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명(별명) |
백리향, (전모지초, 대화백리향, 인단풀, 디무스초 ) |
학,과명 |
Thymus quinquecostatus, 꿀풀과 |
생 약 명 |
백리향(百里香), 또는 지초(地椒). |
설 명 |
♣ 꿀풀과의 낙엽반관목으로 높이 3∼15cm이다. 원줄기는 땅위로 퍼져나가고 어린 가지가 비스듬히 서며 향기가 난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거나 바소꼴이며 길이 5∼12mm, 나비 3∼8mm이다. 양면에 선점(腺點)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고 털이 난다. 꽃은 6월에 분홍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2∼4개씩 달리며 지름 7∼9mm로서 가지 끝부분에 모여 나므로 수상꽃차례같이 보인다. 열매는 작은 견과로서 9월에 짙은 갈색으로 익는다. 줄기가 좀더 굵고 잎 길이 약 15mm, 꽃 길이 약 1cm인 것을 섬백리향(var. japonica)이라고 하는데, 한국 특산종이다. 향기가 있어서 관상용으로 심으며, 포기 전체에 정유(精油)가 있으므로 진해·진경·구풍에 사용한다.
|
분포와 생육지 |
높은 산꼭대기나 바닷가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한국, 일본, 중국, 몽골, 인도에 분포한다. |
약 효 |
발한, 구풍, 진해.
|
적응증 |
♣ 기관지염, 백일해, 일반기침에 쓰이고, 경련을 풀며 풍기를 몰아내고, 기생충도 구제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한다. ♣ 진통약으로써 위통, 류마치스, 마비, 치통에 쓰이며 종양에 찜질을 한다. 또한 정유를 척수신경근염과 신경염을 앓을 때 비벼 바른다.
|
특기사항 |
아주 유명한 허브(Herb) 식물이다. 특히 타임(Thymus), 즉 백리향 종류들은 강장효과도 높고 우울증, 피로회복, 빈혈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음식이나 향료, 그중에서도 잎을 말려 우려 먹는 차로 가장 많이 쓰인다. |
약용부위 |
전초 |
채취와 법제 |
여름(6 ~8월) 꽃필 때 잎이 붙은 전초를 베서 말린다. |
약 성 |
약성은 따스하고, 맛은 맵다. |
사용법 |
전초 12 ~15g에 물 700ml를 넣고 2~3시간 달여서 공복에 복용한다. |
대증요법 |
♣ 눈염증에는 달여서 눈을 씻고, 입안에서 냄새가 나고 입안궤양이 있을 때에 달인물로 양치질을 한다. ♣ 감기로 해수가 연달아 나거나 경련성 해수, 백일해, 인후염 등에도 달여서 입에 물고 있다가 천천히 복용한다.
|
주의사항 |
|
기 타 |
|
조리법 |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향신료가 그리 발달해 있지 않아 백리향을 두고 특별한 요리에 썼다는 기록은 없다. 허브로도 본격적으로 이용되지 않고 있지만 앞으로 향신료, 방향제 등의 재료로 효용 가능성이 많다. 게다가 방부효과까지 있어 식물을 오래 보전하게 하는데도 이용한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