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의 갑작스런 시럭 저하의 원인 중 하나는 기생충 감염 입니다.
어린이의 갑작스런 시럭저하
https://www.contemporarypediatrics.com/view/children-high-risk-vision-loss-through-parasitic-infection-pets
미국 안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한 첫 번째 전국 조사에서는 안구 독소증(OT)의 전염으로 인해 개와 고양이가 배출한 인수공통 기생충을 의도치 않게 섭취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영구적인 시력 저하를 포함하여 쇠약해지는 안과 질환의 위험에 계속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눈톡소카라증은 개와 고양이의 개회충 및 고양이 회충 에 의해 발생하며, 대변으로 오염된 토양과의 접촉을 통해 인간에게 가장 흔히 감염됩니다. 어린이들은 오염된 놀이터와 모래상자에 노출되면 특히 위험합니다.
약 599명의 안과의사가 OT 환자에 대한 임상, 인구통계 및 역학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웹 기반 설문조사에 참여했습니다. 안과 의사들은 2009년 9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새로 진단된 환자 68명을 보고했습니다.
인구통계학적 정보가 있는 44명의 환자 중 진단 당시 평균 연령은 8.5세였습니다. 25명(57%)의 환자가 남부에 거주했습니다. 조지아, 플로리다, 캘리포니아, 텍사스에서 가장 많은 사례가 발생했습니다
이용 가능한 임상 데이터가 있는 30명의 환자 중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증상은 시력 저하(83%)이었고, 68%는 영구적인 시력 저하를 경험했습니다. 가장 흔하게 보고된 징후에는 망막하 육아종 종괴/반흔, 유리체염, 후극 육아종, 견인 밴드가 있는 말초 육아종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20명의 환자가 Toxocara(개회충) 기생충 에 대한 항체 검사를 받았습니다 . 14명(70%)이 양성반응을 보였다. 33명의 환자는 애완동물(주로 개 및/또는 고양이)을 소유하고 있었습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발표한 보고서는 또한 애완동물과 접촉한 후 손 씻기, 애완동물 배설물의 적시 처리, 가족 개와 고양이의 정기적인 구충 처리와 같은 올바른 위생 관행이 안구 기생충 감염을 줄이고 질병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전략이라고 지적합니다.
서민 도서 기생충 콘서트 발췌
개회충 Toxocara canis
개회충증 Toxocariasis
● 크기 및 모양 ㅣ수컷은 7에서 10cm, 암컷은 5에서 6cm로 기다란 콩나물의 머리를 뗀 모습을 하고 있다. (색도 콩나물 줄기색이다)
● 감염원
- 동물의 생간,육회,쳔엽 섭취.
- 개회충 한 마리를 가진 개는 대변 1그램에 개회충 알 십만 개 이상을 내보낸다. 그 결과 놀이터나 운동장 등에 개회충 알이 생각보다 많다. 경기도 지역 놀이터는 17 퍼센트, 서울시 놀이터는 7.3 퍼센트 등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아이들이 흙장난을 하다가 개회충의 알을 먹는 것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 개를 키우는 사람이 감염될 확률이 높다.
- 대변으로 오염 된 품목에서 기생충 알을 섭취하는 것
- 개회충에 오염 된 채소 섭취, 중간숙주 닭 섭취
● 특징
인체에서는 성충으로 자라지 못한다.
분변검사로 불가하고 혈청내 항체검사나 조직검사 필요.
● 어린 아이가 갑자기 시력이 나빠진다면 개회충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사례 논문 구글 검색 키워드 Children's vision loss Toxocariasis
어린이의 눈에 발생한 (개회충)Toxocara cati 유충: 증례 보고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025287/
톡소카라증은 톡소카라 유충 에 의한 인간 감염의 결과입니다 . 톡소카라증에는 증상이 있는(내장, 안구) 및 무증상 과정이 있습니다. 안구 형태는 매우 드뭅니다. 우리는 Toxocara cati 로 인한 눈 형태의 톡소카라증이 발생한 6세 환자를 소개합니다 . 그는 오른쪽 눈의 주변 망막에 병변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상부 말초 망막에 백색 육아종이 존재하였다. 톡소카라증에 대한 양성 면역학적 분석이 본질적으로 결과를 완성했습니다. 임상 증상과 실시된 검사를 토대로 눈 형태의 톡소카라증 진단이 확립되었습니다. 치료에는 알벤다졸과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사용되었습니다
학생의 안구독소증(미국 앨라배마주)
https://academic.oup.com/cid/article/39/2/173/326661
어린이의 경우 Toxocara 감염 의 혈청 유병률은 선진국에서 4~31%로 추정되며, 환경 조건이 지구 기생충의 전파에 유리한 열대 지역에서는 86%까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눈톡소카라증은 시력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안구독소증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50377676_Ocular_Toxocariasis_in_Korea
1999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한림대학교병원에서 안구독소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33명, 33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눈톡소카라증의 진단은 임상적 특징에 근거하여 이루어졌으며, 효소면역측정법과 면역블롯팅을 통해 혈청학적으로 확인되었습니다. Toxocara 유충의 유입을 설명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이 포함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모든 환자를 인터뷰했습니다. 설문지를 통해 결정된 인구통계학적 특성, 사회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을 평가했습니다. 본 연구에는 총 33명의 환자 33안이 등록되었으며, 24명(73%)의 환자는 남성이었으며, 평균 환자 연령은 41.6 ± 11.0세였습니다. 설문조사에 응답한 환자 28명 중 10명(36%)은 반려동물과 접촉한 전력이 있었고, 23명(82%)은 생식을 섭취한 전력이 있었다. 가장 흔한 증상은 시야 흐림이 22안(67%), 부유물이 6안(18%)이었다. 톡소카라증은 모든 환자에서 일측성이었고 염증은 환자의 2/3에서 급성이었습니다. 17안(52%)에서는 주변 망막에 Toxocara 육아종이 발견되었습니다. 19안(58%)은 내원 시 시력이 20/40 이상이었고 치료 후 유의하게 개선되었습니다. 최종시력은 26안(79%)에서 20/40 이상이었다. 한국의 눈톡소카라증은 대개 젊은 성인부터 중년 남성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임상 증상은 일측성이며 말초 염증성 덩어리를 동반한 급성 염증으로 나타납니다
첫댓글
<개를 키우는 사람이 감염될 확률이 높다.>라는 내용이 인상적이네요
반려견 키우시는 분들은 강아지와 함께 기생충약 먹는 것을 반드시 생활화 해야할듯 해요.
물론 MMS음용하시는 분들은 신경 안쓰셔도 되지만요.
옳은 말씀입니다. mms는 기생충, 세균 등에 작용하여 장내 나쁜 것들의 과증식을 예방하니 꾸준하게 복용하시면 별도의 구충제가 필요 없다고 전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