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위(N) The Lion King (디즈니) 라이온 킹 2019.07.17 국내개봉 주말수익 - $185,000,000 (-) 누적수익 - $185,000,000 해외수익 - $346,000,000 상영관수 - 4,725개 (-) 상영기간 - 1주차 제작비 - $260,000,000 -역시 [라이온 킹]은 달랐네요. [알라딘]이 한껏 달군 디즈니-실사 시리즈의 흥행 기운까지 더해지니 그 힘이 더 막강해졌습니다. 오리지널 시리즈 개봉 25주년이 지나 실사로 다시 개봉한 [라이온 킹]이 이번 주 박스오피스에서 압도적인 수익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습니다. 개봉전 시사회를 통해 나온 평가가 좋지 않았음에도 티켓 판매에는 전혀 이상이 없었는데요. 오히려 그 비평들을 확인하고 싶은 마음이 더 앞섰을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사전 예매 첫째 날 판매량은 [어벤져스: 엔드게임]에 이어 2019년 두 번째로 많이 팔리 작품이 되었고, Atom-Tickets에서는 가족 영화중 최고 판매를 기록한 작품이 되었습니다(2019년 기준). 개봉전 목요일 수익은 2,3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인크레더블 2 - $18.5m], [토이 스토리 4 - $12m], [알라딘 - $7m]를 기록했고, MCU와 스타워즈 시리즈외 최고 수익을 기록한 작품이 되었습니다. 개봉 당일 수익은 약 7,852만 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10위 에올랐고, 한 마디로 역대급 흥행작으로 이름을 올릴 준비를 마친 상태입니다. [정글북]에 이어 [라이온 킹]으로 다시 한 번 애니메이션 실사화에 도전한 존 파브로 감독으로서느 본인 필모그래피 중 최고 개봉수익을 기록한 작품이 되었고, 이제 흥행작으로는 [아이언맨]과 [아이언맨 2] 시리즈는 사라지고, [정글북]과 [라이온 킹]이 남게 되었습니다. [라이온 킹]은 주말 3일 동안 약 1억 8,500만 달러의 수익을 기록하며 2019년 [어벤져스: 엔드게임 - $357m]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개봉수익을 기록한 작품이 되었으며,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실사 프로젝트 중에서는 [미녀와 야수, 2017 - $174m]를 제치면서 가장 높은 수익을 기록한 작품이 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7월 개봉작 중에서도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파트 2, 2011 - $169m]를 제치고 역대 1위로 올라섰습니다. 물론 4,725개라는 역대 최다 상영관을 확보한 덕도 있고, 엄청난 마케팅 물량공세도 힘을 보탰을테지만, 대단한 기록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놀라운 시각 효과로 관객들의 눈길을 사로잡기는 했지만, 너무 사실적인 묘사로 인해 애니메이션의 감성이 다소 줄어든 것에는 아쉽다는 평도 많고, 실제로 로튼토마토 지수도 높지 않은지라 흥행에서 걱정은 했었는데, 그것을 다뚫고 흥행의 정점을 찍었네요. 이 정도면 디즈니를 막을 요소는 그 어떤 것도 없어보입니다. 일단 디즈니는 올 하반기에 개봉하는 [말레피센트 2]에 이어 2020년 [뮬란]으로 다시 한 번 박스오피스 정복을 노릴 예정인데요, 이런 흐름이라면 뭘 어떻게 만들어도 박스오피스 퍼포먼스는 걱정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수익증감률을 지켜봐야 하겠지만, 지금 [라이온 킹]의 기세라면 2019년 연말, 흥행 빅3 중 한 편은 바로 [라이온 킹]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4억 ~ 5억 달러까지도 충분히 달려갈 만한 개봉 첫주였습니다. |
2위(▼1) Spider-Man: Far From Home (소니)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2019.07.02 국내개봉 주말수익 - $21,000,000 (수익증감률 -54%) 누적수익 - $319,659,412 해외수익 - $651,100,000 상영관수 - 4,415개 (-219) 상영기간 - 3주차 제작비 - $160,000,000 -2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면서 '스파이더맨' 시리즈 중 역대 최고의 흥행 기록을 향해 달려가는 '스파이더맨'이었던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이 사자왕의 엄청난 기백에 눌리면서 이번 주 2위를 차지했습니다. 수익감소율도 꽤 높은 편이었고요. 아직까지는 역대 최고 흥행 수익의 '스파이더맨' 시리즈인 샘 레이미 감독의 [스파이더 맨, 2002]의 동기간 누적수익보다 높기는 한데, 주말 수익에서 반토막이 나기 시작하면서 앞으로의 일정이 중요하게 된 것 같습니다.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은 이미 해외수익만 놓고 보면 역대 최고 시리즈라는 것을 증명했지만, 북미에서는 그 어떤 '스파이더 맨'도 2002년 개봉했던 샘 레이미 감독의 [스파이더맨]을 깨지 못한 상태였기에 기대를 걸었는데, 이런 흐름이라면 쉽지 않아 보이네요. 디즈니 소속은 아니지만 어쨌든 소니와 디즈니에 양발을 걸치고 있는 '스파이더맨' 시리즈는 MCU의 페이즈 3를 마무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는데요, 현재까지 나온 MCU 페이즈 4로 추정되는 프로젝트는 '스파이더맨 3'의 이야기는 없는 상태입니다. 개봉일정이 확정이 안 된 것인데요. 케빈 파이기가 말한 것처럼 이전과는 전혀 다른 피터 파커의 이야기가 펼쳐질 것으로 보이니, 이 카드를 언제 넣을 지 기다리는 것도 흥미로워 보이네요. |
3위(▼1) Toy Story 4 (디즈니) 토이 스토리 4 2019.06.20 국내개봉 주말수익 - $14,600,000 (수익증감률 -30%) 누적수익 - $375,533,349 해외수익 - $489,300,000 상영관수 - 3,750개 (-460) 상영기간 - 5주차 제작비 - $200,000,000 -지금까지는 2019년 애니메이션 최고 흥행수익을 기록 중인 [토이 스토리 4]가 이번 주 3위를 차지했습니다. 올 겨울에 개봉하는 [겨울왕국 2]가 2019년 애니메이션 최고 흥행작 타이틀을 갈아치울 것으로 예상은 되지만, 어차피 디즈니가 디즈니를 제치는 일인거죠. 2019년 7월 21일 기준으로 2019년 흥행 톱 5는 [어벤져스: 엔드게임], [캡틴 마블], [토이 스토리 4], [알라딘],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입니다. 이 중 3억 달러를 넘은 작품도 이 5편이고요.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이 배급이 소니라고는 하지만, 거의 디즈니와 합작으로 만드는 것으로 본다면, 2019년 톱 5이자, 북미수익 3억 달러를 넘은 5작품은 모두 디즈니라는 셈이죠. 여기에 이번 주 박스오피스를 점령한 [라이온 킹]도 이 리스트에 합류할 것으로 보이고,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도 밀어낼 것으로 예상이 되니, 말 그대로 디즈니 천하인 셈입니다. 할리우드의 기류가 Female, Millenial, PC 등으로 돌아가고 있는 이 시점에 가장 앞선(그만큼 조류를 잘 알기도 하고) 스튜디오가 디즈니기는 한데요. 박스오피스 성적을 놓고 본다면 디즈니가 무슨 짓을 한다고 해도 막을 수가 없을 정도로 그 힘이 어마어마한 것처럼 보입니다. 참고로 톱 5 다음으로 높은 수익을 올린 작품은 유니버셜 픽쳐스 배급의 [어스]였고, [어스]가 거둬들인 수익은 약 1억 7,500만 달러입니다. 과연 디즈니 피로도가 관객들에게 오는 날은 언제일까요. |
4위(▼1) Crawl (파라마운트) 주말수익 - $6,000,000 (수익증감률 -50%) 누적수익 - $23,834,810 해외수익 - $9,900,000 상영관수 - 3,179개 (-) 상영기간 - 2주차 제작비 - $13,500,000 -샘 레이미가 제작하고, [피라냐, 2010]의 알렉산드르 아야 감독이 연출한 재난공포 영화 [크롤]이 이번 주 4위를 차지했습니다. 지난주 예상보다 높은 수익으로 확실하게 타깃 관객층만을 선택한 것이 톡톡한 효과를 보긴 했는데요. 물론 영화에 대한 관객들과 전문가의 호평이 이어지면서 그 힘은 좀 더 발휘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 [피라냐 3D]로 이미 이런 영화에서 관객들이 좋아할 만한 것이 무엇인지 확실히 파악하고 있는 알렉산드르 아야 감독 답게 그보다 더 진보한 재미를 갖춘 작품이 바로 [크롤]이라고 하는데요. 개봉 이후 속편 제작에 관한 인터뷰들이 꽤 쏟아지는 가운데, 정확한 답을 주지는 않았지만, 어떤 형태로든 [크롤 2]를 만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5위(=) Yesterday (유니버셜) 주말수익 - $5,100,000 (수익증감률 -24%) 누적수익 - $57,596,465 해외수익 - $40,600,000 상영관수 - 2,662개 (-93) 상영기간 - 4주차 제작비 - $26,000,000 -[예스터데이]가 이번 주 5위를 차지했습니다 지난 주에 이어 이번 주까지 2주 연속 5위를 차지했고, 톱10에 머무는 4주 동안 3-3-5-5 라는 중위권에서 머물면서 수익을 쌓아가는 중이네요. 엘튼 존의 이야기를 그렸던 [로켓맨]과 유사한 흐름이기도 하고요. 역시 음악 영화의 힘인가 봅니다. 개봉 4주차를 맞이한 [예스터데이]는 주넉수익 5,729만 달러를 기록하며, 대니 보일 감독에게는 두 번째로 높은 수익을 올린 작품이 되었으며, 2010년 대 이후 나온 대니 보일 감독 작품 중에서는 북미수익 5천만 달러를 넘은 유일한 작품이기도 합니다. |
|
7위(▼1) Aladdin (디즈니) 알라딘 2019.05.23 국내개봉 주말수익 - $3,800,000 (수익증감률 -38%) 누적수익 - $340,040,714 해외수익 - $648,800,000 상영관수 - 2,105개 (-452) 상영기간 - 9주차 제작비 - $183,000,000 -[라이온 킹]이 개봉하면서, 이제 슬슬 정리하는 [알라딘]입니다. 완벽한 교대식이기도 했고요. 9주 연속 톱10에 머물면서 약 3억 4,0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린 [알라딘]은 디즈니가 진행하는 애니메이션의 실사 프로젝트가 틀리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했고, 디즈니는 여전히 먹거리가 많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한 작품인데요. 북미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높은 인기를 누리며, 월트 디즈니가 아닌 월드 디즈니라는 것을 다시 한 번 실감하게 만들었습니다. [알라딘]의 해외수익은 No 일본(8,800만 달러)과 한국(7,300만 달러)에서 이끌어갔으며, 중국(5,300만 달러)에서는 부진한 모습을 더 높은 수익을 올리지는 못했는데요, 중국에서는 [라이온 킹]이 대박이 나면서 디즈니의 아쉬움을 달래주긴 했네요. [라이온 킹]의 경우 중국에서 개봉 첫주에 5,4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알라딘]이 중국에서 기록한 총수익보다도 높았습니다. |
8위(▼1) Annabelle Comes Home (워너) 애나벨 집으로 2019.06.26 국내개봉 주말수익 - $2,660,000 (수익증감률 -53%) 누적수익 - $66,582,201 해외수익 - $129,600,000 상영관수 - 1,981개 (-1,228) 상영기간 - 4주차 제작비 - $27,000,000 -이번 주 와이드릴리스로 개봉한 작품은 [라이온 킹]이 유일하다보니까, 하위권에 있는 작품들은 대부분 순위가 전주보다 한 계단씩 내려앉았습니다. 그래서 흥행이 잘 안 되고 있어도 큰 티가 나지는 않은 상태고요. [애나벨 집으로]도 이런 범주에 속한 작품이기도 한데요. 이번 주 8위를 차지한 [애나벨 집으로]는 북미수익 6,600만 달러를 기록하며 가까스로 이름값 정도는 한 것으로 보입니다. 시리즈 중에서는 최저 수익을 기록했고, 뜬금없이 '컨저링' 유니버스로 편입한 [요로나의 저주]를 제외하고는 '컨저링 유니버스' 작품 중에서는 북미와 해외에서 가장 낮은 수익을 기록한 작품이 되었습니다. 이번 주에는 상영관 역시 1,228개나 빠지며서 확실하게 정리하는 듯한 분위기기도 하네요. |
9위(▼1) Midsommar (A24) 미드소마 2019.07.11 국내개봉 주말수익 - $1,599,155 (수익증감률 -56%) 누적수익 - $22,482,183 해외수익 - $- 상영관수 - 1,105개 (-1,602) 상영기간 - 3주차 제작비 - $10,000,000 -[미드소마]는 항복을 선언했습니다. 개봉 3주차를 맞이한 아리 에스터 감독의 신작 [미드소마]는 기대했던 것에 비해서는 큰 화제를 모으지 못하고(물론, 작품에 대한 평가는 좋았지만요), 이대로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주 톱10 작품 중에서는 상영관이 가장 많이 빠졌고, 다음 주부터는 톱10에서 보지 못할 확률도 가장 높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여전히 많은 영화 팬들과 관계자들은 아리 에스터 감독의 신작을 기다리겠지만요. 전작인 [유전, 2018]이 북미에서만 4,400만 달러가 넘는 수익을 기록하면서 배급사인 A24의 효자 상품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그 이상의 흐름이 나오지 않은 것 같아서도 아쉽기는 합니다. 올해 A24가 배급할 예정의 작품으로는 [굿타임, 2017]을 연출했던 사프디 형제의 신작 [언컷 젬스]로 마틴 스코세지 감독이 제작자로, 아담 샌들러가 주연을 맡은 범죄 코미디 드라마입니다. 북미를 제외한 해외에서는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가 될 예정인데, A24에게는 부담이 덜 되는 배급 방식이라고 보이네요. |
|
첫댓글 이번 스파이더맨은 재미없더라구요 웹스윙은 뉴욕이 제맛인데ㅠㅠ 그건그렇고 알라딘제작비가183?!
선댓글 후본문!
아....더운 월요일이네요
언제나 좋은글 감사합니다 서든님
카야 너무 이쁨
알라딘 천만 기어이 넘네요
북미에서도 수익증감률이 저정도라면 앞으로 4주 정도는 계속 탑텐에 남아있을듯..
디즈니는 올해 잘하면 월드와이드 10억불 영화를 일곱작품이나 찍을 수도 있을듯...캡마,엔드게임은 이미 찍었고 알라딘이랑 토이스토리4 라이온킹도 찍을 수 있을거 같고 하반기에 겨울왕국2랑 스타워즈도 가능성이 높아 보이니... ㄷㄷㄷ
감사합니다. 예스터데이 보고 싶어요
지금 보니 김래원 영화는 벌써 끝났나봐요
일찌감치 vod 전환..
훨씬 더 먼저 개봉한 알리타와 비슷하게 출시 됐네요
디즈니 빅3
디즈니 천하통일...
알라딘 라이온킹.. 모두 예전에 감동만 못하더라구요 ㅠㅠ 지루하기 짝이없었는데..알라딘이 이렇게 성공하다니...주변에서 잼있다고 하는분도 많더라구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