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 송산동 마을길 걷기
(서귀포 원도심 길)
일시 : 2019. 10. 26일(토) 10:00~12:00
장소 : 서귀포 원도심
주최 : 서귀포시청
주관 : 서귀포 송산동 마을회(회장(김영호)
진행 : 서귀포럼 대표 박정호
강사 : 윤세흠 (강정) 전 초등학교장
참가 : 50여 명
윤세흠(2019년 90세) 교장선생은 고향이 강정 분이신데 일제 때 서귀포에서 고등과(2년제)를 졸업했다. 2년 동안 학교에 다니면서 보고 느낀 것들 기억을 떠 올리며 소상하게 이야기를 전개시킨다. 신문에서 보고 윤교장님께서 해설을 한다고 하여 신청을 하고 갔는데 잘 갔다는 생각이 들었다. 과거를 잊지 않도록 간략하게나마 기록하여 신문에 기고했던 기사를 복사하고 오셔서 참가자들에게 나눠주는 열정도 보였다.
윤교장 선생님은 90세 나인데도 건강하시고 2시간 동안 쉬지도 않고 걸으면서 현장설명을 실감나게 들려주셨다. 서귀포럼 박 대표도 소상하게 근대사 관련하여 설명해 줘서 잘 듣고 왔다. 윤선생님은 후손들에게 전하는 말로 일제의 아픔 절대 잊어서는 안 된다고 하시며 과거를 떠올리며 눈시울을 붉혔다. 심상소학교에 석주명 선생 따님도 함께 공부했다고 하시며 졸업사진으로 보여줬다.
이 길은 지난 6월 경 문영택 질토래비 이사장이 진행하는 시간에 함께 걸어서 대충은 알고 있지만 그래도 윤세흠 선생님 살아온 이력을 말씀해 주셔서 아주 뜻 깊은 시간이라고 생각한다.




원 안에 여자가 석주명 선생 따님 석윤희

윤세흠 전 초등학교 교장

빙떡, 쉰다리, 앵두, 산물, 음료수 등 다양하게 준비하여

참가자들에게 넉넉하게 나눠주는 인심도 1등이었다.




심상소학교가 있던 자리(조선시대는 서귀진성이 있던 곳)

서귀진성 복원한 모습이고 둘레가 230m, 높이 평균 2,7m

객사건물 자리에 일제 때는 경찰주재소가 있었다.

경찰주재소 자리 표시

1702년 11월 이형상 탐라순력도 김남길 화공이 그렸음)





진성 안에 물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정방폭포 물을 수로로 만들어 이곳까지 끓어들인 집수정 터
수로 길이가 700m 정도로 볼 수 있다.

서귀포 원도심에서 어린시절을 보냈다고 회상하며
이야기를 나눈 고정매 문화관광해설사가 윤교장님과
과거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진성 곁에 있는 옛 탐라성 건물

중간에 서귀포병원으로 운영하다

현재는 빈 건물로 남아 있는데 문화공간으로 운영했으면 했다.

윤교장께서 심상소학 때 보았던 팽나무라고 한다.
저 할머니도 이 학교에 다녔다고 하시며 이야기를
함께 나누었다.

사회자가 시간이 되어서

이 행사를 준비하기 위하여 군산, 인천까지 가서 적산가옥과 그 지역에 일제 때 건물들은 어떻게 운영하며 어떤 모습으로 변했는지 답사를 하고 왔다고 하셨고

국토정보원 부탁하여 과거 서귀포 지역
사진도 요청하여 자료를 준비했다고

위성곤 의원도 참석하여 함께 들었다.

윤교장 선생님 이야기는 끝날 줄 몰라서 중간에 컷 하고

위성곤 의원께 준비하고 온 복사본을 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