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설]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동짓날 찹쌀 새알심을 넣고 쑤어 먹는 팥죽으로, 동지두죽(冬至豆粥), 동지시식(冬至時食)이라고도 했다. 동지팥죽은 팥을 고아 죽을 만들고 여기에 찹쌀로 단자(團子)를 만들어 넣어 끓인 것이다. 단자는 새알만한 크기로 만들기 때문에 옹시래미[새알심]라고 부른다. 팥죽을 다 만들면 그릇에 담아 먼저 사당에 올리고 각 방과 장독, 헛간 등 집안의 여러 곳에 놓아두었다가 식은 다음 식구들이 모여서 먹는다.
[연원 및 변천]
중국의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의하면, 공공씨(共工氏)의 망나니 아들이 동짓날에 죽어서 역신(疫神)이 되었다고 한다. 그 아들이 평상시에 팥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사람들이 역신을 쫓기 위해 동짓날 팥죽을 쑤어 악귀를 쫓았다는 것이다. 동지에 먹는 팥죽은 단지 화를 피하고 복을 부르는 주술적인 기원 외에도 겨울을 슬기롭고도 과학적으로 보낸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담겨 있다.
예부터 설, 한식, 추석에 이어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였던 동지는 음력 11월에 들어서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먹는다”, “동지를 지나야 한 살을 더 먹는다”는 등의 속담도 전한다. 동짓날 먹는 팥죽은 시절식(時節食)의 하나이면서 신앙적인 뜻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점은 음양사상(陰陽思想)의 영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즉. 팥은 붉은색으로 ‘양(陽)’을 상징하므로 ‘음(陰)’의 속성을 가지는 역귀나 잡귀를 물리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래서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는 팥죽을 쑤어 놓고 삼신·성주께 빌고, 모든 병을 막는다고 하여 솔잎으로 팥죽을 사방에 뿌린다. 경기도 지방에서는 팥죽을 끓여서 사당에 차례를 지낸 후, 방을 비롯한 집안 여러 곳에 한 그릇씩 떠놓기도 한다.
이렇듯 동짓날의 가장 보편적인 행사는 팥죽을 쑤어 먹는 것으로, 동지가 음력으로 11월 10일 안에 들면 애동지라 하고 중순께 들면 중동지, 20일이 넘어서 들면 노동지라고 하여 동지가 드는 시간에 따라 명칭을 달리하여 불렀다. 그리고 애동지는 어린아이들에게 좋지 않다고 하여 이때는 팥죽을 쑤어 먹지 않고 팥시루떡을 해서 먹는 세시속(歲時俗)이 있었으나 요즈음은 건강 보양식, 기호 식품 등으로 상품화되었다.
[만드는 법]
쌀은 씻어서 30분 정도 불린 후 소쿠리에 건져 물기를 빼고, 팥은 씻어서 냄비에 담고 팥이 잠길 정도로 물을 부어 끓인 뒤 살짝 끓어오르면 물을 따라 버린다. 다시 물 8컵을 부어 1시간 정도 팥을 삶는다. 팥이 푹 물러지면 뜨거울 때 주걱으로 으깨고, 체에 물 10컵을 조금씩 부어가며 걸러서 껍질은 버리고 앙금은 가라앉힌다.앙금이 가라앉으면 윗물을 냄비에 넣고 끓인다. 물이 끓어오르면 불린 쌀을 넣고 주걱으로 한 번씩 저어 주며 쌀알이 완전히 퍼질 때까지 끓인다. 쌀알이 퍼지면 팥 앙금을 넣어 잘 어우러지게 저으면서 끓인다. 찹쌀과 쌀을 섞어서 가루 낸 것에 찬물 3/4컵을 부어 반죽한 다음 새알심을 동그랗게 빚어서 넣는다. 새알심이 익어서 위로 떠오르면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센 불에 새알심을 넣어야 쉽게 퍼지지 않는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예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붉은색을 띠는 팥이 음귀(陰鬼)를 쫓는 데 효과가 있다고 믿었다. 이 때문에 전염병이 유행할 때는 우물에 팥을 넣으면 물이 맑아지고 질병이 없어진다고 믿었다. 사람이 죽으면 팥죽을 쑤어 상가에 보내는 관습이 있는데, 이는 상가에 있는 악귀를 쫓기 위함이다. 따라서 동짓날 팥죽을 쑤어 사람이 드나드는 대문이나 문 근처의 벽에 뿌리는 것 역시 악귀를 쫓는 주술 행위의 일종이다. 경사스러운 일이 있을 때나 재앙이 있을 때 팥죽, 팥떡, 팥밥을 하는 것은 모두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동지팥죽은 이웃에 돌려가며 서로 나누어 먹는다. 또 이사 온 집에서는 팥시루떡을 해서 고사를 지내고, 많은 사람들이 나누어 먹을 수 있도록 이웃집에 돌리기도 한다. 또한 추운 겨울날엔 노상에서 파는 팥죽 한 그릇으로 추위를 달래기도 했는데, 이것은 붉은색 팥으로 귀신들을 쫓아내는 주술적인 의미 외에도 팥이 열을 내는 식품이기 때문에 절기 중 가장 추운 동지에 몸을 보양하는 의미에서 먹기도 하였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