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 1인당 1대 이상의 휴대전화 보유 -
- 삼성전자 휴대전화 시장점유율 1위이며, 액세서리 수요 증가 추세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및 HS Code: 셀룰러 통신망이나 그 밖의 무선 통신망용 전화기(HS Code 851712)
□ 시장규모
o 시장조사 전문기관 Euromonitor에 따르면 2019년 사우디 휴대전화 판매량은 약 2,030만 대
- 세계 12위 규모 약 24억 달러 가치의 이동통신 시장
- 휴대전화 보급률은 약 140%로 평균 1인당 1.4대의 휴대전화 보유
2017 – 22년 사우디 휴대전화 판매 규모
(단위: 천 대, %)
구분 | 2017 | 2018 | 2019e | 2020e | 2021f | 2022f |
수량 | 19,990.9 | 20,242.8 | 20,289.9 | 20,240.8 | 20,235.6 | 20,260.8 |
증가율 | 0.5 | 1.3 | -0.2 | 0.2 | -0.0 | 0.1 |
주: 2019-20년 추정치, 2021-22년 전망치
자료: Euromonitor
ㅇ 사우디 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019년 1분기 기준 약 3,400만 인구 중 88%인 2,945만 명이 모바일 인터넷 가입
- 전체 인구 중 2,200만명은 사우디인, 1,200만 명은 제3국 노동자로 추정
- 휴대폰 보유 사우디인은 100%에 가까운 모바일 인터넷 사용으로 추정
- 청소부, 운전기사 등 제3국 노동자들은 모바일 인터넷 가입 비중 높지 않음.
2015-19년 사우디 모바일 인터넷 가입자 수
(단위: 만 명, %)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1분기 |
가입자수 | 3,152 | 2,388 | 2,972 | 2,915 | 2,945 |
인구대비 비율 | 100 | 75.2 | 96.3 | 89.5 | 88.1 |
주: 2019년 10월 기준 입수가능 최신 수치
자료: 사우디 통신정보기술위원회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Commission of Saudi)
o GCC 6개국 중 가장 큰 휴대전화 시장 보유
- 3,400만 인구로 GCC 국가 중 가장 큰 단일시장 보유
- 인구의 50%가 30세 이하이며 여성 1인당 합계출산율이 2.5명으로 향후 10년 동안 젊은층 인구 증가에 따라 휴대전화 시장 규모 증가 전망
- 하지만, 최근 강력하게 추진되는 사우디인 필수고용(Saudization) 정책으로 인해 제3국 노동자가 일자리를 잃으며 휴대폰 구입 및 모바일 인터넷 소폭 감소 중
□ 수입동향
o 2018년 사우디 휴대전화 수입액은 총 47억 6,589만 달러이며, 중국이 전체의 76.78%로 수입비중 1위 기록
- 중국에 이어 베트남(20.65%), UAE(1.55%), 미국(0.34%), 인도(0.29%), 대만(0.14%) 등이 주요 수출국
2018년 사우디 휴대전화 수입 규모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국가 | 금액 | 점유율 |
1 | 중국 | 3,659.4 | 76.78 |
2 | 베트남 | 984.2 | 20.65 |
3 | UAE | 74.0 | 1.55 |
4 | 미국 | 16.3 | 0.34 |
5 | 인도 | 14.0 | 0.29 |
6 | 대만 | 6.6 | 0.14 |
7 | 대한민국 | 3.6 | 0.08 |
8 | 아일랜드 | 1.6 | 0.03 |
9 | 이라크 | 1.5 | 0.03 |
10 | 기타 | 4.7 | 0.10 |
합계 | 4,765.9 | 100 |
주: HS Code 851712, 2019년 10월 기준 입수가능 최신 수치
자료: ITC Trade Map
o 2018년 기준 최근 5년간 사우디의 한국 휴대전화 수입은 약 98% 감소
- HS Code 851712 기준 2018년 사우디의 한국 휴대전화 수입은 359만 5천 달러 기록
- 삼성전자 휴대폰 생산 공장의 중국 및 베트남 이전으로 인해 한국에서의 對사우디 휴대폰 직접 수출 급감
2014-18년 사우디의 한국 휴대전화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HS Code | 품목명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85171200 | 셀룰러 통신망이나 그 밖의 무선 통신망용 전화기 | 273,686 | 77,201 | 58,906 | 12,484 | 3,595 |
주: 2019년 10월 기준 입수가능 최신 수치
자료: ITC Trade Map
o 삼성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약 40%로 1위이며, 이에 따른 스마트폰 액세서리 수요 높음.
스마트폰 액세서리 가격 및 특징
품목 | 사진 | 평균 시장 가격 | 특징 |
케이스 |  | SAR 50 – 100 (USD 15 – 40) | 기본 디자인 형태가 주를 이루며, 금색, 짙은 네이비색 인기 |
블루투스 이어폰 |  | SAR 100 – 200 (USD 26 – 53) | 운전 중 휴대폰 사용이 많아 블루투스 이어폰 인기 증가 |
보조배터리 (파워뱅크) |  | SAR 100 – 200 (USD 26 – 53) (10,000 암페어 기준) | 기본 디자인이 인기 있으며, 용량 및 브랜드에 따라 가격 상이 |
액정보호커버 |
| SAR 50 – 100 (USD 15 – 40) | 최신 스마트폰 용 액정보호커버 인기 |
자료: Souq.com(사진 및 가격)
□ 시장 트렌드
o 피쳐폰의 판매량이 줄고 저가형 중국 브랜드 스마트폰의 유입으로 스마트폰 시장 규모 큰 폭으로 증가
- 평균 스마트폰의 가격이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으며, 다양한 소득분위의 소비자들에게 스마트폰이 보급
- 삼성, 애플과 같은 비싼 가격에 형성된 대기업 제품대신 저가 브랜드의 스마트폰 선호 추세
o 스마트폰을 활용한 학습 증가
- 사우디 정부는 디지털화(Digitalization)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스마트 기기들을 유치원에서부터 대학까지 교육 시스템에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음.
o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접속량 19% 증가
- 사우디아라비아의 스마트폰 수요의 가장 큰 목적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1,100만개 정도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계정이 존재하며 이중 1,000만개의 개정이 매일 스마트폰을 통해 활성화
□ 경쟁 동향
o 한국, 중국, 미국 브랜드가 사우디 휴대전화 전체 시장의 약 69.2% 차지
- 주요 기업은 Saumsung(대한민국), Huawei(중국), iPhone(미국), Nokia(핀란드) 등
o 2019년 사우디 휴대전화 시장의 주요 브랜드 중 Huawei만이 유일하게 점유율 증가를 기록
- 제품 개발과 더불어 사우디 시장의 소매 유통 구조를 확보, 가격경쟁력을 통해 사우디 시장에서 점유율을 늘려나가는 중
2019 사우디 휴대전화 시장 주요 브랜드 점유율
(단위: %)
순위 | 기업명 | 점유율 |
1 | Samsung | 38.6 |
2 | Huawei | 16.1 |
3 | iPhone | 14.5 |
4 | Nokia | 11.0 |
5 | Lenovo | 6.2 |
6 | HTC | 2.3 |
7 | Motorola | 2.1 |
8 | Bee | 0.9 |
9 | LG | 0.6 |
10 | Sony | 0.4 |
기타 | 7.3 |
합계 | 100 |
자료: Euromonitor
o 현지진출 국내기업 A사에 따르면, 중국의 저가시장 진출전략으로 점유율이 다소 하락하는 추세
- 2014-16년 동안 시장 점유율 40% 이상을 차지했으나, 중국 저가폰의 시장진출 전략으로 점유율이 다소 하락
- 특히 Huawei는 사우디 텔레콤(STC)와의 5G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지난 14년 간 사우디 시장 공략을 위해 중국 및 사우디에 필드 엔지니어 6,500명, 4,000명 이상의 R&D 인력을 사우디에 투입하며 사우디 시장에 공을 들이고 있음.
- 중국 기업 점유율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보급형 스마트폰 개발 및 유통망 강화 등을 계획하고 있으며,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5G 등 통신시스템 협력 강화 추진 중
□ 유통구조

자료: Euromonitor
o 사우디 휴대전화 수입업체 및 유통업체들은 도매업체 또는 직접적으로 대리점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o 유로모니터에 의하면 휴대전화 소비자 판매는 전체의 95.4%가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 중 전문 가전제품 판매점이 63.1% 차지
□ 시사점
o 사우디 젊은 층 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동을 하고 있는 인구가 많으며, 스마트폰을 통한 학습 활동 및 상거래 활동 활성화 등으로 최신 기술과 고품질 카메라의 스마트폰 수요 높음.
- 인구의 50%가 30세 미만이며 높은 출산율로 향후 10년 내 스마트폰 사용자 급증 전망
o 높은 가격에 형성된 프리미엄 시장뿐만 아니라 저가 시장을 노려야 함.
- 삼성, 애플 등의 제품은 사우디 내 고급화 전략과 프리미엄 시장을 통해 높은 매출을 올리고 있음.
- 특히, 중국 브랜드의 저가시장 공략으로 소비성향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음.
- 국내 브랜드 또한 저가형 스마트폰 시장 공략 필요
o 삼성, 화웨이, 아이폰용 액세서리 시장 공략 필요
- 휴대폰 케이스의 경우 남성은 골드와 짙은 네이비 컬러, 여성은 골드와 핑크색을 선호
- 자기 과시 문화가 있어 고급스러운 디자인의 휴대폰 케이스 수요 높음.
- Samsung 스마트폰 서비스 센터 관계자에 따르면 육아 시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떨어짐 등으로 인한 액정파손 수리 요청이 매우 높다고 함.
- 따라서 스마트폰 액정보호커버 등의 액세서리도 유망
자료: Fitch Solutions, Euromonitor, ITC Trade Map, 사우디 통신정보기술위원회(CITC), Souq.com, Arab News,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