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무십일홍ㅣ花無十日紅
○ 열흘 동안 붉은 꽃은 없다.
○ 花(꽃 화) 無(없을 무) 十(열 십) 日(날 일) 紅(붉을 홍)
열흘 붉은 꽃이 없다는 뜻으로,
①'한 번 성한 것이 얼마 못 가서 반드시 쇠하여짐'을 이르는 말
②권세(權勢)나 세력(勢力)의 성(盛)함이 오래 가지 않는다는 말
우리 속담 ‘열흘 붉은 꽃은 없다’와 같이 ‘봄꽃도 한 때’란 말도 일상에 흔히 쓰이는
데 부귀영화란 일시적인 것이어서 그 한 때가 지나면 그만이라는 것을 깨우친다.
어떤 것도 영원하지 않고 한 번 성한 것이 얼마 못 가서
반드시 쇠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이 말의 쓰임이 워낙 여러 곳에 통용될 수 있어서인지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어디서 먼저 사용되었는지는 뚜렷하지 않다.
처음은 아니라도 굳이 사용된곳을 찾는다면 南宋(남송)때의 학자이자 애국시인으
로 南宋四大家(남송사대가)에 포함되는楊萬里(양만리,1127~1206)의 시가 있다.
‘그저 꽃이 피어야 열흘을 못 넘긴다고 하지만,
이 꽃만은 날도 없고 봄바람도 필요없다네
(只道花無十日紅 此花無日無春風/ 지도화무십일홍 차화무일무춘풍)’라며
月季花(월계화)를 읊었다. 월계화는 야생장미의 일종으로 사시사철 핀다고 한다.
이런 무리한 예 말고 더 친숙하게 사용되는 대구가 있다.
‘사람의 좋은 일과 붉은 꽃의 아름다움은 열흘을 넘지 못한다
(人無十日好 花無十日紅/ 인무십일호 화무십일홍)’는
말과 함께 ‘달도 차면 기우는 법, 권력이 좋다한들 10년을 채우지 못한다
(月滿則虧 權不十年/ 월만즉휴 권불십년)’라고 멋지게 이어진다.
虧는 이지러질 휴.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초기의 대중가요
‘노랫가락 차차차’가 저절로 떠오를 것이다.
‘노세 노세 젊어서 놀아/ 늙어지면은 못 노나니/ 화무는 십일홍이요/
달도 차면 기우나니라’ 하며 흥을 돋운 가수 황정자의 노래였다.
잘 가노라 닫지 말라고 했지만 자기만은 예외라고 거들먹거리는 사람이
많아서인지 유사한 성어는 부지기수다. 몇 가지만 들면 樂極生悲(낙극생비),
物極則衰(물극즉쇠), 物壯則老(물장즉로), 盛者必衰(성자필쇠)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