육신통변를 살펴보면 결국은 , 체용의 분별인 용신을 알아야 통변을 해석할수있다는것을 알수있다, 일간이 약하는냐, 강하느냐에 따라 발복의 다르고, 정재가 많고, 적음에 따라 육신의 통변의 해석이 달라진다는 풀이다.
월령에 편재가 있으면, 편재격이라고 부르며, 정재가 있으면 정재격이라고하여, 십신격에 기초가 된다, 이때 편재가 있으면, 임기응변에 능하고, 재치가 있으며, 수완이 좋은 편이라는 편재의 성격이, 정재가 나타나면, 가식이 없이 착실하고, 근면한 성격의 소유자라는것이 연상되야한다. 이것에다, 일주의 십간과 십이운성을 가미하여, 성격을 분석한다는것을 알아야한다.
그와 함께 사주내의 육신의 통변역시 참고하니 사주는 복식법이다.
재성이 많으면 부옥빈인(富屋貧人)으로 가난하며, 재성인 여자가 많은것은,이것은 여자가 강하니 처의 주장이 강해서, 처의 말에 순종해야 가정이 편하다는 것이며, 재성인 재물이 많으니, 욕심이 많아 재물에 집착력이 강하고, 소년에 재다하면 조년극부(早年剋父)하던지 여무서출(如無庶出) 로,어릴때 아버지를 여의던지, 서출자손이라는 의미가 있고, 남의 집밥을 많이 먹는다는 뜻도있다,
어릴때의 재성운은 좋지않다라는것은 , 한창공부할나이에 재성의 인사인,오락,잡기,유희에 빠진다는 말이며,
여명역시 이와 비슷하고, 재성은 시어머니를 나타내므로 시어머니가 둘이라는 풀이도 나온다.
통변백번이라고, 그쓰임은 사람에게 있은것이니, 이 육신의 변화는 일간의 왕세에 따라 , 풀이가 다르다는것을 유념해야한다.
신약 재성격의 직업은 경리,은행원,재물을 관리하는 직업군이 좋다는것은 이 육신의 의미를 담고있다.
신약에 재성이 많다라고 하면, 상기의 의미들이 연상되어 떠올라야하고, 더불어 남명에 시상에 관살이 있으면, 그 처는 강한 성격의 소유자라고 판단해야한다.
재인의 교쟁 특히 일월간의 재인(財印)이 서로 극할때는 고부간의 물화갈등이 있다라고 한것은 육신으로 재는 처이며 인수는 어머니다, 그리고 월주는 부모궁이며, 일주는 부부궁으로, 이것이 일주와 월주에 서로 상극하고 있으면, 그의 확률은 더욱 높기에, 일월간의 충형극을 피하여 출산택일을 한다, 이것을 보더라도, 부모궁은 이미 사주에서 정해져간다는것을 알수있다.
천현갑 출산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