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하언재(天何言哉)
하늘이 말을 하더냐? 라는 뜻으로, 하늘은 아무 말도 하지 않지만 도는 반드시 행함을 일컫는 말이다.
天 : 하늘 천(大/1)
何 : 어찌 하(亻/5)
言 : 말씀 언(言/0)
哉 : 어조사 재(口/6)
출전 : 논어(論語) 양화(陽貨)편 19장
끄트머리 재(哉) 자는 어조사 재로 물음표 역할을 한다. '천하가 말을 하더냐?'는 의미로 해석된다. 천하는 말을 않는다는 것은 천하는 사계절 운행하고 만물이 생장할 뿐 일부러 어떤 설명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지 않는다는 의미다. 논어(論語) 양화(陽貨)편 19장에 나오는 구절이다.
어느 날 공자가 이렇게 선언했다, "나는 이제 말을 안 하련다(予欲無言)." 그러자 제자 자공(子貢)이 "선생님께서 말씀을 안 하시면(子如不言), 저희들은 어떻게 전할 수 있겠습니까?(則小子何述焉)"라고 한다. 이때 공자가 한말이 천하언재(天何言哉), '하늘이 말을 하더냐?'라는 말이다. 자공을 비롯한 제자들이 어리둥절해 하자 공자는 이내 자신의 말을 부연 설명한다. 천하가 사철 운행하고(四時行焉), 만물이 생장하는데(百物生焉), 천하가 말을 하더냐(天下言哉)?
많은 고전학자들은 공자가 갑자기 천하언재(天何言哉)를 말한 배경을 답답함의 토로에서 찾는다. 아무리 말을 해도 제자들이 말 속의 진리를 구하는 게 아니라 자신의 말의 표피적 의미에 매달리는 것을 보고 실망해서 했다는 것이다. 견월망지(見月望指), 달을 보라고 했더니 달은 안 보고 손가락만 쳐다보는 식의 태도를 훈계하기 위해 이런 비유적 표현을 한 것으로 해석한다.
사실 진리는 말로 다 표현할 수도, 전할 수도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느낌, 깨달음, 감 등으로 이심전심으로 통하게 된다. 연꽃을 보임으로써 깨달음을 전했다는 석가모니의 염화시중(拈華示衆)과도 닿아있다.
최근 말의 홍수 시대다. 자기 말이 진실이고 참이라며 쏟아낸다. 작위가 도를 넘었다. 그러니 막말이 나오고, 거꾸로 진실을 감추는 말이 된다. 공자의 '나는 말을 안 하련다, 천하가 언제 말을 하더냐'라는 교훈이 곱씹어지는 시절이다.
▣ 천하언재(天下言哉)
하늘이 언제 말을 하더냐? 줏대없이 굴지말고 차라리 입을 닫으라.
子曰 : 予欲無言.
공자가 말하기를 "나는 말을 하지 않으련다."
子貢曰 : 子如不言, 則小子何述焉.
자공이 말하기를 "스승님께서 말씀을 안하시면 저희들은 어떻게 합니까?"
子曰 : 天何言哉? 四時行焉, 百物生焉, 天何言哉?
공자가 말하기를, "하늘이 말하는 것을 봤느냐? 그래도 때는 오고 가고, 만물은 소생하지 않느냐? 언제 하늘이 말을 하더냐?"
(論語 / 陽貨篇)
한 자리 하기 위해 줏대도 없이 이리저리 소신을 바꾸면서 비루하게 사느니 차라리 입을 다무는 것이 낫다. 내가 입을 닫는다고 세상이 어떻게 되지는 않는다. 해가 지면 달이 뜨고 달이 지면 또 해는 뜨니까. 그러다가 내 소신을 펼수 있는 세상이 오면 그때 떳떳하게 말을 하면 된다. 천하언재(天下言哉), 하늘이 언제 말을 하더냐? 할말이 없으면 아예 입을 다무는 것이 상책이다.
▶️ 天(하늘 천)은 ❶회의문자로 사람이 서 있는 모양(大)과 그 위로 끝없이 펼쳐져 있는 하늘(一)의 뜻을 합(合)한 글자로 하늘을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天자는 '하늘'이나 '하느님', '천자'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天자는 大(큰 대)자와 一(한 일)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런데 갑골문에 나온 天자를 보면 大자 위로 동그란 모양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사람의 머리 위에 하늘이 있다는 뜻을 표현한 것이다. 고대 중국인들은 하늘은 동그랗고 땅은 네모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天자는 사람의 머리 위에 동그라미를 그려 '하늘'을 뜻했었지만 소전에서는 단순히 획을 하나 그은 것으로 바뀌게 되었다. 그래서 天(천)은 (1)하늘 (2)범 인도(印度)에서 모든 신을 통들어 이르는 말. 천지 만물을 주재 하는 사람, 곧 조물주(造物主)나 상제(上帝) 등 (3)인간세계보다 훨씬 나은 과보(果報)를 받는 좋은 곳. 곧 욕계친(欲界責), 색계친(色界天), 무색계천(無色界天) 등 (4)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하늘 ②하느님 ③임금, 제왕(帝王), 천자(天子) ④자연(自然) ⑤천체(天體), 천체(天體)의 운행(運行) ⑥성질(性質), 타고난 천성(天性) ⑦운명(運命) ⑧의지(意志) ⑨아버지, 남편(男便) ⑩형벌(刑罰)의 이름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하늘 건(乾), 하늘 민(旻), 하늘 호(昊), 하늘 궁(穹),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흙 토(土), 땅 지(地), 땅 곤(坤), 흙덩이 양(壤)이다. 용례로는 타고난 수명을 천수(天壽), 하늘과 땅 또는 온 세상이나 대단히 많음을 천지(天地), 타고난 수명 또는 하늘의 명령을 천명(天命), 사람의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를 천연(天然), 하늘을 대신하여 천하를 다스리는 이 곧 황제나 하느님의 아들을 천자(天子), 우주에 존재하는 물체의 총칭을 천체(天體), 부자나 형제 사이의 마땅히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를 천륜(天倫), 타고난 성품을 천성(天性), 하늘 아래의 온 세상을 천하(天下), 천체에서 일어나는 온갖 현상을 천문(天文), 하늘과 땅을 천양(天壤), 선천적으로 타고난 뛰어난 재주를 천재(天才), 하늘에 나타난 조짐을 천기(天氣), 하늘이 정한 운수를 천운(天運), 자연 현상으로 일어나는 재난을 천재(天災),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오곡백과가 무르익는 가을이 썩 좋은 절기임을 일컫는 말을 천고마비(天高馬肥), 하늘과 땅 사이와 같이 엄청난 차이를 일컫는 말을 천양지차(天壤之差), 선녀의 옷에는 바느질한 자리가 없다는 뜻으로 성격이나 언동 등이 매우 자연스러워 조금도 꾸민 데가 없음을 일컫는 말을 천의무봉(天衣無縫), 세상에 뛰어난 미인을 일컫는 말을 천하일색(天下一色),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고통이라는 뜻으로 임금이나 아버지를 잃은 슬픔을 이르는 말을 천붕지통(天崩之痛), 온 세상이 태평함 또는 근심 걱정이 없거나 성질이 느긋하여 세상 근심을 모르고 편안함 또는 그런 사람을 일컫는 말을 천하태평(天下泰平), 하늘과 땅 사이라는 뜻으로 이 세상을 이르는 말을 천지지간(天地之間), 하늘 방향이 어디이고 땅의 축이 어디인지 모른다는 뜻으로 너무 바빠서 두서를 잡지 못하고 허둥대는 모습 또는 어리석은 사람이 갈 바를 몰라 두리번 거리는 모습을 일컫는 말을 천방지축(天方地軸), 하늘과 땅이 오래도록 변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물이 오래오래 계속됨을 이르는 말을 천장지구(天長地久), 하늘과 사람이 함께 분노한다는 뜻으로 누구나 분노할 만큼 증오스러움 또는 도저히 용납될 수 없음의 비유를 이르는 말을 천인공노(天人共怒), 하늘에서 정해 준 연분을 일컫는 말을 천생연분(天生緣分), 하늘이 날아가고 땅이 뒤집힌다는 뜻으로 천지에 큰 이변이 일어남을 이르는 말을 천번지복(天翻地覆), 하늘에서 궂은 비가 내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화평한 나라와 태평한 시대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천무음우(天無淫雨), 하늘이 정하고 땅이 받드는 길이라는 뜻으로 영원히 변하지 않을 떳떳한 이치를 일컫는 말을 천경지위(天經地緯), 천장을 모른다는 뜻으로 물건의 값 따위가 자꾸 오르기만 함을 이르는 말을 천정부지(天井不知), 하늘과 땅이 처음으로 열린다는 뜻으로 이 세상의 시작을 이르는 말을 천지개벽(天地開闢), 하늘은 그 끝이 없고 바다는 매우 넓다는 뜻으로 도량이 넓고 그 기상이 웅대함을 이르는 말을 천공해활(天空海闊), 하늘에 두 개의 해는 없다는 뜻으로 한 나라에 통치자는 오직 한 사람 뿐임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천무이일(天無二日), 멀리 떨어진 낯선 고장에서 혼자 쓸슬히 지낸다는 뜻으로 의지할 곳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천애고독(天涯孤獨), 천진함이 넘친다는 뜻으로 조금도 꾸밈없이 아주 순진하고 참됨을 일컫는 말을 천진난만(天眞爛漫) 등에 쓰인다.
▶️ 何(어찌 하/꾸짖을 하/멜 하)는 ❶형성문자로 荷(하)의 본자(本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사람인변(亻=人; 사람)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可(가)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짐을 메고 있는 사람의 모양으로, 나중에 모양이 변하여 사람인변(亻)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可(가, 하)를 합(合)한 글자로 되었다. 何(하)는 荷(하)의 본디 글자인데 可(가)의 음은 의문을 나타내는 말과 비슷하였으므로 의문의 뜻에 何(하)를 쓰게 되었다. 그러므로 메다, 지다의 뜻에는 연잎을 뜻하는 荷(하)를 빌어 쓰게 되었다. ❷상형문자로 何자는 '어찌'나 '어떠한'과 같은 뜻을 가진 글자이다. 何자는 人(사람 인)자와 可(옳을 가)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런데 何자의 갑골문을 보면 어깨에 보따리를 멘 사람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보따리를 메고 어딘가로 떠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何자의 본래 의미는 '메다'였다. 이렇게 짐을 싸 들고 길을 나서게 된 데는 피치 못할 사정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何자는 후에 '어찌'나 '어느'라는 뜻으로 가차(假借)되었기 때문이다.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지를 되묻던 의미가 확대된 것이다. 지금은 여기에 艹(풀 초)자가 더해진 荷(멜 하)자가 '메다'라는 뜻을 대신하고 있다. 그래서 何(하)는 성(姓)의 하나로 ①어찌 ②어느 ③어떤, 어떠한 ④언제 ⑤얼마, 약간 ⑥무엇 ⑦왜냐하면 ⑧잠시(暫時) ⑨꾸짖다(=呵) ⑩나무라다 ⑪메다(=荷) ⑫받다, 맡다 ⑬당하다, 해당하다 ⑭걸다, 내어 걸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어찌 나(奈), 어찌 내(奈), 어찌 나(那), 어찌 기(豈)이다. 용례로는 아무런 조금도를 하등(何等), 어느 날 또는 무슨 날을 하일(何日), 어찌하여 반드시를 하필(何必), 어느 겨를을 하가(何暇), 어느 때에를 하시(何時), 무슨 까닭을 하고(何故), 이름을 모름을 하물(何物), 어떠함을 하여(何如), 어느 사람이나 어느 것을 하자(何者), 꼭 정하지 아니했거나 모르는 곳을 하처(何處), 이름을 모르거나 작정하지 못한 일이나 물건 따위를 일컫는 말을 하사(何事), 어떠한 뜻이나 무슨 뜻을 하지(何志), 어느 때를 하간(何間), 무슨 관계를 하관(何關), 어느 해를 하년(何年), 어떤 사람을 하인(何人), 무슨 죄를 하죄(何罪), 어찌 특히를 하특(何特), 어느 곳을 하허(何許), 어떻게 하는가 하는 것 또는 어떠한가 하는 것을 여하(如何), 어떠함을 약하(若何), 어찌를 나하(那何), 어찌함이나 어떻게를 내하(奈何), 얼마를 기하(幾何), 어떤 사람이나 어느 누구를 수하(誰何), 어찌 보는 바가 늦느냐는 뜻으로 깨달음이 늦음을 이르는 말을 하견지만(何見之晩), 어찌 명년을 기다리랴의 뜻으로 기다리기가 매우 지루함을 이르는 말을 하대명년(何待明年), 어찌 꼭 이익만을 말하는가 라는 뜻으로 오직 인의에 입각해서 일을 하면 이익을 추구하지 않더라도 이익이 돌아온다는 말을 하필왈이(何必曰利), 어찌 일정한 스승이 있으리오 라는 뜻으로 성인에게는 일정한 스승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하상사지유(何常師之有), 무슨 면목으로 사람들을 대하랴 라는 뜻으로 실패하고 고향에 돌아가 사람들을 볼 낯이 없다는 말을 하면목견지(何面目見之), 의외로 많음을 이르는 말을 하기다야(何其多也), 어느 쪽은 후하게 하고 어느 쪽은 박하게 한다는 뜻으로 차별을 두어 대함을 이르는 말을 하후하박(何厚何薄), 아주 쉬운 것이나 썩 쉬운 것을 이르는 말을 하난지유(何難之有) 등에 쓰인다.
▶️ 言(말씀 언, 화기애애할 은)은 ❶회의문자로 辛(신)과 口(구)의 합자(合字)이다. 辛(신)은 쥘손이 있는 날붙이의 상형이고, 口(구)는 맹세의 문서의 뜻이다. 불신이 있을 때에는 죄를 받을 것을 전제로 한 맹세로, 삼가 말하다의 뜻을 나타낸다. ❷회의문자로 言자는 '말씀'이나 '말'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言자의 갑골문을 보면 口(입 구)자 위로 나팔과 같은 모양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을 두고 생황(笙簧)이라고 하는 악기의 일종을 그린 것이라는 설도 있고 나팔을 부는 모습이라는 얘기도 있다. 하지만 단순히 말소리가 퍼져나가는 모습을 표현한 것일 수도 있다. 言자는 이렇게 입에서 소리가 퍼져나가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부수로 쓰일 때는 '말하다'와 관계된 뜻을 전달하게 된다. 참고로 갑골문에서의 言자는 '소리'나 '말'이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그래서 금문에서는 이를 구분하기 위해 여기에 획을 하나 그은 音(소리 음)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言(언, 은)은 ①말씀, 말 ②견해(見解), 의견(意見) ③글 ④언론(言論) ⑤맹세(盟誓)의 말 ⑥호령(號令) ⑦하소연(딱한 사정 따위를 간곡히 호소함) ⑧건의(建議), 계책(計策) ⑨허물, 잘못 ⑩혐극(嫌隙: 서로 꺼리고 싫어하여 생긴 틈) ⑪이에 ⑫요컨대, 다시 말하면 ⑬여쭈다, 묻다 ⑭기재하다, 적어넣다 ⑮소송하다 ⑯이간하다(離間; 헐뜯어 서로 멀어지게 하다) ⑰알리다 ⑱예측하다 ⑲말하다 ⑳조문하다, 위문하다 그리고 ⓐ화기애애 하다(은) ⓑ화기애애 하면서 삼가는 모양(은) ⓒ위엄(威嚴)이 있는 모양(은)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말씀 화(話), 말씀 설(說), 말씀 어(語), 말씀 담(談), 말씀 사(辭), 말씀 변(辯),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글월 문(文), 호반 무(武), 다닐 행(行)이다. 용례로는 말로나 글로써 자기의 의사를 발표하는 일을 언론(言論), 어떤 일과 관련하여 말함을 언급(言及), 사람이 생각이나 느낌을 소리나 글자로 나타내는 수단을 언어(言語), 말과 행동을 언행(言行), 같은 말을 쓰는 사람들을 언중(言衆),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을 입으로 나타내는 소리를 언사(言辭), 말로 한 약속을 언약(言約), 말을 잘 하는 재주를 언변(言辯), 입담 좋게 말을 잘 하는 재주를 언설(言舌), 말로써 옥신각신 함을 언쟁(言爭), 상대자가 한 말을 뒤에 자기가 할 말의 증거로 삼음을 언질(言質), 말과 글을 언문(言文), 말 속에 뼈가 있다는 뜻으로 예사로운 표현 속에 만만치 않은 뜻이 들어 있음을 이르는 말을 언중유골(言中有骨), 여러 말을 서로 주고 받음 또는 서로 변론하느라 말이 옥신각신 함을 이르는 말을 언거언래(言去言來), 서로 변론 하느라고 말이 옥신각신 함을 이르는 말을 언삼어사(言三語四), 말하고 웃는 것이 태연하다는 뜻으로 놀라거나 근심이 있어도 평소의 태도를 잃지 않고 침착함을 이르는 말을 언소자약(言笑自若), 말인즉 옳다는 뜻으로 말 하는 것이 사리에 맞는다는 뜻을 이르는 말을 언즉시야(言則是也), 말과 행동이 같음 또는 말한 대로 행동함을 언행일치(言行一致), 말할 길이 끊어졌다는 뜻으로 너무나 엄청나거나 기가 막혀서 말로써 나타낼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을 언어도단(言語道斷), 말이 실제보다 지나치다는 뜻으로 말만 꺼내 놓고 실행이 부족함을 이르는 말을 언과기실(言過其實), 말이 천리를 난다는 뜻으로 말이 몹시 빠르고도 멀리 전하여 퍼짐을 일컫는 말을 언비천리(言飛千里), 말 속에 울림이 있다는 뜻으로 말에 나타난 내용 이상의 깊은 뜻이 있음을 이르는 말을 언중유향(言中有響), 들은 말이 아직도 귀에 쟁쟁하다는 뜻으로 들은 말을 귓속에 담아 두고 잊어버리지 않는다는 말을 언유재이(言猶在耳), 말 가운데 말이란 뜻으로 순한 듯 한 말속에 어떤 풍자나 암시가 들어 있다는 말을 언중유언(言中有言), 두 가지 값을 부르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에누리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을 언무이가(言無二價), 남의 인격이나 계책을 깊이 믿어서 그를 따라 하자는 대로 함을 이르는 말을 언청계용(言聽計用), 하는 말과 하는 짓이 서로 반대됨을 일컫는 말을 언행상반(言行相反), 말은 종종 화를 불러들이는 일이 있음을 이르는 말을 언유소화(言有召禍), 태도만 침착할 뿐 아니라 말도 안정케 하며 쓸데없는 말을 삼감을 일컫는 말을 언사안정(言辭安定) 등에 쓰인다.
▶️ 哉(어조사 재)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입 구(口; 입, 먹다, 말하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𢦏(재)로 이루어졌다. ❷회의문자로 哉자는 '어조사'나 '재난'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哉자는 口(입 구)자와 㦲(어조사 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㦲자는 창과 창술을 그린 것이지만 주로 '어조사'로 쓰이고 있다. 哉자는 이렇게 '어조사'로 쓰이는 㦲자에 口자를 더한 것으로 역시 '~하다'와 같은 어조사로 쓰이고 있다. 哉자는 우리말에서의 쓰임은 거의 없고 간혹 쓰이더라도 감탄사와 같은 '외침' 정도로만 쓰인다. 특히 요즘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 표현이기 때문에 굳이 상용한자로 지정될 필요가 있을까 싶을 정도이다. 그래서 哉(재)는 ①어조사(語助辭) ②비롯하다 ③처음 ④재난(災難) ⑤재앙(災殃)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한문투로 슬프도다의 말을 애재(哀哉), 마음먹은 대로 잘되어 만족스럽게 여김으로 통쾌하다고 하는 말을 쾌재(快哉), ~런가 또는 ~로다의 감탄을 표시하는 말을 호재(乎哉), ~이런가 또는 ~인가의 말을 의재(矣哉), 누구이겠느냐? 라는 말을 숙재(孰哉), 몹시 위태로운 일을 태재(殆哉), 좋다 좋구나의 말을 선재(善哉), 굉장함을 탄상하는 말을 장재(壯哉), 처음으로 달에 빛이 생김으로 음력 초사흘을 이르는 말을 재생명(哉生明), 달의 검은 부분이 처음 생긴다는 뜻으로 음력 열엿샛날을 이르는 말을 재생백(哉生魄), 그렇게 하오리까를 이르는 말을 가연재(可然哉), 슬플 때나 탄식할 때 아 또는 어허 등의 뜻으로 내는 소리를 애호격재(哀呼激哉), 아주 몹시 위태로움을 이르는 말을 태재태재(殆哉殆哉), 하늘은 아무 말도 하지 않지만 도는 반드시 행한다는 말을 천하언재(天何言哉), 좋을 때를 만난 기뻐 감탄하는 소리를 이르는 말을 시재시재(時哉時哉), 살림이 군색하고 가난함에 대한 한탄을 이르는 말을 상재지탄(傷哉之歎)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