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이룰 때까지 일에 몰입

당차고 늠름한 체격이지만 마음은 청초하고 가련미의 극치라 할 정도로 섬세하다. 그녀는 자기계발에 치중해야 할 시점에 있으며 금전적 이익을 추구하기보다는 자신의 능력을 키우는 데 집중하고 있다. 그녀는 노력만이 자신의 인생을 윤택하고 자신감 넘치게 만들어 줄 것으로 믿고 있으며 늘 따뜻한 남쪽나라로 질주하는 푸른 말의 꿈을 꾸고 있다.
밝고 개방적이지만 조용한 것을 좋아하는 그녀는 유머가 있고, 목표가 관철될 때까지 한눈파는 일 없이 몰입하는 편이다. 그녀는 걸음 교정 때문에 무용학원에 다닌 뒤부터 춤이 좋아져서 지금까지 춤을 추고 있다. 그녀의 스승들은 중3때 만나서 지도해준 배능수, 유인순 선생, 대학에 진학해서는 김혜정 교수, 막바지 콩쿠르를 지도해준 이영찬 선생 등을 꼽는다.


그녀의 최신 안무작은 2013년 PADAF Festival 출품작 『고도를 기다리며』, 2014년 개인공연 『커피와 담배』 『낭만적 망명』, 2014년 PADAF Festival 출품작 『착한사람』, 2015년 M극장 떠오르는 안무가전 『길 위에서(고도를 기다리며)』 정도이다. 그녀는 대학로 마로니에 축제 ‘블루 지젤’(2011)과 모다페 초청작 ‘더 송, The Song’(2014)에 출연하여 자신의 가치를 알렸다.
장희정은 연극, 영화 또는 타 장르에서 모티브를 얻어 현대무용으로 재해석, 재구성하여 메시지와 이미지를 중점으로 작품을 풀어내기를 좋아한다. 그녀는 정형화된 공간(무대)을 일상적 오브제를 통해 해체시켜 새로운 공간으로 만들어 낸다. 상상을 형상화하여 사실감 있게 표현해내는 능력이 뛰어난 그녀는 이슈를 깔고 그 위에 자신의 생각을 두껍게 채색한다.


『커피와 담배』(2014)는 옴니버스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화적 성격이 강하다. 장과 장 사이에는 사건과 디테일이 촘촘히 들어서고, 일상에서 느끼는 사소한 것들에 대하여 한국의 여성으로서 겪는 침묵의 가치를 확인시킨다. ‘커피와 담배’라는 일상적 오브제를 사용하여 현실에서는 대화보다 침묵이 더 많다는 것을 일깨워주는 작품이다.


그녀의 안무작은 무용과 다른 장르의 결합을 추구하면서 연극성이 짙게 나타난다. 그녀의 안무 작업은 시작 단계이지만 그녀는 앞으로 여러 가지 실험적 작업을 시도해보고 진정성 있는 인간적 예술가가 되고 싶어 한다. 그녀는 대부분의 젊은 안무가들과는 달리 큰 키 때문에 자신의 이미지와 맞지 않는 작품이나 소극장 무대에는 거의 출연하지 않는다.
행운과 화평을 앞에 둔 장희정은 자신의 작업으로 보람을 느끼며 집중력을 발휘한다. 명석한 두뇌로 열공정진하며 적선하고 덕행을 쌓고 인내심을 발휘하면 성취감을 더 얻을 것이다. 그녀는 늘 도전에 임하는 자세로 자제력을 길러 피곤함이 안 생기도록 노력한다. 『길위에서-고도를 기다리며』는 이진선, 전민혁이 주연으로 출연했고 장희정이 출연한 작품이다.
‘고도를 기다리며’는 연극 작품으로 여러 번 공연된 작품이다. 『길위에서-고도를 기다리며』에서 장희정은 신의 존재에 대한 심각한 철학적 고민을 동화적·만화적 상상으로 풀어낸다. 그녀는 연극 대사 중 메시지가 강하다고 생각되는 몇몇의 대사만 남겨놓았다. ‘나무 앞이라고 하던데? 우리 꽁꽁 묶여 있는 게 아닐까? 아무리 날뛰어도 소용없는 일, 고도씨의 심부름이냐? 가자, 갈 수 없어, 왜, 고도를 기다려야지’ 등의 대사는 사유를 이끌어 낸다.




장석용(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