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별망성(방송대 안산.시흥동문회) 원문보기 글쓴이: 박해부
상주
#서는 위치
신위 쪽에서 볼 때 왼편으로 상주가 늘어선다. 안상주들은 오른편으로 서는데 장소가 좁다면 상주의 뒤쪽에 서 있어도 무방하다.
#조문 받는 예절
상주들 사이에 종교 때문에 논란을 벌이는 일이 있는데 고인 중심으로 생각한다.
공수(拱手·손을 앞으로 모으는 것)는 흉사이므로 남자는 오른손이, 여자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포개 잡는다.
상주는 조문객이 하는 절차에 맞춰 응접한다. 맞절할 때 조문객이 자신보다 윗사람이면 먼저 고개를 숙이고 나중에 고개를 든다.
조문객의 인사말에는 ‘고맙습니다’나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고 답한다.
#호상소에서
자신이 누구인지 밝히거나 조객록에 서명한다. 휴대전화를 끄고 재배할 때 담뱃갑이나 펜이 떨어지지 않도록 살핀다.
#분향
상주에게 목례하고 영정 앞으로 가 무릎을 꿇고 분향한다.
나무향이면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로 향을 집어 향로 속에 세 번 넣는다. 긴 향은 한두 개 집어 불을 붙인 다음 향로에 정중히 꽂고 일어선다.
꽃이 준비돼 있으면 헌화한다. 헌화의식은 예전에는 없었으나 요즘에는 많이 한다. 꽃봉오리를 어디를 향해 놓을지는 논란이 있다. 고인이 향을 맡도록 신위 쪽으로 꽃봉오리를 향해야 한다는 주장(성균관)과 고인이 볼 수 있도록 조문객 쪽으로 꽃봉오리를 향해야 한다는 주장(예지원)이 있다.
따라서 장례식장에서도 꽃의 봉우리가 고인의 영정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 맞다. 이러한 헌화 방식은 우리나라 전 대통령 등의 영결식에서도 사용된 방식이기도 하다.
#재배
▽선절(남녀)=한걸음 물러서 45도이상 깊숙이 숙이고 7초 정도 머무른다.
▽앉은절 △남:한걸음 물러서 재배한다. △여:4배가 원칙이지만 재배도 무방하다.
#조문
상주와 맞절을 한 뒤 인사말을 한다. 조문객은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얼마나 슬프십니까’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정도로 조의를 표한다. 아무 말을 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친한 사이라면 장지에 대해 물어볼 수 있다.
#부의
상사를 돕기 위해 전하는 돈이다. 부의금을 보낼 때는 깨끗한 백지에 인사말, 부의금 액수, 날짜, 보내는 사람의 이름을 써서 봉투에 넣어 호상소에 낸다.
# 조문 후
음식을 대접받으면 정해진 장소에서 조용히 음식을 먹는다. 슬픈 자리이니만큼 큰소리로 웃는 것은 삼간다. 간혹 상주와 과음하는 경우가 있는데 예의에 어긋난다. 상주는 빈소를 지켜야 하므로 조문객을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 상주나 조문객이나 과음을 하지 않는다.
김진경 기자 kjk9@dong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출처] 동아일보
- 종교식 예절 ①기독교식 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하고 준비된 국화꽃을 들고 故人영정 앞에 헌화한 후 뒤로 한 걸음 물러서서 15도 각도로 고개 숙여 잠시동안 묵념을 드린 후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②천주교식 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하고 준비된 국화꽃을 들고 故人영정 앞에 헌화한 후 뒤로 한 걸음 물러서서 15도 각도로 고개 숙여 잠시동안 묵념을 드린 다음 준비된 향(긴 막대향)을 집어서 불을 붙인 다음 향을 좌우로 흔들어 불꽃을 끈다. (입으로 불어서 끄지 않는다.) 한쪽 무릎을 꿇고 향로에 향을 정중히 꽂고 일어나 한 걸음 뒤로 물러서 절을 올린다. 절을 올린 후에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 향나무의 가루 향으로 만들어진 향은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로 향을 집어서 오른손을 왼손으로 받치고 향로(향불)에 공손히 넣는다. ③불교식(유교식포함) 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한 다음,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앉아 준비된 향(긴 막대향)을 집어서 불을 붙인 다음 향을 좌우로 흔들어 불꽃을 끄고 (입으로 불어서 끄지 않는다.) 향로에 향을 정중히 꽂고 일어나 한걸음 뒤로 물러나 절을 올린다. 절을 올린 후에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 최근에는 문상객 위주가 아닌 상가 댁 위주의 문상예절이 이루어지고 있어, 상가의 상황에 맞는 문상예절을 해야한다 - 여러 명이 문상을 할 때, 분향은 대표 한 사람만 문상을 여럿이 갔을 때 모든 사람이 다 분향해야 하는지, 아니면 한 사람만 해야 되는 것인지 몰라 우왕좌왕할 때가 있다. 두세 명 정도라면 한 사람 한 사람 분향해도 되지만, 그 이상의 숫자일 때는 대표 한 사람만 분향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것이 한국고전번역원의 조언이다. 또 여럿이 한꺼번에 고인이나 상주에게 절을 할 때 고개를 언제 들어야 할지 눈치를 보는 수가 있다. 먼저 고개를 들었다가 다른 사람이 아직 들지 않은 것을 보고 다시 고개를 숙이는 것이 그런 경우이다. 이것은 꼭 통일해야 할 필요는 없고 자연스럽게 하면 된다. 다만 상주와 맞절을 할 때는 상주보다 먼저 고개를 들어 주는 것이 좋다. - 향불은 세 개를 피우는 것이 원칙 향은 원래 세 개를 분향하는 것이 원칙이다. 세 개의 향불은 천신과 지신, 그리고 조상에게 고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한 개를 붙여도 예의에 벗어나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다. 다만 홀수가 길한 숫자를 뜻하기 때문에 반드시 한 개나 세 개를 해야 한다. 영정 앞에서 올리는 절은, 한 번은 천신에게 잘 받아 달라는 의미, 두 번째는 지신에게 잘 떠나게 해 달라는 의미이다(음양사상에 따르면 1은 양, 2는 음을 뜻한다. 즉 살아 있는 사람이 양이고 죽은 사람은 음이기 때문에 고인에게는 절을 2번 한다). 그리고 상주와 하는 맞절은 상주의 조상들에게 상주를 잘 보살펴 달라는 뜻을 담고 있다. - 헌화방법 평소에 물건을 전 할때 받는 사람이 받기 쉽도록 꽃의 머리부분이 드리는 사람을 향하게 하고 꽃대 줄기가 故人쪽을 향하게 드려야 한다. < 공수법 > 절을 할 때나 예의를 표할 때 평상시는 남자는 왼손이 위이고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간다. 그러나 흉사 에는 평상시와 반대로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고 여자는 왼손이 위로 간다. - 절 하는 법 (남자는 '양' 여자는 '음') 산 사람에게 한번, 죽은 사람에게 남자는 재배라 하여 두 번 절한다. 여자는 사배라 하여 네 번 절 하는데 그 이유는 여자는 음이므로 양인 남자의 갑절 수로 절을 한다. 음양의 원리에 의해 양의 수는1, 음의 수는 2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현대에는 남녀공통으로 재배로 바뀌는 경향이다. * 재 배 ▽선절(남녀)=한걸음 물러서 45도이상 깊숙이 숙이고 7초 정도 머무른다. ▽앉은절 △남:한걸음 물러서 재배한다. △여:4배가 원칙이지만 재배도 무방하다. 故人보다 나이가 많을 때 조문(문상) 생시에 故人과 안면이 없거나, 故人보다 나이가 많으면 영정 앞에 절하지 않고, 상주에게만 문상한다. 영정 앞에 절하는 것은 조상, 상주에게 인사하는 것은 문상이라 한다. 따라서 '조문'이란 조상과 문상을 일컫는 말이기 때문에 '조문' 간다는 말이 옳은 것이다. 문상시 위로의 인사말 문상을 가서 어떤 위로의 말을 해야 할지 몰라 망설인다. 실제 조문의 말은 문상객과 상주의 나이 관계에 따라 다양하다. 보통은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얼마나 슬프십니까 "가 좋다. 상주는 상중에는 항상 죄인이므로 "고맙습니다",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고 문상 온 사람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가. 그외 인사말은 다음과 같다. ① 상주,상제의 부모인 경우 - 상사에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 망극한 일을 당하셔서 어떻게 말씀 여쭐지 모르겠습니다. ☞ 상사란? (생각하고 그리워 하는 것) ☞ 망극이란? (어버이의 은혜가 그지없다는 뜻) ② 상제의 아내인 경우 - 얼마나 섭섭하십니까? - 상사에 어떻게 말씀 여쭐지 모르겠습니다. ③ 상제의 형제인 경우 - 백씨상을 당하셔서 얼마나 비감하십니까? ☞ 백씨(남의 맏형의 존대말) ☞ 중씨(남의 둘째형의 높인말) ☞ 계씨 (남의 사내아우의 높인말) ④ 자녀인 경우 - 얼마나 상심하십니까? - 참척을 보셔서 얼마나 마음이 아프십니까? ☞ 참척이란?(자손이 부모나, 조부모에 앞서 죽는 일) 나. 문상을 갔을 때 집안 풍습이나 신봉하는 종교가 다르더라도 해당 상가의 가풍에 따르는 것 이 올바르다고 하겠다. 다. 망인이 연세가 많아 돌아가셨을 때 호상(好喪)이라 하여, 웃고 떠드는 일은 있어서는 아니 되겠다. 죽음에 호상이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喪主 표시 가. 완장(남자 착용) 완장은 삼베로 만들어 졌으며, 검은 색의 줄이 그어져 있는데, 당원 장례식장에서는 두 줄과 한 줄 그리고 무 줄이 있다. ①두줄 : 아들과 사위, 아들이 없을 시에는 장손이 착용한다. ②한줄 : 기혼인 복인(반드시 상복을 입지 않고 완장만 착용을 해도 복인이 된다.) ③무줄 : 미혼인 복인 (주로 손자들이 착용하게 된다.) ☞ 복인은 : 부(父)계 8촌, 모(母)계 4촌까지로 한다. ※ 완장의 사용시기는 정확하지는 않으나, 가정의례준칙이 나오면서 굴건 제복 대신 상주임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가 되어 직계와 비속을 구분하기 위한 수단으로 줄을 넣고 넣지 않음으로 구분하게 되었다. 나. 리본(여자 착용) 무명천으로 만들어진 머린 핀을 말한다. ① 남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좌측머리 부분에 리본을 꽂는다, ② 여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우측머리 부분에 리본을 꽂는다. 다. 상장(남,여 착용) 장례를 마친 후 상을 당했다는 표시를 하는 것을 말한다. ① 남자는 삼베로 만든 리본을 왼쪽 가슴에 부착한다. ② 여자는 무명천으로 만든 리본(머리핀)을, 남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좌측머리 , 여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우측머리 부분에 리본을 꽂는다. ☞ 상장은 장례를 마친 후 탈상 때까지 직계가족만 착용한다. 전통상복으로 표시 무명천이나 광목 천으로 만든 두루마기를 착용하는데, 입관하기 전에는 남좌여우의 격식에 따라 故人이 남자일 경우는 왼쪽 팔을 내어 놓고 여자일 경우는 오른팔을 내어 놓는다. 입관 후에는 정상으로 입는다. ※ 부모님이 돌아가셨을 때 옷을 제대로 입을 경황이 없었다는 뜻이 포함 되어있다. ☞ 남좌여우(男左女右)란? 동양에서는 음과 양의 원리가 있어 남자는 하늘, 여자는 땅이며, 남자는 방향에 있어 왼쪽을 동쪽으로 하여 양으로 표시하고, 여자는 오른쪽을 서쪽으로 하여 음으로 표시한다. 현대상복으로 표시 남자는 검은 양복, 여자는 흰색이나 검은색 치마저고리 및 검은 색 양장을 착용 후 입관이 끝나면 완장 및 리본으로 상주임을 표시하고 있다. 제사의 종류 가. 성복제 입관이 끝나면 남·녀 상주들은 정식으로 상복을 입고, 분향소에서 제수를 올리고, 향을 피우며 첫 제사를 올리는데 이것을 성복제라 한다. (유교와 불교식에서 행함) ※ 최근에는 성복제를 올리기 전에 상복을 입고있는 경향이 있다. 나. 발인제 장지로 떠나기 전 분향실에서 제물을 준비해 지내기도 하며, 故人을 영구버스(영구차)에 모셔 놓고 지내는 제사를 발인제라 한다. 발인제 의미는『이제 故人 000님의 유택(무덤)으로 모시고자 하오니 저희들과는 이세상에서 다시 뵙지 못하는 영원한 이별을 하오니, 故人의 평안을 비는 마음』에서 지내는 제사이다. 다. 노 제 장지로 가는 도중에 평소 故人이 애착이 있던 곳이나, 살았던 곳에 들러 제사를 지내는 것을 말한다. 라. 사토제(산신제) 묘의 광중을 파기 전에 올리는 제사를 말한다. 사토제 의미는 이 곳에 광중을 세우니 신(神)께서 보우하사 후한이 없도록 지켜 주길 비는 마음에서 지내는 제사다. ☞ 광중이란? - 땅을 사각으로 파서 관을 모시는 자리 마. 평토제 광중을 메우기 시작하여 평지와 높이가 같게 되면 지내는 제사다. 평토제는 맏사위가 담당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있다. 바. 성분제 장지에서 봉분(무덤만들기)이 완료되면 지내는 제사다. 성분제 의미는 무덤을 여기에 정하였으니 신께서 보우하사 후한이 없도록 지켜 주길 비는 마음에서 지내는 제사다. 사 .초우제 초우제는 산에서 돌아온 날 저녁에 지내는 제사다. 장지가 멀어 다른 곳에서 숙박을 하더라도 그 곳에서 제를 지내는 것이 원칙이다. |
첫댓글 ㅎㅎ네~다들 젤 첨에 부의금전달하는데~젤 나중에 전달하는거네요~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