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제막급(口筮臍莫及) 또는 서제지탄(口筮臍之歎)이란 낯선 격언이 있다. 일이 지난 뒤에 후회해도 소용없다는 뜻으로 후회막급과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 서제막급은 사향노루에서 나온 말이다. ‘서제’란 배꼽을 씹는다는 뜻이고 여기서 배꼽이란 수컷 사향노루의 ‘사향주머니’를 말한다. 그러면 사향노루는 왜 제 배꼽을 씹게 된 걸까?
옛날 한 사향노루가 사냥꾼의 화살에 맞고 죽게 되자 자신이 사향 때문에 죽게 된 것을 알고 화가 나 배꼽(사향주머니)을 물려고 했지만 입이 닿지 않았다는 데서 나온 이야기다. 물론 전해오는 이야기일 뿐이다. 사향노루가 자신의 사향주머니 때문에 죽었는지 알 턱이 없다. 이는 기회(미리 사향주머니를 떼는 것)를 잃으면 뒤늦게 후회해도 소용이 없음을 빗대어 설명한 이야기다.
-
- ▲ 환상의 동물-사진은 사향노루 암컷으로 털색은 수컷과 같으나 송곳니가 보이지 않는다. 수컷은 위턱에 두 개의 송곳니가 입술 밖으로 튀어나와 있다.
한의학에서는 3대 동물 약재로 웅담ㆍ녹용ㆍ사향을 꼽는다. 녹용의 경우 사육하는 사슴도 많고 수입산도 많아 이제 귀한 약재에서 제외됐다. 웅담은 녹용에 비해 구하기 힘들지만 이 역시 국내에 1000마리 넘게 사육되고 있어 음성적으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사향의 경우 전량 밀수 또는 밀렵에 의존하기 때문에 매우 귀해 일반 한의원에서는 아예 처방전에서 제외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향은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물론 중국과 일본에서 기사회생의 영약으로 취급됐다. 한방에서는 경기ㆍ경련ㆍ심장마비에 처방해왔고 최음제로도 사용했다. 분명히 사향은 그와 같은 질환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때는 별다른 치료법이나 약물이 없었던 시절이다. 첨단 의술과 대체 약물이 흘러넘치는 지금도 사향에 대한 맹신이 지속된다는 게 문제인 것이다. 사향을 제외하면 고기는 맛이 없어 러시아의 경우 개먹이로 준다. 또 털은 쉽게 부서지며 가죽도 내구성이 약해 깔개나 각반(스패츠)으로 쓰일 뿐이다.
- 본래 러시아나 몽골 사람들은 사향노루를 거의 잡지 않았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중국ㆍ일본에서 수요가 많은 것을 알고부터 남획이 대폭 늘었다. 우리나라와 중국은 스스로 자기 땅의 사향노루를 멸종 직전에 몰아넣었고 인접 국가의 사향노루마저 격감시키고 있는 셈이다. 일본의 경우 애초에 사향노루가 살지 않았다.
사향노루는 사향의 명성과 달리 수수하게 생긴 동물이다. 아닌 게 아니라 사향주머니가 없었다면 고라니처럼 흔한 야생동물이었을 것이다. 사향주머니는 성숙한 수컷 사향노루에게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생식기와 진짜 배꼽 사이에 있으며 주먹보다 조금 작은 크기에 가죽주머니처럼 생겼다. 주머니 속의 선(腺)에서 젤리 형태의 사향을 분비하는데 그것을 말리면 검은색의 분말로 변한다. 수컷의 사향은 암컷을 유인하거나 영역을 주장하는 후각 신호로 이용한다.
-
- ▲ (왼)사향노루 박제. 1990년대 초반 강원도의 한 한약방에서 압수한 것이다. (오)밀렵된 사향노루 수컷의 사체. 2000년 4월 검찰에 압수된 것으로 밀수된 사향노루로 판명됐다. 밀렵꾼들은 국내에서 잡았다고 하면 죄가 더 무거워지므로 밀수했다고 우기는 경우가 흔하다. 물론 정말 밀수로 들어온 것일 수도 있다.
사향노루의 체형은 고라니와 비슷하지만 흑갈색의 털빛이 누런색의 고라니와 구별된다. 크기는 고라니보다 좀 더 작으며 수컷은 뿔이 없고 긴 송곳니가 돌출돼 있는 게 고라니와 같다. 사향노루는 설악산과 같이 바위가 많은 이른바 골산을 좋아한다. 그러나 지리산과 같은 육산에서도 칠선계곡처럼 바위가 많은 곳에서 서식했다.
아마 사향에 대한 수요가 없었던 오랜 옛날에는 전국 모든 산의 바위지대에 사향노루가 살았을 것이다. 즉 사향노루는 번식이 더디거나 서식환경에 대한 요구조건이 까다로운 동물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수백 년 동안의 박해에도 불구하고 아직 멸종되지 않은 게 신기할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