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히타치 제작소(Hitachi)
일본의 복합 기업. 분야는 주로 전기 전자 산업, 중공업, 에너지 사업을 중심.
오랜 역사와 방대한 사업분야를 갖고 있는 대기업으로, 포춘 선정 전세계 글로벌 500대 기업 중 102위에 선정된 다국적 대기업이기도 하다.
1920년 설립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일본 15대 재벌이었던 아유카와(鮎川) 재벌이라고도 불렸던 닛산 콘체른 계열사들 중 하나였다. 창업자는 오다이라 나미헤이(小平 浪平)이며 히타치 제작소라는 사명의 유래는 이바라키현의 히타치시에 있는 히타치 구리 광산이다. 이 광산 작업용 기계수리소에서 일본 최초로 5마력 모터를 자체 개발한 것이 히타치제작소의 기원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군 최고사령부의 재벌 해체 작업에 의해 1946년 닛산 콘체른이 해체되면서 독립 기업이 되었다.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로 전자업계 사상 최대 적자폭인 7,880억엔(당시 환율로는 10조원에 육박)의 적자를 냈다. 심지어 본사 사옥도 팔고 이사 갔다. 하지만 2010년 들어서 다시 대규모 흑자를 기록. 2013년도에는 5,328억엔의 영업이익 및 3,640억엔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해 과거 최고 이익을 갱신했다.
2011년 8월 4일 갑자기 업계에서 루머 하나가 돌았다. "미쓰비시 중공업과의 사업 합병설이 사실이냐?"라고. 그리고 확인되었다. 다만 그 견해차가 있었다고. 결국 8월 4일 석간에 경영통합 합의 '환영' 사설과 기사가 나갔는데, 다음날 자정에 일본 각 통신사들은 속보로 "통합 합의를 잠정 유보했다"라고 속보로 타전. 그러다가 결국 화력발전 부문을 2014년 1월 합병하기로 합의했다.
2018년, 전통적인 제조업을 포기하고 고부가가치 사업분야에 집중하겠다고 선언했다. 같은 해 6월, 히타치의 화학 자회사인 '히타치 화성(日立化成)'이 납 축전지 데이터 날조를 하다가 발각되는 사건으로 인해 이미지에 타격을 입었다. 대상 제품은 약 6만대로 납품처는 약 500사에 달한다고 한다. 복수의 원자력 발전소에도 납입되었다고.
2019년 화학 자회사인 히타치 화성을 일본 화학 기업 쇼와덴코에 9,600억엔(약 10조원)에 매각되었다.
2020년에는 스위스의 중전기(重電機) 대기업인 ABB의 송배전 사업을 8조 2,000억원에 인수하여 지멘스 등 경쟁사를 제치고 송배전 사업 분야에서 세계 선두로 올라섰다.
3. 본사 및 지사, 공장
본사지구
본사 : 도쿄도 치요다구 마루노우치 1쵸메 6-6 일본생명 마루노우치 빌딩 (東京都千代田区丸の内一丁目6-6)
도쿄도 치요다구 마루노우치 1쵸메 6-1 마루노우치 센터 빌딩 (東京都千代田区丸の内一丁目6-1)
도쿄도 치요다구 소토칸다 1쵸메 18-13 아키하바라 다이빌딩 (東京都千代田区外神田一丁目18-13)
도쿄도 치요다구 소토칸다 1쵸메 5-1 스미토모 부동산 아키하바라 파이스토 빌딩 (東京都千代田区外神田一丁目5-1)
도쿄도 시나가와구 미나미오이 6쵸메 27-18 히타치 오모리 제2별관 (東京都品川区南大井六丁目27-18)
도쿄도 시나가와구 미나미오이 6쵸메 26-2 오모리 벨포트 B관 (東京都品川区南大井六丁目26-2)
도쿄도 다이토구 히가시우에노 2쵸메 16-1 우에노 이스트 타워 (東京都台東区東上野二丁目16-1)
도쿄도 미나토구 코난 2쵸메 18-1 JR 시나가와 이스트 빌딩 (東京都港区港南二丁目18-1)
지사
홋카이도 지사 : 홋카이도 삿포로시 츄오구 키타2죠 니시4쵸메 1 삿포로 미츠이 JP 빌딩 (北海道札幌市中央区北二条西四丁目1)
도호쿠 지사 :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 이치반초 4쵸메 1-25 히가시니반쵸 스쿠에어 (宮城県仙台市青葉区一番町四丁目1-25)
간토 지사 : 도쿄도 치요다구 마루노우치 1쵸메 6-1 마루노우치 센터 빌딩 (東京都千代田区丸の内一丁目6-1)
호쿠리쿠 지사 : 토야마현 토야마시 우시지마쵸 18-7 어반브레이스 12F (富山県富山市牛島町18-7)
츄부 지사 : 아이치현 나고야시 나카구 사카에 3쵸메 17-12 오츠도리 전기 빌딩 (愛知県名古屋市中区栄三丁目17-12)
간사이 지사 : 오사카부 오사카시 키타구 나카노시마 2쵸메 3-18 나카노시마 페스티벌타워 (大阪府大阪市北区中之島二丁目3-18)
주코쿠 지사 :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나카구 후쿠로마치 5-25 히로시마 후쿠로마치 빌딩 (広島県広島市中区袋町5-25)
시코쿠 지사 : 카가와현 타카마츠시 콘야마치 9-6 타카마츠 다이이치생명 빌딩 4F (香川県高松市紺屋町9-6)
큐슈 지사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사와라구 모모치하마 2쵸메 1-1 히타치 큐슈 빌딩 (福岡県福岡市早良区百道浜二丁目1-1)
사업부
빌딩 시스템 유닛 : 도쿄도 치요다구 칸다아와지쵸 2쵸메 101 워테라스 타워 (東京都千代田区神田淡路町二丁目101)
미토 사업소 : 이바라키현 히타치나카시 이치게 1070 (茨城県ひたちなか市市毛1070)
철도 사업부 : 도쿄도 치요다구 소토칸다 1쵸메 18-13 아키하바라 다이빌딩 (東京都千代田区外神田一丁目18-13)
카사도 사업소 : 야마구치현 쿠다마츠시 히가시토요이 794 (山口県下松市東豊井794)
미토 교통 시스템 본부 : 이바라키현 히타치나카시 이치게 1070 (茨城県ひたちなか市市毛1070)
헬스케어 사업부 : 도쿄도 다이토구 히가시우에노 2쵸메 16-1 우에노 이스트 타워 (東京都台東区東上野二丁目16-1)
산업, 유통 사업부 : 도쿄도 치요다구 소토칸다 1쵸메 5-1 스미토모 부동산 아키하바라 파이스토 빌딩 (東京都千代田区外神田一丁目5-1)
물, 환경 사업부 : 도쿄도 치요다구 소토칸다 1쵸메 5-1 스미토모 부동산 아키하바라 파이스토 빌딩 (東京都千代田区外神田一丁目5-1)
인더스터리 사업총괄본부 : 도쿄도 치요다구 소토칸다 1쵸메 5-1 스미토모 부동산 아키하바라 파이스토 빌딩 (東京都千代田区外神田一丁目5-1)
원자력 사업총괄부 : 이바라키현 히타치시 코쿠부쵸 3쵸메 1-1 (茨城県日立市幸町三丁目1-1)
에너지 사업부
발전사업부 : 도쿄도 치요다구 소토칸다 1쵸메 18-13 아키하바라 다이빌딩 (東京都千代田区外神田一丁目18-13)
전력유통사업부 : 도쿄도 치요다구 소토칸다 1쵸메 18-13 아키하바라 다이빌딩 (東京都千代田区外神田一丁目18-13)
신에너지 솔루션 사업부 : 도쿄도 치요다구 소토칸다 1쵸메 18-13 아키하바라 다이빌딩 (東京都千代田区外神田一丁目18-13)
에너지 생산 총괄1본부 : 이바라키현 히타치시 코쿠부쵸 3쵸메 1-1 (茨城県日立市幸町三丁目1-1)
에너지 생산 총괄2본부 : 이바라키현 히타치시 코쿠부쵸 1쵸메 1-1 (茨城県日立市幸町一丁目1-1)
에너지 사업부 업무총괄본부 : 도쿄도 치요다구 소토칸다 1쵸메 18-13 아키하바라 다이빌딩 (東京都千代田区外神田一丁目18-13)
글로벌 에너지 플랫폼 추진 총괄본부 : 도쿄도 치요다구 소토칸다 1쵸메 18-13 아키하바라 다이빌딩 (東京都千代田区外神田一丁目18-13)
금융 사업부
도쿄지구 : 도쿄도 치요다구 마루노우치 1쵸메 6-1 마루노우치 센터 빌딩 (東京都千代田区丸の内一丁目6-1)
신카와사키지구 : 카나가와현 카와사키시 사이와이구 카시마다 1쵸메 1-2 히타치 시스템 프라자 신카와사키 (神奈川県川崎市幸区鹿島田一丁目1-2)
사회 사업부
공공시스템 사업부 : 도쿄도 시나가와구 미나미오이 6쵸메 23-1 히타치 오모리 빌딩 (東京都品川区南大井六丁目23-1)
사회 시스템 사업부 : 도쿄도 시나가와구 미나미오이 6쵸메 27-18 히타치 오모리 제2별관 (東京都品川区南大井六丁目27-18)
디펜스 시스템 사업부 :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 토츠카구 요시다쵸 292 (神奈川県横浜市戸塚区吉田町292)
시스템&서비스 비즈니스 총괄본부
경영전략총괄본부 : 도쿄도 시나가와구 미나미오이 6쵸메 27-18 히타치 오모리 제2별관 (東京都品川区南大井六丁目27-18)
시스템&서비스 사업관리 총괄본부 : 도쿄도 시나가와구 미나미오이 6쵸메 27-18 히타치 오모리 제2별관 (東京都品川区南大井六丁目27-18)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 사업부 : 카나가와현 카와사키시 사이와이구 카시마다 1쵸메 1-2 히타치 시스템 프라자 신카와사키 (神奈川県川崎市幸区鹿島田一丁目1-2)
품질 보증 통괄본부 : 카나가와현 카와사키시 사이와이구 카시마다 1쵸메 1-2 히타치 시스템 프라자 신카와사키 (神奈川県川崎市幸区鹿島田一丁目1-2)
서비스&플랫폼 사업부
제어플랫폼 총괄본부 오미카 사업소 : 이바라키현 히타치시 오미카쵸 5쵸메 2-1 (茨城県日立市大みか町五丁目2-1)
제어플랫폼 총괄본부 히타치 오모리 제2별관 : 도쿄도 시나가와구 미나미오이 6쵸메 27-18 히타치 오모리 제2별관 (東京都品川区南大井六丁目27-18)
서비스 플랫폼 사업본부 보안사업 총괄본부 : 도쿄도 시나가와구 미나미오이 6쵸메 27-18 히타치 오모리 제2별관 (東京都品川区南大井六丁目27-18)
서비스 플랫폼 사업본부 IoT클라우드 서비스 사업부 오모리 벨포트 B관 : 도쿄도 시나가와구 미나미오이 6쵸메 26-2 오모리 벨포트 B관 (東京都品川区南大井六丁目26-2)
서비스 플랫폼 사업본부 IoT클라우드 서비스 사업부 오모리 벨포트 D관 : 도쿄도 시나가와구 미나미오이 6쵸메 26-3 오모리 벨포트 D관 (東京都品川区南大井六丁目26-3)
서비스 플랫폼 사업본부 IoT클라우드 서비스 사업부 히타치 오모리 제2별관 : 도쿄도 시나가와구 미나미오이 6쵸메 27-18 히타치 오모리 제2별관 (東京都品川区南大井六丁目27-18)
서비스 플랫폼 사업본부 IoT클라우드 서비스 사업부 JR 시나가와 이스트 빌딩 : 도쿄도 미나토구 코난 2쵸메 18-1 JR 시나가와 이스트 빌딩 (東京都港区港南二丁目18-1)
서비스 플랫폼 사업본부 IoT클라우드 서비스 사업부 요코하마 비즈니스 파크 :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 호도가야구 코도쵸 134 테크니컬 센터 (神奈川県横浜市保土ケ谷区神戸町134)
서비스 플랫폼 사업본부 IoT클라우드 서비스 사업부 요코하마 사업소 :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 토츠카구 요시다쵸 292 (神奈川県横浜市戸塚区吉田町292)
서비스 플랫폼 사업본부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부 오모리 벨포트 B관 : 도쿄도 시나가와구 미나미오이 6쵸메 26-2 오모리 벨포트 B관 (東京都品川区南大井六丁目26-2)
서비스 플랫폼 사업본부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부 오모리 벨포트 D관 : 도쿄도 시나가와구 미나미오이 6쵸메 26-3 오모리 벨포트 D관 (東京都品川区南大井六丁目26-3)
서비스 플랫폼 사업본부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부 요코하마 사업소 :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 토츠카구 요시다쵸 292 (神奈川県横浜市戸塚区吉田町292)
IT 프로덕트 총괄본부 요코하마 사업소 :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 토츠카구 요시다쵸 292 (神奈川県横浜市戸塚区吉田町292)
IT 프로덕트 총괄본부 오다와라 사업소 : 카나가와현 오다와라시 나카자토 322-2 히타치 시스템 프라자 오다와라 (神奈川県小田原市中里322-2)
IT 프로덕트 총괄본부 카나가와 사업소 : 카나가와현 하다노시 호리야마시타 1 (神奈川県秦野市堀山下1)
IT 프로덕트 총괄본부 JR 시나가와 이스트 빌딩 : 도쿄도 미나토구 코난 2쵸메 18-1 JR 시나가와 이스트 빌딩 (東京都港区港南二丁目18-1)
본부
사회 이노베이션 사업추진본부 시나가와 지구 : 도쿄도 미나토구 코난 2쵸메 18-1 JR 시나가와 이스트 빌딩 (東京都港区港南二丁目18-1)
사회 이노베이션 사업추진본부 마루노우치 지구 : 도쿄도 치요다구 마루노우치 1쵸메 6-6 일본생명 마루노우치 빌딩 (東京都千代田区丸の内一丁目6-6)
사회 이노베이션 사업추진본부 카시와노하 지구 : 치바현 카시와시 와카시바 178-4 카시와노하 캠퍼스 148지구 2 (千葉県柏市若柴178-4)
영업총괄본부 : 도쿄도 치요다구 마루노우치 1쵸메 6-6 일본생명 마루노우치 빌딩 (東京都千代田区丸の内一丁目6-6)
지적재산본부 : 도쿄도 치요다구 마루노우치 1쵸메 6-1 마루노우치 센터 빌딩 (東京都千代田区丸の内一丁目6-1)
연구소
사회혁신 협력센터 : 도쿄도 코쿠분지시 히가시코이가쿠보 1쵸메 280 (東京都国分寺市東恋ヶ窪一丁目280)
기술 혁신센터 중앙 연구소 : 도쿄도 코쿠분지시 히가시코이가쿠보 1쵸메 280 (東京都国分寺市東恋ヶ窪一丁目280)
기술 혁신센터 히타치 연구소 : 이바라키현 히타치시 오미카쵸 6쵸메 1-1 (茨城県日立市大みか町六丁目1-1)
기술 혁신센터 요코하마 연구소 :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 토츠카구 요시다쵸 292 (神奈川県横浜市戸塚区吉田町292)
기초 연구센터 : 사이타마현 히키군 하토야마마치 아카누마 2520 (埼玉県比企郡鳩山町赤沼2520)
중앙 연구소 : 도쿄도 코쿠분지시 히가시코이가쿠보 1쵸메 280 (東京都国分寺市東恋ヶ窪一丁目280)
히타치 연구소 : 이바라키현 히타치시 오미카쵸 6쵸메 1-1 (茨城県日立市大みか町六丁目1-1)
요코하마 연구소 :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 토츠카구 요시다쵸 292 (神奈川県横浜市戸塚区吉田町292)
사내 병원
히타치 종합 병원 : 이바라키현 히타치시 조난쵸 2쵸메 1-1 (茨城県日立市城南町二丁目1-1)
히타치 종합 병원 부속 타가 클리닛 : 이바라키현 히타치시 코쿠부쵸 2쵸메 1-2 (茨城県日立市国分町二丁目1-2)
히타치나카 종합병원 : 이바라키현 히타치나카시 이시카와쵸 20-1 (茨城県ひたちなか市石川町20-1)
히타치 건강 관리센터 : 이바라키현 히타치시 오세쵸 4쵸메 3-16 (茨城県日立市会瀬町四丁目3-16)
츠치우라 진료 검진센터 : 이바라키현 츠치우라시 칸다츠히가시 2쵸메 27-8 (茨城県土浦市神立東二丁目27-8)
4. 사업 분야
일반 가전제품부터 서버, 스토리지, 고속철도, 엘리베이터, 건설기계, 원자력 발전소에 이르기까지 단일 기업집단으로서는 매우 폭넓은 사업분야를 자랑한다. 회사의 모태가 된 제품이 모터이기 때문인지 관련 산업으로의 진출도 많은 편.
2018년(18년 3월~19년 4월) 기준 기타(Others)를 포함해서 8개 사업부가 존재하며 각 사업부가 평균 1조엔(원화로 약 10조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4.1. IT
고객과 협력에 의한 사회 이노베이션 사업에 공헌이라는 목적으로 시스템 통합, 정보처리기기 및 통신기기 개발을 한다.
정보기기는 IBM호환 대형범용기, PC서버, Unix서버 및 슈퍼 컴퓨터 제작, 산업용 PC, 하드디스크 등을 제작한다. Iot와 연계하는 클라우드 시스템 사업도 진행중이다.
통신기기는 후지츠와 NEC, 오키 전기공업 과 함께 '덴덴가족'의 일각으로, 그룹을 포함한 NTT그룹에 교환기 등 통신장비를 공급하지만, 오키 전기공업과 함께 중견의 지위에 있다. 또한 금융기관의 ATM제조도 하고있다.
스토리지 분야에서는 델·휴렛패커드 등과 함께 꾸준히 세계 5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4.2. 에너지
발전기, 변압기 및 전력설비를 생산하고, 일본내의 3개의 원자로 제조업체중 하나이다. GE에서 도입한 비등수형 원자로 기술을 도시바와 함께 제작하여 도쿄전력을 비롯한 회사에 납품하고 있다. 원자력 관계자 중에서는 '미츠비시 중공업, 도시바, 히타치 중에 히타치꺼가 제일 낫더라'라는 평을 듣는다.
증기 터빈 및 대형보일로는 미츠비시와의 합작회사인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로 이관되었다.
2020년 7월, 스위스의 대기업인 ABB의 파워그리드 부문을 인수하여, 히타치 ABB 전력망으로 새로 분사하였다. ABB의 전력사업이 세계 최고였기에, 지금은 히타치의 전력망 및 송배전사업이 세계 최고이다.
4.3. 그 외
Social Infrastructure & Industrial Systems
산업용 기계 및 플랜트와 원자력·태양광 등의 발전 시스템 등을 판매·유지보수하고 전력망도 구축한다. 110억달러를 주고 인수한 ABB의 파워그리드 사업부를 산하에 두고 있다. 엘리베이터, 고속철도같은 분야에도 진출해있고 세계적인 입지를 갖추고 있다.
Electronic Systems & Equipment
반도체 제조·검사장비 등을 담당한다. 2018년 기준 이 분야에서 세계 10위의 점유율을 가졌다.
Construction Machinery
이름 그대로 건설기계 사업부. 2018년 기준 캐터필러, 코마츠 제작소에 이어 세계 3위의 점유율을 자랑한다.
High Functional Materials & Components
특수강, 기능성 부품, 전선 등을 생산한다. 소재 쪽으로도 이름이 나있었는데 관련 자회사였던 maxell과 히타치 화성을 매각해버려서 화학 쪽과의 인연은 약해진 상황.
Automotive Systems
오토모티브시스템분야에서는 역사적으로 닛산자동차와 관계가 깊어 닛산계열 유력부품메이커 유니시아를 자회사로 하여 동사 오토모티브그룹에 통합하거나 기존의 히타치그룹이었던 토키코를 오토모티브그룹에 통합하는등 닛산과 계열 자동차부품메이커 자회사화를 진행시켰었다.
동사 자동차부품메이커 자회사 히타치오토모티브시스템즈와 2021년 1월1일 혼다기연공업 자회사였던
케이힌(Keihin),쇼와(Showa),닛신공업(Nissin) 3사를 경영통합 실시함으로서 종업원수 9만명의 거대집단이 탄생한다.
상호명은 히타치Astemo(Advanced Sustainable Technologies for Mobility,아스테모)주식회사.
Smart Life & Ecofriendly Systems
냉장고, 세척기, 에어컨이 주력상품이다. 에어컨 사업은 존슨 콘트롤즈에 상당한 지분을 매각했다.
Others
기타 나머지. 물류 사업이 대부분이라고 한다.
4.4. 철도차량
철도차량과 철도 차량에 탑재되는 전기기기, 전기설비, 좌석예약 및 발권 시스템, 신호기, 신호시스템, 중앙지령 등의 운행시스템까지 철도에 관한 모든 것을 만들수 있으며, 이는 세계에서 히타치가 유일하다. 또한 야마구치현의 카사도 사업장에서는 자사의 철도 차량도 제작하며, 신칸센 차량도 수주하고 있다.
국철 시대부터 도입하여 JR에서 대대적으로 사용중인 마르스(시스템)은 히타치와 국철이 공동 개발하였으며, 1960년부터 시스템 개발이 시작되어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다.
또한 JR 동일본의 중앙지령종합시스템인 ATOS도 JR 동일본과 히타치가 공동 개발을 통하여 시스템을 설계및 제작하였다.
철도 차량의 제작공장은 히타치 제작소 카사도 사업소 참조.
4.5.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2018년 기준 이 분야에서 세계 5위의 기업이다. 엘리베이터 테스트 타워로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G1 타워를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의 CTF 광저우에 세계 최고속 엘리베이터인 분속 1,260m급 엘리베이터를 설치했다.
히타치엘리베이터 사업부는 예전부터 한국의 63빌딩, 북한의 고려호텔 등 고층 건물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해 왔으며, LG산전 승강기사업부가 오티스에 합병되기 전까지 기술 제휴를 했었다.(~*GP시리즈)
2017년 12월에 한국 지사를 설립했는데 2019년 3월, 한국 사업을 접는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GBC 납품을 노리고 들어온건데 뜻대로 안되자 곧바로 철수한 듯.기사
4.6. 정밀기기
대학이나 연구소용 전자현미경이나 전자 측정장비 등의 사업분야가 있다. 이 분야는 판매처는 전 세계에 몇십, 몇백밖에 없지만 기기값이 아무리 싸도 10만 달러, 1억원 대가 기본값. (구모델이라 해도 약 7,000~8,000만원.) 특히 SEM 현미경 분야에서는 대단한 시장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저런 장비는 고장 나면 히타치 본사나 제휴업체에서 A/S를 받을 수밖에 없고... 그 비용도 많이 든다
4.7. 방위산업
방위산업 쪽에도 발을 담그고 있어서, 96식 120mm 자주박격포를 제작하여 육상자위대에 납품하기도 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97식 전차나 96/99식 경기관총 등을 생산하여 일본군에 납품하기도 했다.
'닛토덴코'(日東電工, 일동전공)라는 회사를 히타치가 인수해서 자회사로 만든 뒤, 건전지와 자기테이프 부문을 다시 떼어내서 만든 회사이다. 닛토덴코는 2003년에 히타치에서 독립을하여 현재는 히타치와 무관한 회사이다. maxell이란 브랜드의 뜻은 maximum과 dry cell(건전지)의 합성어이다.
그 외에도 다양한 전산소모품 등을 maxell 브랜드로 만들어 와서 일반인들에게 인지도가 나름대로 높다. 2014년 상장, 2017년 지분 공개매각을 통해 그룹에서 이탈했지만 히타치가 여전히 소수 지분을 유지하고 있다.
maxell 브랜드로 출시되었거나 생산중인 제품으로는 건전지, 공CD/DVD, 카세트테이프, 비디오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디지털 백업 테이프 등이 있다. 대부분 당대 혹은 현재 시장점유율 상위권을 유지한다.
5.2. 그 외
오랜 역사와 방대한 사업분야를 갖고 있는 만큼 그동안 철수한 사업도 굉장히 많다.
휴대폰을 생산하기도 했다. LG텔레콤 시절에 판매하던 캔유의 일부 모델도 히타치 휴대폰 기종을 베이스로 한 것도 있었다. 데스크톱 PC 또한 유명했으나 일본 국내에서만 통용되는 아키텍처의 기종이므로 일부층을 제외하고는 국내에서의 인지도가 전혀 없다. MSX 기종을 만든 일도 있다.
세가와 인연이 깊은 회사. 메가드라이브의 CPU를 원제작사인 모토로라로부터 하청 생산하여 세가에 납품하였던 것을 시작으로, 이후 세가 새턴과 드림캐스트에서도 자사의 CPU인 SH-2, SH-4를 채용하였다. 이렇게 CPU를 독자 설계하는 기술력을 보유했던 히타치의 반도체 사업부는 2003년 르네사스 테크놀러지가 설립될 때 주축이 되었다.
가전제품으로도 세계적으로 인지도가 상당했으며 우리나라에서 1970~1980년대만 해도 집에 히타치 TV나 VHS가 있으면 꽤나 잘 사는 축에 속했다. 물론 그 무렵 진짜 부의 상징은 소니 트리니트론 TV와 소니 베타맥스 VCR. 2018년부터 일본에서 자체 브랜드의 TV판매를 중단했지만 동남아 등 해외에서는 계속 OEM으로 판매 중이다.
IBM의 하드디스크 부문을 인수하여 하드디스크로도 유명하였다. 자세한 것은 HGST 항목 참고. 2012년 매각했다.
히타치 캐피탈로 할부금융사업도 벌였는데 미쓰비시 캐피탈에 매각했다. Hitachi Via Mechanic에서 대당 수십억짜리 산업용 정밀설비를 제조하기도 했으나 사모펀드에 팔았으며 MRI, CT 등의 의료영상기기 제작사로도 유명했지만 2020년 후지필름에 사업을 매각했다.
그 밖에 디스플레이, 증착장비, 화학, 전동공구, 카 네비게이션 등등 다양한 사업 부문 들을 매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