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
자동 실제 크기 페이지에 맞추기 페이지 너비에 맞추기 0% 50% 75% 100% 125% 150% 200% 300% 400%
경제전망 요약 (1/6)
경제전망 요약경제전망 요약경제전망 요약
▢ 국내경제는 수출이 호조를 지속하고 내수도 당초 경로에는 다소 못 미치지만 회복흐
름을 재개하면서 2%대 초중반 수준의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근원물가의 하향안정 흐름 지속, 지난해 유가·농산물가격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하반기중 2%대 초반 수준으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3 2024e)1) 2025e)1)
GDP 성장률(%) 1.4 2.4 ( -0.1 ) 2.1 ( - )
소비자물가 상승률(%) 3.6 2.5 ( -0.1 ) 2.1 ( - )
(근원물가) 3.4 2.2 ( - ) 2.0 ( - )
경상수지(억달러) 355 730 ( +130 ) 620 ( +10 )
취업자수 증감(만명) 33 20 ( -6 ) 16 ( -2 )
주: 1) ( )내는 24.5월 전망 대비 변화
6
최근최근최근 주요주요주요 동인동인동인driversdriversdrivers 변화변화변화
▢ 지난 전망 이후, 주요국의 긴축완화 움직임이 확산되고 글로벌 IT경기는 개선세를 이어가
고 있다. 다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지정학적 리스크도 증대되었다. 내수는 회
복흐름을 재개했지만 회복세가 더딘 것으로 평가된다.
▪ 세계경제는 지난 전망 수준의 완만한moderate 성장흐름을 지속하겠으나 국별 성
장 흐름은 당초 전망에서 다소 엇갈릴 것으로 예상된다. ①중국이 당초 예상을
소폭 웃도는 성장흐름을 나타낼 전망인 반면 ②미국은 실업률 상승 등으로 성장
하방압력이 다소 커졌다<그림1>. ③글로벌 제조업 경기와 교역 회복이 다소 지연되
고 있으나 ④IT 경기는 AI관련 투자를 중심으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국내기업의
공급능력도 보다 확충될 것으로 예상된다<그림2>. ⑤국제유가는 원활한 원유생산,
주요국 수요둔화 가능성 등으로 지난 전망에 비해 하향 안정된 흐름이 예상되
나, 중동분쟁 격화 등에 따라 단기적 변동성은 확대될 수 있다<그림3>.
▪ 주요국 ⑥시장금리는 디스인플레이션 진전과 이에 따른 미 연준의 금리인하 시사,
미국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상당폭 하락하였다. 이에 따라 미 달러화dxy는 약세를
나타냈으며, 6~7월중 1,300원대 중후반에서 등락하던 ⑦원화가치달러대비도 미 정책
금리 인하 기대가 반영됨에 따라 최근 1,300원대 초중반 수준으로 하락하였다<그림4>.
▪ 대내적으로는, 내수는 조정 국면을 거친 후 회복흐름을 재개하고 있으나 소득 개선
지연 등의 영향으로 회복세가 더딘 것으로 평가된다<그림5>. ⑧주택시장은 지역간 차
별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수도권은 거래량 증가와 함께 가격 상승세가 확대되고
있다<그림6>.
경제전망 요약 (2/6)
< 그림 1 > 미국 취업자수 증감 및 실업률 < 그림 2 > 글로벌 D램 매출 및 수급 전망1)
자료: BLS 주: 1) 음영은 전망치
2) 기준치=100 이상(이하)은 공급(수요) 우위
자료: Gartner
< 그림 3 > 국제유가1) 및 선물시장 순매수포지션2) < 그림 4 > 시장의 美 정책금리 기대1)2) 및 환율
주: 1) 해당 주(week) 선물시장 포지션 발표일 기준
2) 음영은 5월 전망 이후를 의미
자료: Bloomberg, ICE
주: 1) FFR 선물시장에 반영된 정책금리
기대로 횟수별 인하확률을 가중평균
2) 1회당 25bp 기준
자료: Bloomberg, CME FedWatch
< 그림 5 > 소매판매1), 건설기성1), 통관수출 < 그림 6 > 아파트 입주예정물량 및 주택매매가격1)
주: 1) 불변, 계절조정 기준
자료: 통계청, 관세청, 조사국
주: 1) 실거래가 기준
자료: 한국부동산원, 부동산114
경제전망 요약 (3/6)
6
대외여건대외여건대외여건
▢ 세계경제는 디스인플레이션 진전과 주요국 통화정책의 기조 전환으로 3%대 초반의 완
만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1).
▪ 미국은 최근 고용둔화 등에 따른 하방압력이 증대되면서 당초 예상을 소폭 하회하는 성
장세가 예상된다. 유로지역은 가계 실질구매력 향상 등에 힘입어 소비를 중심으로 완만
하게 개선되겠으며, 중국은 IT를 중심으로 양호한 수출 증가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경기
부양 조치 등으로 내수부진이 점차 완화되면서 4%대 후반의 성장률을 나타낼 전망이다.
▢ 세계교역은 상품교역 중심의 개선세가 이어지겠으나 최근 선진국 교역의 부진한 흐름,
주요국 간 무역갈등 등을 감안할 때 회복속도는 지난 전망보다 완만할 것으로 예상된다.
▢ 국제유가는 원활한 원유 생산, OPEC+의 감산축소 계획 등 공급여건이 양호한 가운데
글로벌 수요도 예상을 소폭 하회함에 따라 당분간 80달러 내외에서 등락하겠으나
중동 갈등의 전개 양상이 불안요인이다.
6
경제전망경제전망경제전망
▢ 올해 국내경제 성장률은 연초 전망2월 2.1%에 비해서는 높으나 5월 전망2.5%에는 다소 못
미치는 2.4%로 예상되며, 내년 성장률은 지난5월 전망에 부합하는 2.1%로 전망된다.
▪ 성장흐름을 살펴보면, 2/4분기중 성장률은 전분기 큰 폭 성장전기대비 1.3%에 따른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내수를 중심으로 크게 조정-0.2%되었다. 3/4분기 이후
국내경제는 수출 증가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내수도 나아짐에 따라 전체적으로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 부문별로 보면 수출은 IT경기 호조, 방한 관광객 증대 등에 힘입어 지난 전망보다
높은 증가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일시적 요인의 영향으로 상반기중 크게 오
르내린 내수의 경우 기업 투자여력 증대, 디스인플레이션 진전 등에 힘입어 개선
흐름을 재개하겠지만 모멘텀 상승폭은 당초 예상에 다소 못 미칠 전망이다.
<대외여건 전제1)> < 국내 성장률 전망1)> <경제성장률 전망경로>
(%) 2023 2024e) 2025e)
세계경제 3.2 3.1 3.2
[3.1] [3.1]
• 미 국 2.5 2.4 1.8
[2.5] [1.8]
• 유 로 0.4 0.8 1.5
[0.8] [1.5]
• 중 국 5.2 4.8 4.4
[4.7] [4.4]
세계교역 0.9 2.8 3.4
[3.1] [3.5]
국제유가2) 82 83 81
[85] [81]
(%) 2023 2024e) 2025e)
GDP 1.4 2.4 2.1
[2.5] [2.1]
• 민간소비 1.8 1.4 2.2
[1.8] [2.3]
• 재화수출 2.9 6.9 2.9
[5.1] [3.0]
• 건설투자 1.5 -0.8 -0.7
[-2.0] [-1.1]
• 설비투자 1.1 0.2 4.3
[3.5] [3.9]
주: 1) [ ]는 24.5월 전망치 2) 브렌트유 기준, 달러/배럴 자료: 조사국
1) IMF는 지난 4월 경제전망에서 24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3.2%로 예측하면서 많은 지표들이 연착륙
(soft-landing)을 시사하고 있다고 언급하였다.
경제전망 요약 (4/6)
▢ 금년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근원물가가 2%대 초반에서 안정된 가운데 농산물가격 상
승률도 상당폭 둔화되면서 5월 전망2.6%을 소폭 하회하는 2.5%로 예상되며, 내년에는 당초
전망2.1%에 부합할 것으로 보인다. 근원물가는 금년2.2%과 내년2.0% 모두 지난 전망에 부합
할 전망이다.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월중 일시 반등*하였으나 근원물가가 하향 안정된 가운데 8월
부터 지난해 유가‧농산물가격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도 크게 작용할 것으로 보여,
추가적인 공급충격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다시 둔화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 7월중 CPI 상승률은 근원물가 상승률이 전월 수준을 유지6월 2.2% → 7월 2.2%하였으나 석유류가격이
국제유가 상승, 유류세 인하율 축소 등으로 오름세가 확대되면서 소폭 반등2.4% → 2.6%
▢ 경상수지는 금년중 730억달러로 당초 전망600억달러을 크게 상회, 25년에는 620억달러로
지난 전망610억달러을 소폭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 상품수지*는 수출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개선세를 지속하고 수입은 내수회복 지연
등의 영향으로 예상보다 더딘 회복세를 보이면서 흑자폭이 확대될 전망이다.
서비스수지*는 외국인 관광객 유입 호조 등으로 적자폭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 상품수지(월평균, 억달러 ) 23.3/4분기 57 → 4/4 68 → 24.1/4 63 → 2/4 84
서비스수지( 〃 ) 23.3/4분기 -24 → 4/4 -20 → 24.1/4 -23 → 2/4 -15
▢ 취업자수 증가규모는 24년 20만명, 25년 16만명으로 예상보다 둔화될 전망이다.
▪ 금년중 제조업은 수출 개선에 힘입어 증가세를 이어가겠으나, 서비스업이 도소매
등 대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건설업의 경우
건설경기 부진이 지속되면서 취업자수 감소폭이 예상보다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 물가 · 경상수지 · 고용 전망1)> <소비자물가 전망경로> <경상수지 전망경로>
2023 2024e) 2025e)
소비자물가(%) 3.6 2.5 2.1
[2.6] [2.1]
• 근원물가(%) 3.4 2.2 2.0
[2.2] [2.0]
경상수지 355 730 620
(억달러) [600] [610]
취업자수 증감 33 20 16
(만명) [26] [18]
주: 1) [ ]내는 24.5월 전망
자료: 조사국, 경제통계국, 통계청
자료: 통계청, 조사국 자료: 한국은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