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팀 다이너마이트 소속 강신우 입니다.
지난 번에 '팔 길이가 길면 팔씨름에 유리한 이유'에 대해서 과학적으로 분석해보았는데, 이번에는 손 크기가 크면 팔씨름에 유리한 이유에 대해서 과학적으로 분석해 보려고 합니다. 제목을 '팔씨름과 손 크기에 관한 과학적 분석'으로 하려고 했으나... 지난번 게시글의 2탄이라는 것을 강조 + 팔 길이가 길면 손도 크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제목수정은 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키가 크다고 다른 것들이 다 큰 게 아닌 것 처럼 팔 길이가 길어도 손이 작은 사람도 있겠죠?ㅎㅎ
시작 전에 무조건 팔 길이가 길다고 팔씨름에 유리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먼저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팔이 짧은 경우가 유리한 경우도 있다는 것을 알아두시고 팔이 짧으신 분들은 어떻게 하면 팔이 짧은 것을 최대로 활용해 팔씨름을 할까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생각해보신다면 더 재미있게 팔씨름이라는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관성모멘트(회전관성)에 대해 살짝 알아보겠습니다.
관성모멘트란 물체를 얼마나 회전시키기 어려운가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때 배운 뉴턴의 운동 법칙인 F = ma와 대응해서 생각하시면 됩니다. 뉴턴의 운동법칙에서 힘(F)를 가했을 때 질량(m)이 클수록 물체는 잘 움직이지 않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토크(회전력)을 가했을 때 관성모멘트가 클수록 물체는 잘 회전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관성모멘트의 값은 적분을 통해서 구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주로 운동할 때 사용하는 원통핸들은 관성모멘트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이제, 이 개념을 팔씨름에 적용시켜보겠습니다.
(가정 1. 핸들을 상대방의 손이다.
가정 2. 핸들은 회전하기만 하고 축이 고정되어 있다.)

핸들이 상대방의 손이라 했을 때, 우리는 리스트 힘을 사용하고 이 힘은 R x F만큼의 토크로 작용합니다. 그리고 이 토크는 핸들(상대방의 손)에 작용합니다. 그리고 핸들(상대방의 손)은 관성모멘트를 갖는데, 이 값이 클수록 잘 돌아가지 않습니다. 위의 토크와 관성모멘트 식을 대입해서 각가속도를 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즉, 동일한 힘 F를 주었을 때는 핸들(상대방의 손)의 반지름이 크고 질량이 클수록 잘 돌아가지 않는다(잘 말리지 않는다.)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 즉, 손이 큰 상대일수록 말기 힘들어서 기술이 들어가기가 힘들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좀 더 쉽고 자세하게 설명드리려고 하였으나 글이라서 한계가 있네요... ㅠㅠ 많은 도움 되셨기를 바라며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팀 다이너마이트 화이팅!

첫댓글 신우형 글 잘읽었습니다. 형의 기술을막기위해 더 손을키워야겠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그러지마... 너 팀내 손크기 서열 2위야
머든걸 겸비한 갓도훈이 부럽다 ㅋ 글 잘읽었다 다음생엔 다 크게 태어나야지ㅎ 보고싶다 신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갓도훈...
갓도훈팀장님!! 그리고 갓제용선수님은 대단하시네요...
ㅎㅎㅎ대단하신분들
역시 갓신우~ 앞으로 팔씨름역학 시리즈가 기다려지네요~
ㅋㅋㅋㅋㅋㅋ태호형님 아무래도 제가 글쓰기귀차나서 2탄에서 마무리되는걸로...ㅌㅋㅋㅋㅋ
알면 알수록 슬프네요 ㅠ
갠차나 체급이잇자나
손 작은 사람으로써 슬프다 ㅠ 분석적인글 땡큐 ㅎ
감사합니다 ㅎㅎ
저도 손이 작아요~~ㅠㅠ
혹시그러면~~~그걸극복할수있는건없나요???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