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개발 소식 하루 만에 러브콜”… 거세지는 中의 반도체 인력 빼가기
삼성전자·SK하이닉스 이어 韓 장비사·스타트업으로 대상 확대
“빗발치는 핵심 엔지니어 영입 제안에 골머리”
이직 알선 브로커 판치고 핵심 기술 유출 시도 이어져
반도체협회 “더 강력한 처벌과 입법 필요”
황민규 기자
입력 2025.01.21. 06:00
업데이트 2025.01.21. 06:17
SK하이닉스의 중국 우시 공장 생산라인./SK하이닉스 제공
SK하이닉스의 중국 우시 공장 생산라인./SK하이닉스 제공
“새로 개발한 기술 보도자료가 나간 지 하루도 안 돼서 핵심 엔지니어들한테 영입 제안이 온다. 상황이 심각해졌다고 생각한다. 핵심 인력을 잡아두는 게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반도체 기업들의 핵심 인력에 대한 중국 반도체 기업들의 영입 공세가 거세지고 있다. 기존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비롯한 대형 메모리 반도체 기업뿐만 아니라 새롭게 부상하는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반도체 장비사 등 영입 타깃이 확대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내 반도체 장비사의 한 임원은 “최근 들어 새로운 기술 개발이나 자료 발표에 대해 신중해지고 있으며, 사내 직원 보안과 인력 유출에 대해 더 높은 수준의 관리가 필요해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사례를 언급하며 “기술을 발표한 이후 하루도 채 되지 않아 핵심 담당자에게 영입 제안이 오는 등 이미 많은 내부 정보가 대외적으로 유출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중국이 가장 공을 들이고 있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인재 유출 시도가 가장 도드라진다. 최근 중국 반도체 제조업체 청두가오전(CHJS) 대표 최모(67)씨와 공정설계실장 오모(61)씨는 삼성전자가 개발비 4조원을 투입한 국가 핵심기술을 부정 사용한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 또 삼성전자 반도체 공정 핵심 기술 인력의 중국 이직을 알선한 브로커들이 무더기로 검찰에 넘겨졌다. 피해 규모만 4조3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 지난 19일 수원지검 방위사업·산업기술범죄수사부는 산업기술보호법위반, 부정경쟁방지및영업비밀보호에관한법률위반(영업비밀국외누설) 등의 혐의로 중국계 회사 운영자 A(55)씨와 설계팀장 B(43)씨 등 2명을 구속기소 했다고 밝혔다. 또 같은 혐의로 A씨가 운영한 회사 등 법인 3곳과 회사 직원 등 관련자 9명을 불구속 기소했다.
중국 최대 반도체 장비업체의 국내 계열사 사장인 A씨는 B씨 등과 공모해 2021년 10월부터 2024년 4월까지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이자 삼성전자 자회사인 세메스의 세정장비 챔버부 설계도, 이송로봇 도면 등을 부정사용한 혐의를 받고 있다. 삼성전자의 세정공정 레시피(세정장비를 구동하는 세부 절차와 방법을 정리한 문서)를 활용해 문서를 작성한 혐의도 있다.
이처럼 중국 반도체 업체들이 인재 영입에 속도를 내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성과급 보상 체계 재편 등으로 ‘집토끼’를 지키겠다는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또 내부적으로 퇴사자 및 전직 임원을 통한 기술 유출을 막기 위해 회사 규정 등을 강화하고 있다. 이 외에도 퇴사한 직원에 대한 취업제한 서약서와 모니터링 등에 신경을 쓰는 분위기다.
다만 대기업들은 초과이익성과급 주식보상제도를 일반 직원에게 적용하는 것을 검토하는 등 대안 모색이 가능하지만, 규모가 작은 기업들은 속수무책인 상황이다. 팹리스(반도체 설계)와 IP(지식재산권), 테스트 등의 분야 기업들은 핵심 인력을 붙잡을 수단이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다.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해외로의 기술 유출을 방어하기 어렵게 되자 정부의 도움이 절실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 관계자는 “가장 큰 문제는 산업스파이 관련 법안이나 기술 유출에 대한 법과 기준이 느슨하다는 점”이라며 “이미 상당 부분의 핵심 기술이 유출된 상황에서 더 큰 국가적 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강력하게 규제할 수단이 필요하다”고 했다.
황민규 기자
황민규 기자
관련 기사
K-반도체 미래 먹거리 ‘NPU’ 노리는 中… 기술·인재 유출 ‘경계령’
오늘의 핫뉴스
수주잔고 20조 '훌쩍'… LIG넥스원, 방산 수출 '탄탄대로'
IT 많이 본 뉴스
“기술 개발 소식 하루 만에 러브콜”… 거세지는 中의 반도체 인력 빼가기
[비즈톡톡] 상장 앞둔 LG CNS, 삼성SDS·포스코DX와는 다를까
[체험기] “147인치 3D 화면이 눈 앞에”… AR 글래스 ‘엑스리얼 원’, 기기 호환·콘텐츠 부족은 아쉬워
100자평4도움말삭제기준
100자평을 입력해주세요.
최신순찬성순반대순
하지민
2025.01.21 07:54:28
그래도 이재명은 쎄쎄하면 돤다는디....
답글작성
0
0
프라우다
2025.01.21 07:42:54
삼성도 대만에서 파운드리 기술자들을 적극 영입해야
답글작성
2
0
jamseban
2025.01.21 07:26:26
강력한 처벌법? 중국에 대만에 셰셰하는 작자가 있는데.되것노?
답글작성
4
0
더보기
당신이 관심 있을 만한 콘텐츠
치핵수술 앞둔 3기 환자도 정조가 한 '이것' 알면 수술 없이 끝낼 수 있다
'기미잡티' 초기에 방치하면 큰일..(+피부원장 경험글)
3년간 방치한 "눈밑꺼짐 없애는 딱 1가지 방법"
기미잡티, 이제야 알게된 진실(+개선노하우)
'기미잡티' 피부과원장이 말하는 개선법 공유(비공개글)
눈밑꺼짐 고생 그만하고 '이렇게'하세요 (해결법)
Recommended by
많이 본 뉴스
1
러닝화 시장 세대교체… 유통업계 “2030 러너 잡아라”
2
“기술 개발 소식 하루 만에 러브콜”… 거세지는 中의 반도체 인력 빼가기
3
현대차·LG에 두산까지… 중복상장 비판 피하려 해외 상장 꼼수
4
LIG넥스원, 해외 매출 첫 30% 돌파 전망… ‘비궁’ 美 수출 관심
5
아워홈 전국 23개 사업장 다 둘러본 한화 3男, 시너지 자신하는 이유는
6
다제약물 복용은 노쇠로 가는 지름길…한국인 노화의 취약 경로
7
‘비행기 타는 데 3시간’ 인천공항, 속도 빠른 보안검색기 새로 샀다더니 “오작동 잦아”
8
[단독] 티웨이항공 경영권 분쟁 시작… 대명소노, 경영개선 요구서 발송
9
실손보험 5세대 강제 전환? 1·2세대 가입자 반발… “장기간 유지 힘들 것”
10
[단독] 현대차, BYD 점포 옆에 ‘전기차 전용 전시장’ 만든다
연예 많이 본 뉴스
1
두 번 외도한 남편 눈감아준 아내 “초심 찾으면 사람 돌아올 줄”(결혼지옥)[핫피플]
2
민니 “(여자)아이들 재계약, 무조건 한다고 믿어..사인하고 시상식 선 것” [인터뷰①]
3
홍상수, 딸 결혼식 불참→'임신' 김민희母 "불륜녀? 곱게 키운 딸"..가짜뉴스 어디까지? [종합]
4
“박남정 딸→윤상 아들까지”..가수 아빠 끼 이어 받은 ★ 2세들 [Oh!쎈 레터]
5
홍진경 유학·지석진 보톡스,유재석도 웃다 지친 가짜의 삶 ('핑계고') [종합]
6
추영우·동생 차정우, 우월 유전자 이유 있었네..알고보니 90년대 톱모델 추승일 아들 [Oh!쎈 이슈]
7
레인보우 노을, 훈남 남편과 오는 4월 결혼 발표
8
강소라, '미생' 시즌2 언급 "원작 있지만…배우 모이기 쉽지 않아" (세차JANG)[순간포착]
9
"나이 상관없다"던 '53세' 박소현, 10살 어린 연하남에..결국NO [순간포착]
10
신애라, "얼굴 변했다" 걱정.."갱년기 지나니 살쪄" 몸무게 공개[Oh!쎈 포인트]
개인정보처리방침
앱설치(Android)
Copyright 조선비즈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