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뉴스에서 의사협회 향해
"의대 정원 늘리기 반대,
비대면 진료 반대,
간호법 제정 반대,
의사면허 취소법도 반대"
비판
[미디어오늘 정철운 기자]
▲4월19일자 MBN 보도화면 갈무리.
의사들이 지난 25일 김주하 MBN 앵커를 명예훼손 및 모욕 혐의로 서울중부경찰서에 고소했다.
김주하 앵커는 지난 19일 메인뉴스 '김주하의 그런데' 코너에서 <의사는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제목의 브리핑을 통해 “지난해 9월 기준, 지방의료원 35곳의 결원율이 2018년 7.6%에서 14.5%로 배 이상 뛰었다. 의사협회는 의대 정원을 18년째 못 늘리게 막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의사협회는) 오진, 의료 사고를 유발한다며 비대면 진료도 극구 반대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잠시 허용했던 2만5600여 개 의료기관에서 3661만 건의 비대면 진료 결과 처방 과정에서 작은 실수 5건 나온 게 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OECD 38개 국가 중 비대면 진료를 제도적으로 도입하지 않은 나라는 우리나라뿐”이라고도 했다.
김주하 앵커는 “의사협회는 간호법 제정도 반대한다. 간호사에게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줘 혼란을 준다는 건데 실은 간호사가 의사의 지도 없이 단독으로 개원하게 될까 그런 것”이라고 했다. 또 “의사는 무슨 짓을 저질러도 국회의원처럼 면책특권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의사면허 취소법을 반대한다. 죄다 반대”라고 했다. 이어 “2020년 기준 의사의 평균 연봉은 2억3000만 원으로 대기업 직원보다 3배 더 많았다”며 “시대에 역행하든 말든 나라가, 환자가 어떻게 되든 말든 본인들 이익이 최우선이란 걸까”라고 했다.
대한의사협회 산하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는 고소장에서 “OECD 38개 국가들은 의사-환자 간 비대면 진료를 초진부터 무한정 허용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나라 의료법에서도 제한적으로 의사와 의사 간에 환자에 관해 상의하는 방식의 원격의료가 허용되어 있는데 우리나라 의사들만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비대면 진료를 도입하지 않는 것처럼 시청자를 오도해 의사의 명예를 훼손했다”고 했다. 또 “코로나19 기간 동안 비대면 진료 결과 발생한 문제점은 처방 과정에서 작은 실수 5건이 전부라는 취지의 말은 허위사실”이라고 했다.
또 “의사들이 간호법 제정을 반대하는 주요 이유는 간호법이 제정되면 환자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을 수 있다는 점 때문”이라고 반박했으며 의사면허 취소법 반대에 대해선 “마치 의사들이 무소불위 존재로 법 위에 군림하려고 하는 것처럼 저열한 표현을 사용해 의사에 대한 경멸적 감정을 공연히 드러냈다”고 했다. 의사 평균 연봉을 두고선 “의사의 근로 시간과 근로 강도 및 위험도, 직업의 특수성, 세금을 공제한 실제 수령액 등에 대한 고려 없이 숫자만을 자극적으로 강조했다”고 했다.
▲4월19일자 MBN 보도화면 갈무리.
임현택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 회장은 “MBN이 사과 요구에 응하지 않아 부득이 고소까지 진행했다”며 “향후 MBN 경영진에 김주하 진행자 파면을 요구할 것”이라 예고했다. 박대일 MBN 보도국장 대행은 “(김주하 앵커브리핑 이후) 이필수 의사협회 회장을 모셔서 7분 정도 인터뷰 시간을 할애했다. 저희는 균형을 잡으려고 했다”고 밝힌 뒤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로부터) 사과 요구를 직접 전달받은 것이 없다. 어제 갑자기 고소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전했다. 명예훼손·모욕 주장에 대해선 “동의하기 어렵다”고 했다.
[미디어오늘 바로가기][미디어오늘 페이스북]
미디어오늘을 지지·격려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
Copyrights ⓒ 미디어오늘.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첫댓글 돈벌이에 환장한 대한민국 의사 ㄴ들 집단 이기주의의 끝판왕이죠...
사람들 다 이기적인거 똑같고 원래부터 돈벌려고 의사한거 맞기 때문에 무조건 잘못됬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저기서 난리피우고 주장하는거요... 일종의 협상전략이죠.
의사들도 세상 돌아가는거 모르고 있겠습니까?
흐름 못막는다는거 다 알고있고 자기들도 바꿔야 하는것도 아는데 그렇다고 정부 하자는데로 무작정 할 수는 없다는거죠.
뭔가 다른 양보받을만한게 있으니까 저러는건데 정부도 협상전략 잘 짜서 의사도 좋고 환자도 좋고 정부도 좋은 안을 만들 수 있으면 좋겠네요.
@잘생긴김씨(전주) 의사들은 이미 다 가지고 있는데 협상이라뇨?무슨 협상일까요?
@보슬비(경북) 아마 대표적인게 의료수가 문제일껍니다.
공정하고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하기보다는 정부정책에 너무 영향이 커서 말이죠.
@잘생긴김씨(전주) 의료수가도 잠깐 검색해보니 양측의 주장이 엇갈리고 논란이 많은 부분이네요.
의료수가가 문제라고 해도 평균연봉 2억3천씩 받으면서 "18년간 의대 정원 늘리기 반대,
비대면 진료 반대,간호법 제정 반대,의사면허 취소법도 반대"…
하면서 의사조직의 주장할땐 환자 생명담보로 파업.ㅎ
어느 정도 문제지 이건 돈벌이에 환장한 집단이기주의의 극치라고 생각하네요.
이런 이기적인 집단이 한국에 있을까요?
현대 자동차 노조정도가 있겠네요..현기차 노조도 환자 생명을 놓고 장난하지는 않죠.
@보슬비(경북) 의사들의 제 밥그릇 지키기라고 보여집니다. 검사/변호사 기득권 의사기득권......
@보슬비(경북) 이보다도 더 이기적인 집단이 한국에 버글버글 합니다.
그저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았다 뿐이죠.
@잘생긴김씨(전주) 의사집단도 수면아래에서 했으면 좋겠네요.
꼴도 보기 싫으니...
@보슬비(경북) 저기는 그나마라도 얌전한 편에 속합니다.
더 악질적인 놈들이 많아요.
특히 장애인 단체는...
겪어본 사람들 혀를 내두릅니다...
전장연 시위는 얌전한 편에 들어갑니다.
@잘생긴김씨(전주) 의사단체가 장애인 단체나 현기차 노조정도 수준이라는거죠.
@보슬비(경북) 하는짓도 도찐개찐이고
꼴보기 싫은것도 도찐개찐이죠.
동물병원 의료비 문제가 심각합니다. 근거 불분명하게 자기 멋대로 비용을 내라고 합니다.
이미 각병원마다 의사부족으로 환자는 물론 의사들까지도 엄청 고된 장시간 노동을 해야하고 이떼문에 응급실,산부인과같은 힘든곳은 의사들이 더 빠져나간다는데 참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그렇게 자기들 기득권 지키기만 노골적으로하다니 결국 국민은 물론 자기들 가족들까지도 다 피해를 입을텐데 왜 생각이 그렇게 짧고 코앞 이익만 지키려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