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에 지식을 더하라
시대에 맞게 바른 삶을 추구하라
지혜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라
엄마가 딸 무덤에 찾아가는데 어딘지 몰라 한참 헤매는 꿈.
뜬금없이 그런 꿈을 꿨어. 깬 김에 난로에 장작개비를 몇개 던져넣고,
외등을 켜 밖을 내다보니 수북하게 눈이 내려.
입춘이라더니 무슨 눈이 이리 자주 오고, 또 많이 오나.
딸 무덤을 몰라 헤매는 일이 실제 있었다.
가수 박성신은 노래‘한 번만 더’의 원곡 주인공.
노래가 좋아 리메이크도 수차례. 그녀의 엄마는 흘러간 옛 가수 박재란씨다.
‘산 너머 남촌에는’‘럭키모닝’‘밀짚모자 목장아가씨’‘진주조개잡이’등
히트곡이 다수. 그 엄마의 그 딸이라.
대학가요제 출신인 데다 1집으로 대박이 난 딸 박성신.
그러나 어쩌다가 일찍 죽고 마는데, 이차저차 소원한 사이가 된 모녀.
세월이 가고 엄마 박재란이 딸의 무덤을 물어물어 찾는 과정이 방송에 나왔는데,
보는 이들의 맘을 아리게 만들었지.
“멀어지는 나의 뒷모습을 보면은 떨어지는 눈물 참을 수가 없다고,
그냥 돌아서서 외면하는 그대의 초라한 어깨가 슬퍼.
이젠 다시 볼 수 없을 거란 인사에 나의 눈에 고인 눈물방울 흐르고,
그대 돌아서서 외면하고 있지만 흐르는 눈물은 알아…”
정신건강을 위하여 기쁜 노래를 찾아 들어도 모자랄 판에 자꾸 슬픈 노래가 담긴
음반을 꺼내 듣게 된다.
재밌고 즐거운 노래도 좋으나 구슬픈 노래가 오히려 아픈 사람들을 치유한다는
‘심리학적 가설’도 있다.
가수 박성신은 노래처럼 초라한 어깨가 슬프지만,
그녀의 노래는 나 같은 광팬들이 있어 영원히 애정하리라.
1집 이후 교회용 노래들을 부르기도 했는데, 1집이 젤 낫다.
가수들이 종교에 깊이 함몰되는 일은 아쉽다.
‘내란 찬송’도 마찬가지. 사격을 잘한대서 하늘에다가 총을 쏘지는 않지.
‘논어’ 자로편에
“군자화이부동 소인동이불화(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
문자 그대로 풀이하면, 군자는 서로 화합하되 같아지지는 않고,
소인은 같아지되 화합하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공자는 군자의 태도가‘화(和)’와‘부동(不同)’에 있다고 강조한다.
‘화’는 함께 어울리는 조화를 의미하며,
‘부동’은 다름을 긍정하는 태도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오늘날 정치철학에서 논의되는 다문화주의와도 맥이 닿아 있다.
기원전에 쓰인 동아시아 고전‘논어’에서
우리가 오늘날‘다문화주의’라 부르는 사상의 핵심을 이미 간명하게 제시하고 있다
다문화주의는 다름을 인정하고 서로를 존중하며 함께 화합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다문화주의의 핵심은 사회 구성원들이 다양성을 포용하며 함께 공존하는 데 있다.
다문화주의는 다름 아닌 민주주의이다.
민주주의 사회의 중요한 지향점은 다양한 배경과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이 공존하며
상호 존중과 소통을 통해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다양한 사람들이 어울려 함께 살아가는 과정 자체가 민주주의의 핵심이다
다문화주의는 새로운 무엇이라기보다 민주주의의 한 측면임을 알 수 있다.
물론 다문화주의가 모든 다양성을 무조건 포용하는 것은 아니다.
민주주의적 가치를 거부하거나 훼손하는 다양성은 다문화주의라는 이름으로
결코 수용될 수 없다는 점도 잊어서는 안 된다.
한국 사회에서 민주화의 실현은 1990년이다
‘세계를 서울로 서울을 세계’로 세계화를 맞이하고
다문화 어젠다가 본격적으로 주목받은 2000년 세계화의 지향 약 40년이 흘렀다.
그 사이 한국 사회의 구성원도 과거에 비해 훨씬 다양해졌다.
그만큼 우리의 일상 속에서 ‘다름’이 드러나는 기회도 더욱 많아지고 있다.
학교, 직장, 지역사회 등에서 다름을 접하는 기회가 많아질수록 다름을 인식하고
수용하는 방식에 대한 고민은 점점 더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우리는 증가하는 다양성에 걸맞은 화합을 충분히 실천하고 있을까?
화합은 결코 쉽지만은 않다. 다름은 종종 크고 작은 갈등의 씨앗이 되기도 한다.
갈등을 눈감거나 회피하는 것은 비교적 쉽다. 이것을 다문화주의로 착각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갈등을 섬세하게 들여다보고 새로운 화합의 모습에 대해
함께 고민하는 것이 다문화주의이다.
공자가 2500년 전에 강조한 ‘화이부동’의 정신을
2025년 한국 사회에서 재조명하는 것이 전혀 어색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는 얼마나 ‘동이불화’하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는가?
정치적 리더를 포함한 사회 구성원 모두가 서로의 다름을 존중하고
함께 어울려 소통하는 열린 자세를 가질 때 다양성은 사회적 자산이 된다.
다문화 사회는 곧 다양성과 통합성이 균형을 이루는 민주주의 사회임을 잊지 말자.
한라에서 백두까지 자유, 정의, 공평. 평등, 평화가 꽃피도록
진실하게, 아름답게, 보람있게 살도록
너 자신을 알아라
사랑에 지식을 더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