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마고의 노래 원문보기 글쓴이: 사람이 하늘이다
『사기』 ‘조선열전’ 해설(제2회)
<진번과 조선은 모두 중국 하북성에 있었다.>
[해설]
4. 진번․조선
(1) 국사편찬위원회 주석
진번과 조선을 공략하여 복속시켰다는 이 기록은『삼국지』에 인용된『위략』의 연국의 장수 진개가 고조선의 서방 2천여리를 공략하였다는 내용에 대응하는 것이다. 진번의 위치는 분명하지 않지만 조선과 나란히 기록된 것으로 보아 서로 인접된 지역이었을 것이다. 여기에 나오는 조선과『위략』의 조선을 각각 지명과 국명으로 구분하여 이해하는 견해가 있으나, (윤내현,「고조선의 서변경계고」)『사기』와『위략』의 기사는 표현의 차이가 있을 뿐 서로 대응되는 기사라는 점에서 이러한 견해는 재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하여튼 이 기사는 연의 동방진출과 관련하여 고조선의 영역 및 그 중심지에 관한 논쟁점이 되고 있다. 아울러 뒤의 한사군 가운데 보이는 진번군과의 관련에서도 중시되는 사항이다.
특히 여기서 주목해야 될 사실은 진번이란 표현이 고조선시대의 구체적인 명칭으로 존재하였다는 사실이다. 즉, 본문에 계속하여 나타나는 ‘其傍小邑 眞番․臨屯眞番旁衆國’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당시의 구체적인 정치체명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종래 진번 등의 명칭이 한사군설치와 관련하여 처음 나타난 것처럼 이해되는 경향은 불식되어야 하며, 상당한 정치체로 성장해 있는 진번 및 임둔 등 중국衆國의 존재가 중시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여기에 나오는 진번의 원위치는 후일의 진번군과는 달리 요동지역에 위치하였을 가능성이 보다 높다고 보여진다. 한편 이와 함께 진번․조선의 조선도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전체 고조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앞의 진번처럼 일부 지역에 한정된 의미로 이해해야 된다고 생각된다.
(2) 필자의 주석
진번에 관하여 『사기색은』은 응소의 말을 인용하여 “현토는 본래 진번국이다(玄菟本眞番國)”고 하였다. 뒤에 나오는 위만조선의 강역이 ‘사방 수천 리(方數千里)’라는 구절에 대하여 『사기정의』는 괄지지를 인용하여 “조선‧고려‧맥‧동옥저 등 다섯 나라다(朝鮮·高驪·貊·東沃沮五國之地)”라고 하였다. 응소와 괄지지의 기록을 종합하여 보면 진번은 진번국으로 고구려의 전신이며 한나라 현토군(BC 82년 이동된 현토군)이 설치된 지역이다. 조선은 단군조선‧기자조선‧위만조선의 중심지였던 왕검성이 위치한 곳으로 한나라 낙랑군이 설치된 지역이다. 그러므로 연나라가 전성기에 복속하였다는 진번과 조선의 위치는 훗날 한사군의 중심이었던 현토군과 낙랑군의 위치와 같으며 한민족 상고사를 이해하는 핵심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진번의 위치는 현 중국 하북성 지역으로 상곡(현 하북성 장가구시)에서 진황도시에 이르는 장성과 양하洋河‧영정하永定河 및 발해로 둘러싸인 지역이다. 그리고 조선의 위치는 동서로는 백석산(갈석산)을 포함하는 태행산맥과 발해만, 그리고 남북으로는 영정하永定河와 호타하滹沱河로 둘러싸인 지역이다. 이 때 연나라의 위치는 『전국책』에 나오는 소진의 말을 참조하면, 동쪽으로는 조선 및 요동(진번과 동일)과 경계를 접하고, 남쪽으로는 안문과 갈석산(백석산)에 이르는 장성이 경계이며, 북쪽은 훗날 조무령왕이 쌓은 조장성 부근이 경계이며, 서쪽은 황하가 경계였다.(아래의 『진번과 조선 및 연나라 강역 지도』 참조)
이제 이 결론에 도달하기 위하여 한민족의 상고사를 왜곡하고 있는 두 개의 험난한 관문을 통과해야 한다. 이 두 개의 관문을 통과하고 나면 『사기』 ‘조선열전’이 전하는 한민족의 상고사가 생생하게 눈앞에 펼쳐질 것이다.
첫 번째 관문은 연나라 장수 진개의 조선 침략에 관한 것이다. 진개의 침략이 1번 있었는가? 아니면 두 번 있었는가? 그리고 진개가 빼앗은 땅이 천 여리인가? 또는 2천 여리인가? 아니면 3천 여리인가? 여러 가지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진개의 침략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한민족의 상고사가 지각변동을 일으킬 수밖에 없다.
두 번째 관문은 갈석산의 위치를 올바로 파악하는 일이다. 『사기색은』에서 『태강지리지』를 인용하여 “낙랑군 수성현에 갈석산이 있다. 장성이 일어난 곳이다(樂浪遂城縣有碣石山 長城所起)” 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갈석산의 위치를 알면 한나라 낙랑군의 위치를 알 수 있고, 낙랑군이 설치되었던 조선의 위치를 알 수 있다. 그런데 갈석산의 지명이동이 있었으며, 갈석산 관련 기록들 또한 미로처럼 얽혀있다. 이로 인하여 한민족의 상고사가 짙은 안개 속에 가려져 있다.
먼저 연나라 장수 진개의 고조선 침략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자. 진개의 고조선 침략은 연나라 소왕(昭王, 재위 BC 312~BC 279) 때의 일이다. 진개의 고조선 침략에 대한 기록은 아래와 같이 단 세 구절에 불과하다. 그러나 그 세 구절이 우리 상고사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그 해석 여하에 따라서는 고조선의 강역이 한반도로 축소되기도 하고 중국 북경근처까지 늘어나기도 한다. 그러므로 우리 상고사를 올바로 이해하려면 진개의 고조선 침략 관련 기록들을 정확하게 알 필요가 있다. 『사기』 ‘흉노열전’과 ‘조선열전’ 그리고『삼국지』 ‘위지 동이전’을 통해 관련 기록을 살펴보자.
① “그 후 연나라에 현명한 장수 진개가 있어 호胡에 볼모로 갔는데 호가 매우 신임했다. 돌아와 동호를 습격해 격파하니 동호가 천여 리를 물러났다. 형가와 함께 진왕秦王을 암살하려 했던 진무양이 진개의 손자이다. 연나라 또한 장성을 쌓았는데 조양에서 양평까지이다. 상곡ㆍ어양ㆍ우북평ㆍ요서ㆍ요동군을 설치하여 호를 막았다.(其後燕有賢將秦開,爲質於胡,胡甚信之.歸而襲破走東胡,東胡卻千餘里.與荊軻刺秦王秦舞陽者,開之孫也.燕亦築長城,自造陽至襄平.置上谷ㆍ漁陽ㆍ右北平ㆍ遼西ㆍ遼東郡以拒胡.)”『사기』‘흉노열전’
② 조선왕 만滿은 옛날 연나라 사람이다. 처음 연나라의 전성기로부터 일찍이 진번과 조선을 침략하여 복속시키고, 관리를 두어 국경에 성과 요새를 쌓았다. 진이 연을 멸한 뒤에는 [그곳을] 요동외요遼東外徼에 소속시켰는데, 한이 일어나서는 그곳이 멀어 지키기 어려우므로, 다시 요동의 옛 요새를 수리하고 패수에 이르는 곳을 경계로 하여 연에 복속시켰다.(朝鮮王滿者, 故燕人也. 自始全燕時, 嘗略屬眞番ㆍ朝鮮, 爲置吏, 築鄣塞, 秦滅燕, 屬遼東外徼. 漢興, 爲其遠難守, 復修遼東故塞, 至浿水爲界, 屬燕.) 『사기』‘조선열전’
③ 위략에 이르기를 옛 기자의 후예인 조선후는 주나라가 쇠약해지자, 연나라가 스스로 높여 왕이라 칭하고 동쪽으로 침략하려는 것을 보고, 조선후도 역시 스스로 왕호를 칭하고 군사를 일으켜 연나라를 역격하여 주 왕실을 받들려 하였는데, 그의 대부 예禮가 간하므로 중지하였다. 그리하여 예禮를 서쪽에 파견하여 연나라를 설득하게 하니, 연나라도 전쟁을 멈추고 [조선을] 침공하지 않았다. 그 뒤에 자손이 점점 교만하고 포악해지자, 연은 장군 진개를 파견하여 [조선의] 서쪽 지방을 침공하고 2천여 리의 땅을 빼앗아 만번한에 이르는 지역을 경계로 삼았다. 마침내 조선의 세력은 약화되었다.(魏略曰 昔箕子之後朝鮮侯, 見周衰, 燕自尊爲王, 欲東略地, 朝鮮侯亦自稱爲王, 欲興兵逆擊燕以尊周室. 其大夫禮諫之, 乃止. 使禮西說燕, 燕止之. 後子孫稍驕虐, 燕乃遣將秦開攻其西方, 取地二千餘里, 至滿番汗爲界, 朝鮮遂弱.) 『삼국지』 ‘위지 동이전’
위의 기록들을 요약하면
①은 ‘연나라 장수 진개가 동호를 천여 리 격파하고 장성을 쌓았다는 것’이고, ②는 ‘(진개가) 진번과 조선을 침략하여 복속시키고 장성을 쌓았다는 것’이며, ③은 ‘연나라 장수 진개가 조선을 침략하여 2천여 리의 땅을 빼앗았다’는 것이다.
여기서 핵심은 ①의 『사기』 ‘흉노열전’과 ②의 『사기』 ‘조선열전’의 기록이 동일한 사건을 기록한 것인가? 아니면 별개의 사건인가? 하는 것이다. 이를 보는 관점에 따라 대략 3가지 견해로 나누어지며, 한민족의 상고사 해석이 판이하게 달라진다.
첫째, ①과 ②가 동일한 사건을 기록한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이 경우 연나라 장수 진개의 공격은 1번 있었으며, 진개가 공격한 동호는 곧 진번과 조선이 된다. 그리고 진개가 조선을 공격하여 빼앗은 땅은 상곡으로부터 동쪽으로 천 여리가 된다. 상곡은 오늘날의 중국 하북성 장가구시 일대이다. 상곡으로부터 동쪽으로 천 여리는 대략 난하 또는 현 하북성과 요령성의 경계인 칠로도산七老圖山까지이다. 그러므로 연장성의 동단 및 진번과 조선은 모두 중국 하북성 지역에 있게 된다. 필자는 이 설을 주창한다.
둘째, ①과 ②는 별개의 사건이며, ①과 ②의 사건을 종합한 기록이 ③이라는 견해이다. 이 경우 연나라 장수 진개의 공격은 2차례에 걸쳐 있었다. 진개가 1차로 동호를 천 여리 물리치고, 2차로 진번과 조선을 천 여리 물리쳐서 결과적으로 ③의 기록처럼 진개가 2천 여리의 땅을 빼앗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장성의 동단은 현 요령성 요양까지 이어지며, 진번과 조선은 난하 또는 칠로도산七老圖山으로부터 천산산맥 사이에 있게 된다. 다수의 재야사학자들이 이 설을 지지하고 있다.
셋째, ①과 ②는 별개의 사건이며, ②와 ③이 서로 대응되는 사건이라는 견해이다. 이 경우 연나라 장수 진개가 1차로 동호를 천 여리 물리치고, 2차로 진번과 조선을 2천 여리 물리쳐서 결과적으로 진개가 3천 여리의 땅을 빼앗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장성의 동단은 한반도의 청천강까지 이어지며, 진번과 조선은 난하 또는 칠로도산七老圖山으로부터 한반도 청천강에 이르는 지역에 있게 된다. 위에서 국사편찬위원회의 주석에서 보는바와 같이 현 강단사학계가 이 설을 지지하고 있다. 중국의 동북공정도 이 설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국역사지도집』에는 연장성을 한반도 청천강까지 그리고 있다.
과연 연나라 장수 진개의 고조선 침략에 대한 역사적 진실은 무엇일까?
필자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①의 『사기』 ‘흉노열전’ 기록과 ②의 『사기』 ‘조선열전’ 기록이 동일한 사건을 기록한 것으로 본다. 만약 ①과 ②가 별개의 사건이라면 진개의 동호 공격이 있기 전에는 연나라와 조선 사이에 천 여리의 동호가 존재해야 한다. 그러나 『전국책』이나 『삼국지』 ‘위지 동이전’의 기록에 의하면 진개의 동호 공격이 있기 전부터 연나라와 조선은 서로 국경을 맞대고 있었다. 즉 연나라와 조선 사이에 천 여리의 동호가 따로 존재할 틈이 없다. 『전국책』에 의하면 전국시대 합종책으로 유명한 소진이 연나라 문공(재위 BC361-BC333)에게 연나라 강역을 언급하면서 ‘연나라의 동쪽에는 조선과 요동이 있다’고 하였다. 소진이 이 말을 한 시기는 진개의 동호 공격(진개의 동호 공격은 BC 300년경) 이전으로 연나라와 조선은 서로 국경을 맞대고 있었다. 또 위의 ③번 『삼국지』 ‘위지 동이전’ 기록에서 연나라와 조선후가 각각 왕호를 칭한 때는 『전국책』에 의하면 기원전 323년의 일로 역시 진개가 동호를 공격하기 이전이다. 그런데 이 시기에 이미 연나라와 조선은 서로 국경을 접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①의 『사기』 ‘흉노열전’ 기록과 ②의 『사기』 ‘조선열전’은 동일한 사건을 기록한 것으로 진개가 물리친 동호는 바로 진번과 조선을 말한다. 그렇다면 사마천은 왜 『사기』 ‘흉노열전’ 에서는 진개가 공격한 대상을 동호라고 기록하고, 『사기』 ‘조선열전’에서는 진번과 조선이라고 했을까? 『사기』 ‘흉노열전’에서 동호는 흉노의 동쪽에 있는 오랑캐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동호에는 오환, 선비, 진번, 조선, 부여, 예맥 등이 모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사기』 ‘흉노열전’에서는 연나라 장수 진개가 공격한 대상을 포괄적으로 동호라 칭하였고, 『사기』 ‘조선열전’에서는 진번과 조선으로 특정하여 기술한 것으로 본다. 그래도 문제는 남는다. ①의 『사기』 ‘흉노열전’에서는 진개가 동호(진번과 조선)를 천 여리 물리쳤다고 하였는데, ③의 『삼국지』 ‘위지 동이전’ 에서는 진개가 조선의 땅 2천 여리를 빼앗았다고 하였다. 만약 위의 ①, ②, ③이 모두 동일한 사건을 기록한 것이라면 진개가 빼앗은 땅의 크기가 다르게 기술된 까닭은 무엇일까? 이 문제는 진번과 조선의 정확한 위치를 알고 나면 해결의 실마리가 풀린다.
지금까지 연나라 장수 진개의 고조선 침략관련 기록들을 검토하면서 위의 ①, ②, ③의 기록들이 모두 동일한 사건을 기록한 것임을 살펴보았다. 그러면 연나라가 동호(진번과 조선)를 천 여리 물리치고 그곳에 상곡군‧어양군‧우북평군‧요서군‧요동군 등 연5군을 설치하였으므로, 진번과 조선은 연5군과 같은 지역으로 모두 상곡군(현 하북성 장가구시 일대)으로부터 동쪽으로 천 여리 이내의 거리에 있어야 한다. 즉 진번과 조선은 모두 현 중국 하북성에 위치해야 한다. 이제 진번과 조선의 정확한 위치를 살펴보자.
진번과 조선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연나라 장수 진개의 고조선 침략 전 연나라의 위치를 알 필요가 있다. 『전국책』에 전국시대 합종책으로 유명한 소진이 연나라 문공(재위 BC361-BC333)에게 연나라 강역을 언급하는 내용이 나온다.
“연나라의 동쪽에는 조선과 요동이 있고, 북쪽에는 임호와 누번이 있으며, 서쪽에는 운중과 구원이 있고, 남쪽에는 녹타와 역수가 있다. 지방이 이천 여리 이다...중략...남쪽에는 갈석과 안문의 풍요로움이 있고 북쪽에는 대추와 밤의 이로움이 있다. 백성들이 비록 농사짓지 않아도 대추와 밤이 넉넉하므로 이것이 이른바 천부이다.(燕東有朝鮮遼東 北有林胡樓煩 西有雲中九原 南有菉沱易水 地方二千餘里...中略...南有碣石﹑鴈門之饒 北有棗栗之利 民雖不佃作而足於棗栗矣 此所謂天府者也)”『전국책』‘연책燕策’
진개의 고조선 침략은 연나라 소왕(昭王, 재위 BC 312~BC 279) 때의 일이이므로 윗 구절은 진개가 고조선을 침략하기 전의 연나라 강역을 구체적으로 잘 설명해주고 있다. 위 소진의 말에서 핵심이 되는 것은 연나라의 남쪽에 있었다는 갈석산의 위치를 파악하는 일이다. 『사기색은』에서 『태강지리지』를 인용하여 “낙랑군 수성현에 갈석산이 있다. 장성이 일어난 곳이다(樂浪遂城縣有碣石山 長城所起)” 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갈석산의 위치를 알면 한나라 낙랑군의 위치를 알 수 있고, 낙랑군이 설치되었던 조선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이제 한민족의 상고사를 왜곡하고 있는 험난한 두 번째 관문과 마주하게 되었다.
소진이 언급한 연나라의 남쪽에 있었다는 갈석산을 지금의 하북성 난하 하류에 있는 갈석산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과연 그럴까? 소진이 언급한 당시의 연나라는 아직 진개가 동호(진번과 조선)를 공격하기 전이므로 상곡군을 비롯하여 어양군 등 연5군 지역이 아직 연나라 땅이 되기 전이다. 그러므로 이 당시 연나라는 동쪽으로 현 북경지역에도 이르지 못하였다. 그런데 어떻게 난하 하류에 있는 갈석산이 연나라 남쪽에 있을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소진이 말한 연나라 남쪽의 갈석산은 현 북경보다 남쪽에서 찾아야만 한다. 이 갈석산을 가장 극적으로 표현한 지도가 아래의 중국 남송시대인 1177년에 제작된 『기주협우갈석도冀州夾右碣石圖』로 중국에서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고지도로 손꼽힌다. 『기주협우갈석도』는 한민족 상고사의 최대 쟁점인 갈석산의 위치를 가장 극적으로 표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갈석산을 배경으로 연5군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어 한민족의 상고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참으로 보물섬지도와 같은 존재이다.
『기주협우갈석도』에는 지도뿐만 아니라 갈석산을 자세히 설명한 글도 나온다. 갈석산의 위치가 역수(易水, 현 거마하)에서 바다로 들어온 후 황하를 타고 서쪽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갈석산이 오른쪽에 있다고 하였다. 즉 갈석산이 역수(易水, 현 거마하) 하류의 서쪽에 위치하므로 오늘날의 하북성 보정시에 위치한 백석산(또는 낭아산)이 분명하다.<필자의 글 “갈석산은 고구려의 역사를 알고 있다(제1회, 제2회) 참조>
백석산(또는 낭아산)이 갈석산이라면 『태강지리지』에서 기록한 것처럼 그 주변에서 낙랑군 수성현遂城縣의 흔적을 찾을 수 있는가? 그렇다. 백석산의 동쪽 봉우리인 낭아산(狼牙山, 해발 1,105M) 바로 동쪽에 수성현遂城縣이라는 지명이 지금도 버젓이 남아있다. 뿐만 아니라 송나라에서 편찬된 『무경총요武經總要』와『태평환우기太平寰宇記』등에 이곳 수성현은 진나라 만리장성이 시작되는 곳이므로 수성遂城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고 분명히 기록하고 있다. 그러므로 백석산(또는 낭아산)은『사기색은』에서 『태강지리지』를 인용하여 “낙랑군 수성현에 갈석산이 있다. 장성이 일어난 곳이다(樂浪遂城縣有碣石山 長城所起)” 고 한 기록을 완벽하게 충족하고 있는 갈석산이다. 이렇듯 진나라 만리장성의 동단에 대한 분명한 기록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중국역사지도집』‘진秦시기 지도’는 진나라 만리장성을 한반도 평양까지 그리고 있다. 엄청난 역사왜곡이 아닐 수 없다. 하루속히 바로잡아야 한다.
이제 위에서 소진이 말한 연나라 남쪽에 위치한 갈석산이 현 하북성 보정시에 위치한 백석산(또는 낭아산)임을 알았다. 백석산(갈석산)이 연나라에도 속하고 조선에도 속하므로 백석산(갈석산)이 연나라 장수 진개가 조선을 침략하기 전 연나라와 조선의 경계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조선은 동서로는 백석산(갈석산)과 발해를 경계로 하는 지역이다.
또 조선의 남북 경계는 『사기집해』에서 3세기경 위魏나라 장안이 “조선에는 습수‧열수‧산수가 있다. 세 물이 합하여 열수가 되었다. 낙랑과 조선이라는 명칭은 이 강들의 이름에서 따온 듯하다(朝鮮有濕水·洌水·汕水, 三水合爲洌水, 疑樂浪·朝鮮取名於此也.)”고 한 말에서 찾을 수 있다. 습수는 아래의 남송(1136년 작) 시대 제작된 우적도禹迹圖에 잘 나타나 있는데, 현재의 영정하永定河이다. 또 열수는 『산해경』 ‘해내북경’에서 “조선은 열양의 동쪽으로 바다의 북쪽, 산의 남쪽에 있다. 열양은 연나라에 속한다.(朝鮮在列陽東 海北山南 列陽屬燕)”하였다. 곽박이 해설하기를 “조선은 지금의 낙랑현으로 기자를 봉한 땅이다. 열列은 또한 물 이름이다. 지금 대방에 있는데 대방에는 열구현이 있다.(郭璞云 朝鮮今樂浪縣 箕子所封地 列亦水名也 今在帶方 帶方有列口縣)”고 하였다. 열양列陽은 열수의 북쪽을 의미한다. 연나라가 열양에 있고, 그 동쪽에 조선이 있으므로 열수는 연나라와 조선의 남쪽을 흐르는 강이다. 위 소진의 말에서 보듯이 연나라의 남쪽에는 녹타와 역수가 흐르고 있는데, 녹타가 지금의 호타하滹沱河이며 바로 열수이다.<필자의 글 『부도지』로 보는 고조선의 비밀(제3회) 참조>
장안이 말한 조선에 흐르는 세 강물인 습수‧열수‧산수 중에서 습수는 현재의 영정하永定河이고, 열수는 현재의 호타하滹沱河임을 알았다. 산수는 자료를 찾지 못했으나 영정하와 호타하 사이에 흐르는 거마하拒馬河, 역수易水, 당하唐河, 대사하大沙河 중의 하나로 비정된다. 그러므로 조선의 남북 경계는 적어도 영정하와 호타하가 된다. 이제 조선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게 되었다. 조선의 동서남북 경계는 적게 잡아도 동서로는 백석산(갈석산)이 포함된 태행산맥과 발해, 남북으로는 영정하와 호타하로 둘러싸인 지역이다. 이 밖에도 조선의 위치가 현 중국 하북성 보정시 일대임을 알 수 있는 자료들은 많이 있다.<필자의 글 “갈석산은 고구려의 역사를 알고 있다(제5회)” 참조>
조선의 위치가 확정되면 진번의 위치는 쉽게 찾을 수 있다. 연나라가 진번과 조선을 침략하여 복속시키고 연장성을 축조하였으므로 연장성의 남쪽에 진번과 조선이 위치한다. 그러므로 연장성의 남쪽에서 조선지역을 제외한 곳이 진번지역이 된다. 이제 진번의 개략적인 위치도 확정할 수 있게 되었다. 진번은 현 중국 하북성 지역으로 상곡(현 하북성 장가구시)에서 진황도시에 이르는 장성과 양하洋河‧영정하永定河 및 발해로 둘러싸인 지역이다. 참고로 연장성의 동단은 요동군의 치소인 양평까지다. 뒤에 ‘장새’ 항목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지만 연장성의 동단인 양평은 현 중국 하북성 천진시 계현薊縣 일대로 연장성이 진황도시까지 이르지는 못하였다. 그런데 필자가 계현薊縣에서 진황도시에 이르는 장성 아래부분도 진번지역에 포함시킨 것은 이곳 역시 연나라가 설치한 요동군에 포함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연나라 장성은 요동군 치소인 양평까지만 축조되어서 요동군 전체를 둘러싸지는 못하였으므로 연장성이 둘러싸지 못한 요동군의 나머지 부분을 진번지역에 추가하였다.
드디어 조선과 진번의 위치를 모두 확정하였다. 그러면 앞에서 연나라 장수 진개의 고조선 침략관련 기록 중 『사기』‘흉노열전’은 진개가 격파한 땅이 천 여리라 하였고, 『삼국지』 ‘위지 동이전’ 은 진개가 조선의 영토 2천 여리를 빼앗았다고 한 이유를 살펴보자(앞의『진번과 조선 및 연나라 강역 지도』 참조). 『사기』 ‘흉노열전’은 진장성, 조장성, 연장성 등 장성을 기준으로 영토의 변화를 기술하고 있다. 그러므로 진개의 공격으로 동호(진번과 조선)가 물러난 동서간의 거리, 즉 상곡(현 하북성 장가구시)에서 난하 또는 칠로도산七老圖山까지의 거리인 천 여리를 기록하였다. 반면 『삼국지』 ‘위지 동이전’ 에서는 영정하에서 남쪽으로 호타하에 이르는 조선지역 천 여리와 상곡(현 하북성 장가구시)에서 난하 또는 칠로도산七老圖山에 이르는 진번지역 천 여리를 합하여 2천 여리의 땅을 빼앗았다고 기술한 것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사기』 ‘흉노열전’과 ‘조선열전’ 그리고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기록된 진개의 고조선 침략관련 기록들이 모두 동일한 사건을 기록한 것이며, 한나라 낙랑군 수성현에 있었다는 갈석산이 현 중국 북경 서남쪽 200여 킬로미터에 위치한 백석산(또는 낭아산)임을 알았다. 이 두 가지만 이해하면 앞으로 『사기』 ‘조선열전’이 전하는 한민족의 상고사가 생생하게 눈앞에 펼쳐질 것이다.<다음호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