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공부(工夫)
마음을 일으키면 발심(發心)이고
마음을 잡으면 조심(操心)이 되며
마음을 풀어놓으면 방심(放心)이다.
마음이 끌리면 관심(觀心)이고
마음을 편안(便安)하게 하면
안심 ( 安心 )이며
마음을 일체(一切) 비우면 무심(無心)이다.
처음 먹은 마음은 초심(初心)이고
늘 지니고 있는 떳떳한 마음이 항심(恒心)이며
우러나오는 정성(精誠)스러운 마음은 단심(丹心)이다.
작은 일에도 챙기면 세심(細心)이고
사사(私私) 로움이 없으면 공심(公心)이며
꾸밈이나 거짓이 없는 참마음이 본심(本心)이다.
욕망(慾望)의 탐심(貪心)과 흑심(黑心)을 멀리하고
어지러운 난심(亂心)과 어리석은 치심(癡心)을 버리고
애태우는 고심(苦心)을 내려놓으면 하심(下心)이다.
아~, 내 안에 파도(波濤 ) 물결 같은 많은 마음(심:心)이 있구나.
마음(심:心) 공부(工夫)
몸(신:身)만 안으면 포옹(抱擁)이지만
마음(심:心)까지 안으면 포용(包容)입니다.
운명(運命)이란 말은 쓰지 마세요.
쓰는 순간(瞬間) 당신(當身) 삶의 주인(主人)은 운명(運命)이 됩니다.
행복(幸福)은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찾아가는 것이다
행복(幸福)은 스스로 움직이지 않기에….
참사랑은 확인(確認)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믿음으로 확신(確信)하는 것이다.
인연(因緣)의 교차로(交叉路)엔 신호등(信號燈)이 없다.
스치던, 멈추던 선택(選擇)은 각자(各者)의 몫이다.
중국(中國) 전국시대(戰國時代) '묵자(墨子)'는 ‘고찰(考察)’, ‘근거(根據)’ ‘실천(實踐)’ 등(等)을 말할 때
세 가지 법칙(法則)을 강조(强調)했다.
깊이 생각하지 않고 여과(濾過) 없이 뱉은 말은 나를 해치고, 타인(他人)도 해치기 때문이다.
영국(英國)'대처'(Margaret Thatcher) 수상(首相)의 아버지도 대처에게 늘 이 말을 해 줬다고 한다.
“생각을 조심(操心)해라.
말이 된다.
말을 조심(操心)해라
행동(行動)이 된다.
행동(行動)을 조심(操心)해라 습관(習慣)이 된다.
습관(習慣)을 조심(操心)해라 성격(性格)이 된다.
성격(性格)을 조심(操心)해라.
운명(運命)이 된다.
우리는 생각하는 대로 된다.”
서로 간편(簡便)하다고 함부로 대(對) 하지 말고 잘해 준다고 무시(無視) 하지 말고
져 준다고 만만하게 보지 말고 곁에 있을 때 잘해라.
늘 한결같다고 변(變) 하지 않을 거라 생각하지 마라.
사람 마음 한순간(瞬間)이다.
실수(失手)가 계속(繼續)되면 실망(失望)하게 되고
실망(失望)이 계속(繼續)되면 포기(抛棄)하게 되고
포기(抛棄)가 계속(繼續)되면 외면(外面)하게 된다.
사람이 사람에게 등 돌리는 건 아주 쉬운 일이지만
소중(所重)한 사람을 놓치지 않으려면 계속(繼續) 노력(努力)해야만 한다.
나에게 소중(所重)한 사람은 대단한 능력(能力)을 지닌 사람이 아니라
보통(普通) 사람으로 평범(平凡)하게 사는 듯해도 함께 밥을 먹고 전화 ( 電話 )를 걸고
오늘의 이야기를 나눌 수 있고 웃을 수 있는 바로 그런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