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중에 들었던 3PL 내용이 조금 적은 것 같아서 자세히 찾아보던 중에 4PL까지 나아간 것을 알 수 있었고 정리해보았습니다.
1PL(1 Party Logistic)
1자 로지스틱스란 한 기업이 제조에서 물류까지 모두 도맡아 하는 경우를 말한다.
제조와 물류를 한 곳에서 하는 전문성이나 효율성에 대안이 모색되기 시작됐고, 2자 로지스틱스 개념이 파생되었습니다.
2PL(2 Party Logistic)
2자 로지스틱스란 그룹 형태의 기업 등에서 물류만 담당하는 자회사를 두는 경우이다.
이런 식으로 운영하게 되면 물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제조는 제조에만 몰두할 수 있어
품질과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기존에 기업내에서 물류업무를 담당하던 물류팀이나 부서가 독립하여 자본금을 모기업이 투입해 자회사가 된 경우가 일반적이며 규모가 큰 기업들이 선택하기 좋은 방식이다.
CJ그룹의 CJ대한통운이 대표적 사례.
3PL(3 Party Logistic)
3자로지스틱스란 아예 물류업무는 외주에 맡겨버리는 방식을 말한다.
기업 내 물류에 대한 실질적 업무부서를 두지 않고 일부를 위탁하거나, 전체를 위탁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물류업체와의 확고한 신뢰관계 및 배송서비스의 고도화가 뒷받침 되고 발전되어야 하는 영역이기도 하다.
4PL(4 Party Logistic)
4자 로지스틱스는 3자 로지스틱스를 통해 물류 외주업체가 일을 받으면, 그 중 일부나 전체를 다시 컨설팅, IT 방식으로 외주 주는 유형을 말한다.
단순히 제조와 물류의 이분법적 산업구조를 갖는 게 아니라, 분석과 첨단기술을 접목한 기업전략을 세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PL 로지스틱스는 3PL과는 달리 IT솔루션이 연동이 되어 있기 때문에 조금 더 정교하고 신속한 물류업무 처리가 가능하다는 차이를 가진다.
<사례>
국내 물류업무를 대행해주고 있는 '위킵'이라는 기업은 4PL물류를 하고있다. 풀필먼트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미 아마존 등에서는 이를 표준화해서 사용하고 있다.
* 풀필먼트(Fulfillment)는 고객이 온라인에서 제품을 구매 후 수령하기까지 발생되는 일련의 고객사 물류업무를 통합하여 대행하는 물류용어
CS, 반품, 재고 관리 등을 전문 인력이 전담으로 처리하고 있고 솔루션을 바탕에 두고 있어서 실시간으로 확인도 역시 가능하다.

첫댓글 잘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