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생과 관상
1. 사주와 관상
-사주가 상만 못하고 상이 마음의 쓰임새를 당하지 못한다. 즉 같은 사주를 타고나도(만약 지지 상에 刑殺이 있어도) 마음씀에
따라 교도관, 죄수, 경찰 등 달라 질 수 있다.
2. 관상과 운명
1) 관상서에 기록되어 있다고 해도 너무 믿지 말라.
모든 일을 판단할 때 사리를 구진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요 선입관을 갖지 말고 오판마라. 특히, 관상 사주 등에서는 그 해석에 따라 인생의 운명이 좌우 될 수 있다.
2) 한가지만 보고 판단 말라. 吉안에 凶이 있고, 흉 안에 길이 있다.
즉, 흉한 가운데 길을 찾는 방법이 중요하고 제안해 주는 것이 중요하 다. 피흉취길(避凶就吉)이나 전화위복의 방법을 모르고 남을 점친다는 것은 오히려 듣지 않는 것이 낫다.
3) 주위환경을 참작해서 판단하라. 사주나 상에 보이는 데로만 판단 말고 운명의 길흉을 판단하는 상태의 위치를 보고 파악하라 ⇒ 더 내려 갈 수 없는 상태라면 절처봉생(絶處逢生), 궁즉통(窮則通)으로 보아야 됨.
3. 길상과 흉상(관인팔법)
-길상 : 위맹(威猛), 후중(厚重), 청수(淸秀), 고괴(古怪)
*고괴 : 보통과 달리 균형을 잃은 둣하나 은연중 귀 더 빛나는 풍모를 말 한다
-흉상 : 고한(孤寒), 박약(薄弱), 완악(頑惡), 속탁(俗獨)함을 말한다
4. 내상과 외상
-외상 : 외모 신체의 모양.
-내상 : 가슴속 깊이 간직하고 있는 자기만의 마음.
5. 동서양에서 보는 관점
* 서양 : 하늘을 하나의 신으로 본다 전지전능 그 지시에 맹목적 복종으로 하늘의 뜻으로 사칭 가장 등도 많았다.
동양 : 하늘을 理로 본다 인간생활 도리에 어긋나는 것에 대항해서 합리 적 방법 모색. 수신제가 하늘의 이치에 따름(順天者, 逆天者亡)이 라는 개념
6. 운명의 개척
* 인간의 운명을 바꾸는 길은 오직 修道 밖에 없다. 修道란 탐욕적인 기질 을 순수한 인간본연의 자세로 가는 것으로 하늘의 이치에 따라 합리적 생활을 뜻함. 기상이 평화로울 때 모든 일은 뜻과 같으니 사심없는 인의로 이 내상이 외상을 변화시킴. 평화롭고 당당한 기상은 인간의 운명을 바꿈
7. 상과 선악(善惡)
*상은 빈부귀천(貧富貴賤)의 대략 범위만 정해져 있고 세세한 일까지 정해져 있지는 않다.
*고난 상을 大地로 비유하면 설계나 구조는 그 사람의 평소 행위에 비 유할 수 있다.
1) 복은 누가 주는 것이 아니고 얻어 오는 것도 아니며 스스로 구하는 것이 라 함 ⇒ 사심을 버리고 하늘의 이치에 순종하라.
2) 가난하고 절박한 사람에게 보상 바라지 말고 베풀어라 ⇒ 하나의 빛깔로 되어 그것이 상이 되어 무심코 저지른 善惡의 행위는 빛깔로 얼굴에 그 모습을 나타낼 뿐 아니라 禍와 福으로 갈라놓는다.
8. 관상의 삼재
1) 지극히 평범한 얼굴을 기준으로 한다.
2) 위에 있는 머리는 하늘의 양기를 받기 때문에 둥근 모양 발은 땅의 기 를 받아 모가 난 것이다.
9. 삼형(三形)
1) 비만형 : 풍부한 얼굴형으로 富貴
2) 근골형 : 건강한 체격, 매사 적극적, 자수성가형
3) 수척형 : 청수한 형 - 금전적 여유 없고 인품이 높고 고귀하다 때를 못 만난 선가 많다.
: 천박형 - 일생 궁핍하다
10. 안면 형태
-五行으로 나누어 본다. 각 五行상의 성격과 비슷하다
圓形(水), 方形(土), 長形(木), 三角形(火), 由(金) 이다.
11. 관상의 기준
-상과 유년 : 초년 - 출생에서 32세
중년 - 33세에서 60세
말년 - 61세 이후
관상유년도 참조
12. 좋은 상
1)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
2) 남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주고 친근해지고 싶은 얼굴은 언제가 발달하는 상이다.
3) 외모는 마음의 거울 : 외모가 보잘 것 없어도 깊은 학문과 수양으로 자 기 극복하여 남을 이해이치한 사람은 심성으로 얼굴
에 나타나므로 心도 중요하다.
4) 좋은 상(상서)
-이마는 반 듯, 두눈썹 사이는 깨끗.
-코허리는 잘룩하지 말고 코끝은 둥그스름하면서 풍만.
-인중은 곧고 입은 네모 나야함.
-턱은 약간 앞으로 나와 위로 굽고.
-눈썹을 중심으로 한 이마는 둥글고.
13. 오행 형색.
* 얼굴색이 오행의 색깔을 말함(오행의 원리)
* 사람은 원래 음양오행 기운으로 태어나니 二,五의 정이라 한다.
* 二五의 정 : 二는 음양, 五는 오행이나 주역의 육효, 상 삼재와 하 삼재의 2효, 5효를 뜻한다
* 사람은 精氣로 태어남. 精氣로 精은 水, 氣는 火, 정기가 되어서 사람이 생긴 뒤 인간을 주도하는 신이 생긴다.
사람은 精, 氣, 神으로 품수에 따 라 두텁고 엷고 무겁고 가벼움에 따라 모습과 지능을 달리 한다.
오행상 을 가진 사람은 뚜렷할수록 좋다
-金 : 모난 것(얼굴)으로 강직으로 불의 용납 못함 - 항상 종은 이름
-木 : 목의 풍성함으로 항상 재물이 자족하며
-水 : 지혜로 항상 학문에 특출한 성과있고 귀인의 명성
-火 : 성질은 급하나 기회있을시 과감히 성취
-土 : 둥글고 士로 부귀와 후중을 겸전
14. 형의 여와 부족형(形 論)
-사람은 음양의 기운을 받아서 태어나므로 하늘과 땅의 모습을 닮고 오행 의 원소를 받아 이루어졌으므로 만물의 영장이다.
-머리 : 하늘의 양기로 둥글고 -발 : 땅의 음기로 모나다
-눈 : 해와 달의 정기를 받고 -소리 : 천둥을 형상하고
-혈액 : 강과 호수 -뼈 : 쇠와 돌을 상징
-코와 이마 : 산을 형상 -모발 : 풀과 나무
* 8가지 각자의 형상에 가장 가깝게 되는 형이 가장 이상적이다
어깨는 두툼하고 배꼽은 깊고 가슴은 펑퍼짐하고 배는 둥글고 아래로 처 지고 살은 쪄야하고 뼈는 가늘며 손은 길고 발은 윤곽이 뚜렷하고 : 장수 와 복록의 상이다.
15. 神의 여와 부족
1) 神
-形과 氣와 神은 인간의 삼대요소로 形있어 피를 생산하고 피는 氣를 보충하고 基는 神을 보충한다. 氣가 불안하면 神이 불안하니 그 神을 편안히 하면 되는데 그것은 오직 군자밖에 없다. 神은 깨어 있을 시 눈 에 있고 잠잘 시 마음에 있다, 즉 해와 달이 만물을 비추기는 하지만 그 기운은 해와 달 속에 잠재하고 있는 것과 같다. 神이 맑으면 정신이 깨어 있는 시간이 많고 흐리면 정신이 잠든 시간이 길다. 神에 여유 있 는 사람은 貴상이고 形에 여유가 있는 사람은 富상이다.
2) 神의 여유
-정신이 맑은 자는 멀리 볼 때 가을의 서리 같고 가까이 볼 때 온화한 바람이 봄꽃을 만지는 것 같다. 바위 같이 앉고 흔들림 없이 눕고 물같이 흐르듯 걷고 태산 같이 서 있다. 성냄과 노여움이 없고 조용한 가운데 영화와 욕됨이 그 지조를 움직이지 않음이 神의 여유이다.
16. 소리와 氣運 : (聲氣)
- 貴人은 소리 뱃속 깊은 곳에서 나와서 마음과 기운이 통해서 하나가 되 어 밖으로 나온다. 정신이 흐리면 그 기운이 촉급하고 가볍게 부르짖는 다.
- 단전은 소리가 나오는 근원이 되며 혀는 소리가 나오는 기구가 된다. 뿌 리가 깊으면 표시하는 것 이 무겁고 뿌리가 얕으면 표시가 가볍다.
- 남자가 여자 같은 목소리면 빈천을 면하기 쉽고, 여자가 남자 목소리면 부부간 해가 있다. 신체에 걸 맞는 소리를 갖고 있어야 되며 土聲은 심후 하고 木聲은 高唱하고 火聲은 集烈, 水聲은 圓急하고 金聲은 和澗하다.
- 소리가 가벼운 사람은 능력이 없고 깨지는 듯한 쇠 소리가 나면 일이 성 사 되기 어렵고 소리가 탁한 사람은 꾀가 없고 낮은 사람은 노둔해서 쓸 모가 없다. 맑고 차갑기가 도랑에 흐르는 물 같으면 극귀, 항아리에서 나 는 소리이면 오복이 구비한다.
마치 돌이 옥을 감싸고 있으면 산이 빛나고 모래가 금기를 머금으면 川 가 아름다워 보인다. 이러한 모양은 지극히 정밀한 보배가 색으로 나타나 면서 기를 발하는 표본이라 할 수 있다.形은 질이요 질을 바탕으로 채 워지는 것이 氣이다. 神이 넉넉하면 氣도 넉넉하고 인간의 득실이 그 氣 를 확대하지 못하고 기쁨과 성냄이 그 神을 경통하지 못하면 유복한 사 람이다. 氣의 출입을 귀로 알지 못하고 호흡으로 가늠할 뿐인데 숨의 여 부로 알 수 있다.
사람의 氣局은 너그러움(좁고), 온화함(거슬리며), 굳셈(나약), 청함(탁하 고), 바른 것(삐뚤어짐) 등의 다섯 가지의 구분이 있다.
17. 사마귀, 주름살
- 깨끗한 얼굴이 가장 좋다 또한 복을 쌓아 빈천 상이 부귀 상으로 바뀌고 악행으로 부귀 상에서 빈천 상으로 바뀐다. 길흉화복도 타고난 복의 후 박에서 시작되나 살아가는 동안 이룩해 놓은 공과에 따라 변모, 모든 것 은 마음에서 이루어진다(一切唯心造)는 어디나 지극한 哲理이다.
- 예로부터 「얼굴에는 좋은 점이 없고 몸에는 나쁜 점이 없다」하여 남이 볼 수 없는 몸에 점은 일단 좋다고 본다 ⇒ 김 유신(북두칠성), 강감찬(三 台星), 이원익(문곡성의 흑점)등 발바닥의 점은 그 발의 장심에 있는 것이 대귀인 격.
바람끼 있는 여자의 관상
1. 입술이 유난히 작고 둥글다.
이러한 여자는 대게 스킨쉽을 잘하고 좋아하는 사람입니다.
2. 코가 작고 높은 여자
이러한 여자는 외로움을 많이 타는 관상
하여 옆에 사랑하는 남자가 있어도 외로움을 타서
주변에 또 다른 사람을 만들기도 합니다.
3. 귀가 작은여자
이러한 관상은 유혹에 약한 관상.
때론 여기저기서 좋은 사람이라는 소릴 듣기도 하지만, 남의 부탁을 잘 거절하지 못해 양다리를 걸칠 확률이 높은 여자 관상입니다.
4. 눈이 동그란 관상
이러한 여자관상은 주변에 항상 많은 사람이 있습니다.
하여 그만큼 유혹이 많겠지요.
그러면 확률적으로 바람필 확률이 높다 하겠습니다.
5. 눈썹 숱이 없는 여자 관상
이러한 여자는 관심 받길 원하고, 자신을 꾸미는 것을 좋아 합니다.
화려하고 즐길줄 아는 여자 관상때문에 그 만큼 남자와의 접촉도 많아 질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
결론!
바람피는 여자, 관상 따지자면 세상에 만들 여자 없음..
내 여자가 바람끼 있는 여자 인지 아닌지는 직접 오랜시간을 함께 하면서, 그 여자의 행동으로 여자의 바람끼를 확인 하는 수밖에..
물론 오래 만나다 보면, 상대적으로 나 자신 또한 파악 되어 나를 속일수 있는 확률도 높다는점..!!
그리고 내여자가 바람끼가 있는 여자다 의심이 들면....미련이 남더라도 과감하게 정리 하는것이 현명함!
![]()
![]()
![]()
참고로 이승연과 100인의 여자에 나온 바람끼 있는 남자의 관상을 관상 전문가의 조언들 통해 그린 관상
바람피는 남자관상
짝눈에, 눈꼬리가 한쪽은 올라가고 한쪽은 내려갔으니
음양의 조화를 이룬 바람둥이요,
입이 크니 육질돌기인 코뿌리에 뻗은 기운을 다 받아들일 수 있어
전형적인 바람둥이다.
젊은 친구들이 들락거리는 블로그의 바람둥이 판별법이라는 제목으로
남자 탈랜트 이병*의 사진 옆에 써있는 말이다.
글쎄올시다. 맞는 말일까?
일단, 음양의 조화 운운한 것은 전혀 터무니 없는 말이다.
음양의 조화를 이룬 것이라면 음양화평을 이뤘다는 것인데
화평을 이룬 자는 좌우가 어그러질 수 없다.
또, 이렇게 좌우 균형이 무너진 남자에게
눈 똑바로 박힌 여자라면 접근할리 없을게구...
암컷 제비도 짝짖기를 할라치면
좌우의 꼬리길이가 똑같은 숫놈제비를 본능적으로 좋아한다.
제비도 좌우 균형이 맞아야 건강하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것이다.
바른 여자라면
좌우균형이 어그러진 남자를 짝짖기의 상대로 택할리 만무하니
짝눈에 균형이 무너진 눈썹을 가진 남자는
결국 바람을 피울 기회가 줄어들 것이다.
혹, 돈으로 피는 바람이라면 모를까...
관상은 그렇다 치고
팔자에서 바람둥이는 어떤 특징을 보일까?
토요일 상담을 청한 분을 통해 입수한 팔자를 통해 살펴 보자.
상담을 청한 여자분은 불치병 환자를 죽음까지 인도하는
호스피스의 일을 하고 있다고 했다.
환자들의 임종준비를 돕는 분 답게 눈이 가라앉아 있고
행동거지가 아주 조용하신 분이었다.
이런 저런 이야기 끝에
지붕을 같이 쓰는 분(?)이라며 사주하나를 봐 달란다.
말투가 이상하여 남편인지를 묻자
어물어물 말을 흐리며 바람끼가 있는지만 봐 달란다.
시 일 월 년 남자
辛 丙 丙 辛
卯 戌 申 卯
바람끼의 삼박자.
1. 여자에 대한 흥미
2. 새로운 것을 좋아하는 마음
3. 바람을 피울 힘
이 세 개를 가지면 바람둥이의 조건이 갖춰진 셈이다.
위 팔자를 살펴보면...
여자에 대한 흥미는 팔자에 여자를 뜻하는 자가 많아야 한다.
팔자에서는 일간이 치고 규제하는 성분이 여자이니
辛이 두 개, 申, 戌 중 辛이 여자를 뜻하는 자이다.
여덟 자 중 네 자가 여자를 뜻하는 자이니 당연히 흥미가 많다.
새로운 것을 좋아하는 마음은
일간이 생하는 기운이 일간과 가까이 있어야 한다.
바로 일 丙 밑에 있는 戌이 이런 역할을 한다.
일간이 안주하는 것을 방해하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게 몰아가는 글자이다.
이런 것들이 본인을 의미하는 글자와 멀리 있으면
마음이 행동으로 변하지 않는데, 이 팔자는 너무 가깝게 있고 강력하다.
전형적인 바람둥이 팔자이다.
재미로 보는 관상이야기~!
오늘은 바람피는남자얼굴관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개한 관상이 꼭 바람피는 관상은 아니며, 통계적으로 내려온 관상학이랍니다.
지금부터 천천히 살펴보도록 할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