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해군 서쪽 최남단에 위치한 남면 홍현리, 가천 다랭이 마을은 1024번 지방도에서 만날 수 있는 설흘산(481m)과 응봉산(412m)사이 바다로 내달리는 급경사지에 아슬아슬하게 걸려 있는 마을이다.
주민들은 눈앞에 끝없이 펼쳐진 바다를 포기하고 뒤쪽 산비탈 다랭이밭에 삶을 기대고 산다. 망망대해가 바로 눈앞이지만 배 한 척 없는 곳이 바로 다랭이 마을이기도 하다. 앞 바다는 물살이 세고 연중 강한 바람이 불어 배를 댈 수 있는 선착장을 만들기가 어렵다고 한다. 다랭이 밭은 적게는 3평 남짓 삿갓배미부터 기껏해야 100평을 넘지 못하는 마늘밭들이 바닷가 절벽에서부터 설흘산 8부 능선까지 층계를 이루고 있다.
남해대교를 건너 계속 남쪽으로 달리다 월포해수욕장을 지나 꼬불꼬불 산허리를 휘감으며 이어지는 해안도로를 따라가다보면 남해의 섬 끝에 자리잡은 가천마을에 닿는다. 마을 버스주차장이 있는 언덕을 넘어서면 마을이 모습을 보이는데 누구나 이 지점쯤에서 탄성을 발하게 된다.
층층이 계단 모양으로 만들어진 밭과 논이 산자락을 따라 빼곡히 들어차 있고, 그 너머로는 푸른 남해바다가 또 끝도 없이 펼쳐져 있다. 이처럼 계단 모양의 논은 보통 평지가 없는 산간오지마을의 비탈진 경사에 만들어진다. 가천마을도 그런 점에서는 마찬가지다. 마을은 설흘산(485m)이 바다로 내리지르는 45도 경사의 비탈에 자리잡고 있다. 말이 평균 45도지 심한 곳은 경사가 70도에 이르는 가파른 곳도 있다. 이런 논을 지리산 등 내륙에선 다락논, 다랑이 논 등으로 부른다. 그러나 가천마을에선 원래 달갱이논으로 부르다가 최근 다랭이논으로 고쳐부르고 있다.
다랭이마을이나 월포쪽에서 숙박을 한다면 이른 아침에 설흘산을 올라볼만하다.설흘산은 다랭이마을 뒷산 이름으로 소흘산 또는 망산 이라고도 한다. 지금도 정상에는 임진왜란 때 사용되었던 봉수대의 흔적이 남아 있고, 앵강만과 노도를 위시한 한려수도의 섬들이 눈아래로 펼쳐져 절경을 이룬다.

설흘산, 응봉산, 사촌해수욕장, 죽방렴과창선교, 월포/두곡해수욕장, 노도, 망운산, 물미해안관광도로, 용문사, 금산과보리암, 홍현숲

해뜨는집민박(055-862-9395), 조약돌민박(055-862-8166), 비파나무민박(055-862-8190)

자가이용 : 서울에서 대전까지 경부고속도로 이용 - 대전에서 서진주 IC 까지 대전·통영고속도로 이용 - 서진주IC에서 진교IC 까지 남해고속도로 이용 - 진교IC에서 남해대교 까지 1002번 지방도로 이용 - 남해대교에서 이동면 앵강고개까지 19번 국도 이용 - 앵강고개에서부터 1024 지방도로를 타고 월포 두곡 해수욕장을 지나 석교마을 농로길을 지난뒤 좌회전 - 청소년 수련원을 지나 해안도로를 타고 가천 다랭이 마을 도착.
대중교통 : 고속/시외버스 터미널(남해행 버스 이용) - 남해도착 - 남면 가천행 군내버스 이용 - 가천마을도착(버스 종점)

남해군청 문화관광과(055-860-3801)
※ 현지사정에 따라 정보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사항을 사전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