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의 |
① 인간행위의 주관적 의미를 탐구하는 접근방법으로 현상학과 해석학에 기초를 둔다. 행위이론가들은 사회과학의 대상은 자연과학의 대상과 전혀 다르다고 주장하면서 가치문제를 중시하며, 개체주의적인 미시적 접근방법이라는 점에서 총체주의적 체제이론과 구별된다. ※해석학은 인간행위의 의미를 해석하려는 철학이다. 해석학은 어떤 뜻을 전달하려는 인간 행위의 언어(표현)를 대상으로 한다. ② M. M. Harmon의 행동사회적 관점은 조직생활에 새로운 기초를 형성하는 인식론적 방법과 개인의 대응성을 보다 명확히 이해시키는 규범적 방법의 두 가지가 있다. 전자는 인간의 행태보다 의도한 행위에 인식의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고, 후자는 公組織의 책임성 제고를 위한 규범적인 상호주관적 개인책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
주요 내용 |
① 행위의 의미를 탐구한다. 인간의 행위가 합목적적․의도적이며 인간은 자신의 활동과 관련하여 자아를 성찰할 수 있는 책임 있는 행위자임을 전제하고 있다. ② 개인과 사회의 상호적 영향을 중시한다. 주체와 객체간의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서 조직은 창조되고 유지될 수 있으며 행위 지향적 행정은 다른 사람들이 보는 현실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어야만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③ 현상학은 근본적으로 행정학 연구를 행정가의 일상적인 실제적 측면을 강조하는 미시적 관점으로의 방향 전환을 시도하는 것이며 많은 거시적인 문제들은 인간의 상호작용과 이해를 통해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④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을 구별한다.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은 전혀 다른 대상을 다룬다. 사회과학의 대상은 인간의 행위이다. 행위는 인간의 주관적 세계를 반영하는 것이며 무엇인가 가치 있는 목표를 추구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행위에 의미를 부여한다. 사회과학의 대상인 행위는 행위자에게 의미가 있는 것이지만 자연과학의 대상인 물질의 작용에는 그와 같은 의미가 없다. ⑤ 외재적 결정론을 배척한다. 인간의 행위가 사회적 제약요인 또는 비사회적 제약요인에 의해 외재적으로 결정된다는 외재적 결정론은 받아들이지 않는다. |
현상학과 무관한 것은?(2004년 강원도 9급)
① 간주관성 ② 가치주의 ③ 계량적 분석 ④ 의식주의
해설) 현상학은 인간을 행위의 주체로 보고 능동적․사회적 자아를 중시하는 모형이다. 따라서 행위자의 의식이나 내면적 가치, 행위자간 의사소통(간주관성)을 중시하며 계량주의와는 관계 없다. 계량적 분석은 행태론과 관련된다. 정답 ③
♣현상학의 본질
현상의 두 가지 의미 |
⑴ 정신현상: ① 인간의 행동은 내면세계나 의식세계의 산물로서 외면적 행태보다는 행위자의 내면적인 의도가 중요 ② 수동적 자아가 아닌 ‘능동적 자아’ 도출(인본주의) ⑵ 사회현상: ① 인간의 행동은 개체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성원간의 자유로운 의사소통에 의한 감정이입작용(간주관성)을 토대로 한 사회적 현상 ② 원자적 자아가 아닌 ‘사회적 자아’ 도출(고객이 원하는 것을 해결해 주어야 한다는 행정윤리 강조) |
간주관성 또는 상호주관성 |
구성원간의 상호작용, 사회성, 감정이입(他人이나 자연물 또는 예술작품 등에 자신의 감정이나 정신을 이입시켜 자신과 그 대상물과의 융화를 꾀하는 정신작용) |
다음 중 현상학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경북 9급)
① 인간을 의식과 의도성을 지닌 능동적 존재로 파악한다.
② 현상학적 접근방법에 있어서 중요한 분석단위는 자아개념, 상호주관성, 현상적 세계이다.
③ 현상학은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적인 방법에 의해서 파악하기보다 일반법칙적인 방법에 의해서 설명된다.
④ 종래의 객관주의, 논리실증주의가 적절히 다루지 못한 인간의 주관적 개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해설) 현상학은 다양화된 행정패턴을 중시하고 행정현상을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적인 방법에 의해서 파악한다. 정답 ③
♣현상학의 유용성
⑴ 행태론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한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및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이다. ⑵ 사회 현상 혹은 조직의 문제를 보는데 있어서 폭 넓은 철학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⑶ 나아가 가치중립적인 자세로부터 현상학적 접근으로의 전향은 사회정의․형평과 같은 규범성이 중시되는 신행정론의 이론적 바탕과도 맥을 같이하여 행동지향적 행정인, 후기관료조직의 교량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현상학적 행정이론과 관계가 있는 개념은?(2004년 행시)
① 가치 중립성 ② 능동적 자아 ③ 거시이론 ④ 경험적 검증가능성 ⑤ 일반법칙성
해설) 현상학은 인간을 능동적 존재로 본다. ①, ④, ⑤는 행태론이다. ③은 현상학은 개별적인 인간행위와 개인간의 상호작용의 분석에 역점을 두기 때문에 그 접근방법이 지나치게 미시적이다. 정답 ②
♣현상학과 행태론의 비교
비교 기준 |
행태론 |
현상학 |
존재론 |
實在論(의식이나 주관으로부터 독립하여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만 인정) |
唯名論(명분이나 가치 중시) |
접근방법 |
객관적 |
주관적 |
인식론 |
실증주의 |
반실증주의 |
인간성 |
결정론(수동성) |
자발론(능동성, 주의주의) |
방법론 |
일반법칙적 |
개개의 사례나 문제중심 |
관찰법 |
몰주관성 |
상호주관성 |
도구성 |
물화(인간소외) |
탈물화 |
설명의 초점 |
행태(Behavior) |
행위(Action) |
분석단위 |
개인, 조직, 국가 |
대면적 만남에서 나타나는 현상 |
설명양식 |
객관적인 인과관계 규명 |
행위자의 동기가 무엇인가 |
동기부여의 원천 |
자기의 이익 |
사랑, 상호간의 이익 |
현상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2003년 11월 부산시 9급)
① 인간의 일상적 실제적 측면 강조 ② 인간의 객관적 행태 설명
③ 인간의 자기성찰성 주장 ④ 반실증주의적 세계관
해설) ②는 행태론이며 현상학은 탈행태론, 후기행태론이다. 정답 ②
♣현상학의 내용
분석대상 |
개인을 초월한 객관적 현실이 아닌 주관적 현실을 중시 여기는데 이는 현실의 의미, 자아의식과 의식의 지향성 등이 고려된다. |
분석단위 |
자아 개념, 상호주관성(간주관성으로 ㉠ 인간이 의식과 의도성을 지닌 능동적 존재로서 파악되며, 사회적 현실은 주관적 현실로서 일상생활의 세계에서 상호주관성 내지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세계이다. ㉡ 조직은 그 속에서 상호 연결되어 살아가며 행동하는 다양한 개인들에 의하여 공유되는 것이다. 개인의 일상생활의 세계는 사적 세계가 아니라 상호주관적 세계로서 인식되는 것이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타인과 사회적 관계를 맺으며 상대방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것은 이것 때문이다. ㉢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을 중시한다. ㉣ 행위의 의미는 생활 속에서 삶을 영위하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되며 그것은 사회성을 지닌다), ㉤ 현상적 세계 등 |
변화에 대한 가정의 전략 |
인간은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으로 본다. 변화전략은 먼저 사회적 세계를 인식하고 현실을 공유하며 변화를 위한 의식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비판으로 틀린 것은?(2002년 경남 9급)
① 지나치게 사변적이고 철학적이기 때문에 주관적인 철학의 범주를 벗어나기 어렵다
② 행위의 목적성과의 도덕성을 찾아내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지만, 구체적인 기술에 대한 언급이 없다.
③ 인간행위의 많은 부분이 무의식적이나 집단규범 또는 외부의 압력 등으로 발생함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④ 너무 거시적 관점의 이론이다.
⑤ 전체적인 시각이 부족하다.
해설) 현상학의 개념만 정확히 파악하고 있으면 충분히 풀 수 있는 문제이다. 현상학은 개별적인 인간 행위와 개인간의 상호작용 분석에 역점을 두기 때문에 그 접근방법이 지나치게 미시적이다. 정답 ④
♣현상학의 문제점(한계)
⑴ 통제 가능한 직관과 形而上學的인 啓示에 근거를 둔 비과학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⑵ 행위의 목적성과 의도성을 찾아내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지만 이것들을 어떻게 찾을 것인가에 대한 방법과 기술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다시 말해서 문제는 제기하고 있지만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다. ⑶ 인간의 모든 행위는 의식과 의도의 산물이라고 가정되는데 인간행위의 많은 부분이 무의식이나 집단 규범 또는 외적 환경의 산물이라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인간은 능동적이라고 하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수동적인 경우가 더 많다는 것이다. ⑷ 개별적인 인간행위와 개인간의 상호작용의 분석에 역점을 두기 때문에 그 접근방법이 지나치게 미시적이고 원자적이며 따라서 사회적 차원의 분석에는 소홀하다. 행위자에 의한 의식적 선택의 역할은 과장하고 사회적․구조적 결정은 과소평가한다는 지적이 있다. ⑸ 지나치게 사변적․주관주의적 철학에 너무 의존한다. ⑹ 관리의 원칙이나 기술을 명시하지 못하고 경험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가설을 제시하지 못한다.
현상학적 행정학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00년 행시)
① 현상학적 행정학에서의 상호성은 행정윤리의 도출에도 기여한다.
② 현상학적 행정학은 행정현상의 관찰을 위하여 행동(action)이 아니라 행태(behavior)를 중시한다.
③ 현상학적 행정학은 합의적 의사결정보다는 투표에 의한 의사결정을 중시한다.
④ 현상학적 행동학은 수동적이고 사회적인 인간모형을 상정한다.
⑤ 현상학적 행정학은 능동적이고 원자적인 인간모형을 상정한다.
해설) ② 행동(Action)은 단순히 외면으로 표출된 행태(Behavior)가 아니라 목적을 가진 의도된 행동으로 현상학에서 중시한다. ③ 현상학은 투표행위와 같은 의사결정을 분석하는 공공선택이론과는 달리 자유스러운 의사소통을 통한 합의를 중시한다. ④, ⑤의 경우 원자적인 개별적 인간이 아니라 능동적․사회적인 인간이나 상호협력하는 인간이다. 정답 ①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특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1998년 경찰간부)
① 사회적 현실의 주관적 인식
② 반실증주의의 입장
③ 관료제의 비물상화(非物象化) 과정의 중시
④ 주의주의(主意主義)에 의한 인간본성의 파악
해설) 물상화(物象化)란 인간활동의 소산을 마치 인간의 소산이 아닌 어떤 것처럼 이해하는 것이며 인간과 그 창조물과의 변증법적 관계가 의식 속에서 상실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조직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화, 전문화, 비인간화됨에 따라 물상화되고 인간의 주관적 의미, 가치, 목적성 등을 객체화시킴으로써 인간상실을 유도하게 된다. 현상학은 관료제의 물상화 과정 해석에 중점을 둔다. 정답 ③
다음 중 현상학적 행정이론과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1996년 행시)
① 원자적 자아 ② 상호주관성 ③ 이상적 행정이론
④ 가치중립성 ⑤ 정치적 중립성
해설) 현상학은 사회현상 또는 사회적 실재란 자연현상처럼 사람과 동떨어진 객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본다. 즉, 사회현상이란 그 속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의식, 생각, 언어, 개념 등으로 구성되며, 그들의 주관적인 경험으로 이룩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회과학에서 형성하는 사유대상 또는 정신적 구성물은 자연과학의 그것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이다. 정답 ②
현상학적(Phenomenological)인 행정연구의 중심적 개념 혹은 접근방법이 아닌 것은?(1996년 입시)
① 의도성(Intentionality) ② 의미 있는 경험세계에 대한 관심
③ 언어와 상호주관성 ④ 경이적인 경험과 일상적인 경험의 중시
⑤ 인간의 의식밖에 있는 행정구조의 분석
해설) 현상학(1900년 : 독일의 철학자 Husserl에 의하여 발전되기 시작하여 Schutz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되었다)은 인간의 의식밖에 있는 행정구조의 분석이 아니라 사회적 행위의 해석에 있어서 의식의 의도성과 주관적 의미의 우선을 강조하고 나타난 것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말한다. 정답 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