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3일 오전 서울지역 학부모와 시민들이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농약 급식' 정책을 규탄했다. 안옥수 | | 지난 11일 서울과 경기에서 학교급식 식중독 의심을 받은 중고교 3곳은 모두 서울시와 경기도가 운영하는 친환경유통센터가 아닌 일반 사기업체와 계약을 맺은 학교들인 것으로 처음 밝혀졌다. 또한 식중독 논란을 빚은 서울 영등포구의 A중과 경기 일산의 B고는 이날 같은 업체에서 김치를 제공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식중독 터진 서울 A중과 경기 B고, 같은 업체 ‘김치’ 14일 서울과 경기교육청에 따르면 서울 A중 말고도 경기 B고와 평택 C고 학생들이 모두 지난 11일에 제공한 학교 급식을 먹고 식중독 의심 증세를 나타냈다. 식중독 의심 환자는 A중 175명, B고 143명, C고 61명이었다. 게다가 이 세 학교는 모두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친환경유통센터가 아닌 일반 사기업체와 식재료 계약을 맺고 있었다. A중은 서울시교육청의 권고에 따라 지난 2월부터 친환경유통센터에서 일반 사기업체로 말을 갈아탔다. 두 교육청 관계자들은 “B고의 김치 공급 업체는 A중과 같다”고 말했다. 또한 “C고의 족발 공급업체는 A중과 달랐지만, 생산업체가 같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관련 교육청은 밝혔다. 현재 학생의 배변물을 대상으로 한 간이검사에서 식중독 원인균 가운데 하나인 황색포도알균이 발견된 곳은 B고 하나뿐이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A중은 보건당국의 결과가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보건당국은 식중독의 원인이 된 음식선상에 족발과 함께 김치도 올려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역학조사 최종 보고서가 나오는 데는 한 달 정도 소요된다. 학생 검체 결과와 환경 검체 결과는 각각 1주일과 2주일 뒤에 나온다. 사정이 이런데도 서울시교육청이 A중의 학교급식 사고가 처음 알려진 12일 당일에 족발에 책임을 미룬 것은 부적절했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와 일부 신문들은 서울시교육청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가공품인 족발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만큼 친환경유통센터에서 다른 곳으로 식자재 공급처를 바꾼 것이 원인은 아닌 것으로 본다”고 보도한 바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자신들의 권고로 친환경유통센터와 식자재 공급계약을 중단한 것이 이번 식중독 사태의 원인으로 비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런 발언을 한 것으로 보인다. 족발에 책임 미뤘던 서울시교육청, 뒤늦게 “김치도…” 친환경유통센터는 2010년 학교급식에 대한 식중독 사고가 자주 터지자,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안전한 먹을거리 공급’을 내 걸고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산하기구로 세운 공적 기구다. 하지만 지난 해 서울시교육청은 친환경 급식재료 비율을 학교별로 당초 60∼70%에서 50%로 낮추도록 한 뒤, 사실상 친환경유통센터와 맺은 계약을 끊을 것을 학교에 종용해왔다. 14일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기존의 태도를 바꿔 “지금으로선 식중독의 원인이 된 음식이 무엇인지 지목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라면서도 “족발에 이어 김치도 식중독 원인이 되었을 개연성이 있다”고 밝혔다. |
첫댓글 이 기사 링크 말고 복사해서 다른 카페 갖다붙여도 저작권 문제 없나요?
기사내용 복사하고, 교육희망 뉴스페이지 링크하면 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