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감 시황]
- 코스피시장 -
10/16 KOSPI 2,341.53(-0.83%) 글로벌 코로나19 재확산(-), 美/中 갈등 지속(-), 美 추가 경기 부양책 불확실성 지속(-),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코로나19 재확산, 경제지표 부진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코로나19 재확산 속 경제 재봉쇄 여파 등에 급락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363.88(+2.67P, +0.11%)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상승폭을 다소 키워 2,370.73(+9.52P, +0.4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하기도 했지만, 이내 하락 전환하는 모습. 시간이 지날수록 낙폭을 확대했고, 오후 장중 2,325.03(-36.18P, -1.53%)까지 밀려나며 저점을형성. 이후 일부 낙폭을 축소한 지수는 2,341.53(-19.68P, -0.83%)으로 장을 마감하며 나흘째 하락세를 이어감.
이날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가 50명 미만으로 감소했지만,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코로나19 재확산이 지속되면서 경제 봉쇄 우려가 커진 점이 증시에 악재로 작용. 밤사이 발표된 美 실업 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美 추가 경기 부양책 불확실성 지속, 美/中 갈등 지속,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 차질 우려 등도 부담으로 작용. 최근 존슨앤존슨, 일라이릴리가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임상을 중단한데 이어 길리어드사이언스의 항바이러스제 '렘데시비르'가 코로나19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가 거의 없다는 WHO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는 소식이 전해짐.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3거래일 연속, 기관은 4거래일 연속 순매도.
한편,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47명으로 집계됐음. 국내 발생이 41명, 해외 유입이 6명으로 다시 두 자리 수로 감소했으며, 지난 9월29일 이후 17일만에 50명 미만을 기록.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중국, 홍콩이 상승한 반면, 일본, 대만은 하락하는 등 등락이 엇갈림.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729억, 2,019억 순매도, 개인은 4,896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79계약, 4,012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4,055계약 순매수.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4.2원 상승한 1,147.4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1bp 상승한 0.888%,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1.5bp 상승한 1.493%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6틱 하락한 111.93으로 마감. 금융투자가 3,604계약 순매도, 자산운용과 외국인은 2,100계약, 1,855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27틱 하락한 132.38로 마감. 외국인이 1,527계약 순매도, 은행은 1,435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기아차(-3.58%), 삼성바이오로직스(-2.41%), 현대모비스(-2.35%), 현대차(-2.27%), 삼성SDI(-2.10%), SK하이닉스(-2.07%), LG전자(-1.64%), POSCO(-1.46%), 카카오(-1.24%), 삼성전자(-0.83%), 삼성물산(-0.49%) 등이 하락. 반면, 엔씨소프트(+2.27%), 한국전력(+2.11%), KB금융(+0.90%), 셀트리온(+0.59%), LG화학(+0.47%), NAVER(+0.34%), LG생활건강(+0.13%) 등이 상승. SK텔레콤은 보합 마감. 한편, 전일 신규 상장 첫날 하락 마감했던 빅히트는 이날에도 급락세를 보이며 장중 20만원 선이 붕괴되기도 하는 등 22.29% 급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 운수장비(-2.12%), 종이목재(-1.71%), 의약품(-1.39%), 전기전자(-1.15%), 제조업(-1.11%) 등이 큰 폭으로 하락했고, 음식료업(-0.95%), 서비스업(-0.82%), 철강금속(-0.67%), 증권(-0.66%), 비금속광물(-0.61%), 화학(-0.53%), 기계(-0.51%) 업종등이 하락. 반면, 전기가스업(+2.81%), 건설업(+0.73%), 운수창고(+0.16%) 업종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341.53(-19.68P/-0.83%)
- 코스닥시장 -
10/16 KOSDAQ 833.84(-1.26%) 글로벌 코로나19 재확산(-), 美/中 갈등 지속(-), 美 추가 경기 부양책 불확실성 지속(-),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코로나19 재확산, 경제지표 부진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45.63(+1.19P, +0.14%)으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849.20(+4.76P, +0.56%)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하락 전환하며 점차 낙폭을 확대. 오후 장중 822.58(-21.86P, -2.59%)에서 저점을 형성한 뒤 일부 낙폭을 만회한 끝에 결국 833.84(-10.60P, -1.26%)로 장을 마감. 나흘째 하락.
글로벌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 차질 우려, 美 실업지표 부진, 美/中 갈등 부각 등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한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5거래일 연속, 기관은 6거래일 연속 순매도.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92억, 1,453억 순매도, 개인은 1,716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제넥신(-4.48%), 솔브레인(-4.19%), 케이엠더블유(-2.71%), 리노공업(-2.63%), 펄어비스(-1.48%), 씨젠(-1.22%), NHN한국사이버결제(-1.15%), SK머티리얼즈(-1.09%), 카카오게임즈(-0.97%), 셀트리온제약(-0.37%), 셀트리온헬스케어(-0.11%) 등이 하락. 반면, 휴젤(+5.64%), 메드팩토(+3.07%), 에이치엘비(+2.66%), 에코프로비엠(+1.54%), 스튜디오드래곤(+0.36%), CJ ENM(+0.15%) 등이 상승. 알테오젠은 보합.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 출판/매체복제(-3.02%), 정보기기(-2.82%), 운송(-2.61%), 기계/장비(-2.50%), 금속(-2.44%), 통신장비(-2.43%), 화학(-2.38%), 종이/목재(-2.12%) 업종의 약세가 두드러졌으며, 디지털컨텐츠(-1.71%), IT H/W(-1.63%), 반도체(-1.58%), 의료/정밀기기(-1.57%), 인터넷(-1.53%), 기타서비스(-1.41%), 제조(-1.33%) 업종 등이 하락. 반면, 방송서비스(+1.55%), 통신방송서비스(+1.07%), 섬유/의류(+0.32%), 건설(+0.20%) 등 일부 업종만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833.84P(-10.60P/-1.26%)
[특징 테마]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
▷금일 국내 증시가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등에 나흘째 하락 가운데, 테마별로도 대부분의 테마가 하락. WHO가 렘데시비르에 대해 코로나19 환자 치료 효과가 거의 없다고 발표하면서 코로나19(렘데시비르) 테마가 하락. 그린 뉴딜 등 정부 정책 기대감 등으로 상승했던 풍력에너지, 태양광에너지 테마도 하락했고,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테마도 하락. 금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7명(지역 41명, 해외유입 6명)을 기록했다는 소식 속에 재택근무/스마트워크,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코로나19 테마도하락 마감. 골판지 수급 차질 우려 등으로 전일 상승했던 골판지 제조 테마도 금일 하락. 이 외에 마리화나(대마), 공작기계, 건설기계, 캐릭터상품, 북한 광물자원개발, 밥솥, 스마트팩토리,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항공기부품, LED, 제약업체, 음원/음반, MLCC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반면, 日 원전 오염수 방류 방침 속 CJ씨푸드, 동원산업 등 일부 수산 테마가 상승. 매각 진행 본격화 소식 등에 대한전선(+6.42%) 상승 속 일부 전선 테마도 상승. LS전선으로 피인수설 등으로 KT서브마린(+12.85%) 급등 속 일부 해저터널 테마도 상승. 이 외 도시가스, 백화점, 건설 대표주, 은행 등 일부 테마만이 상승 마감. ▷한편, 금일 오전 이재명 경기도지사 파기환송심 선고를 앞두고 오전중 에이텍, 에이텍티앤 등 정치/인맥(이재명) 테마가 상승하기도 했으나 파기환송심 무죄 선고 이후 하락세로 거래를 마감. | |
수산 | 日 원전 오염수 방류 방침 속 일부 관련주 상승 |
▷전일 일본 마이니치신문은 일본 정부가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에 대해 방사성 물질의 농도를 낮춘뒤 바다에 방류해 처분한다는 방침을 굳혔다고 보도했음. 일본 정부는 이달 중 후쿠시마 제1원전의 폐로와 오염수 대책을 논의하는 각료 회의를 열어 이 같은 사안을 결정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참치캔 등의 수산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 기대감 등으로 CJ씨푸드, 동원산업 등 일부 수산 테마가 상승. | |
코로나19(렘데시비르) | WHO, 렘데시비르 코로나19 환자 치료 효과 거의 없음 발표에 급락 |
▷현지시간으로 15일 로이터통신은 미국 제약회사 길리어드사이언스의 항바이러스제 '렘데시비르'가 코로나19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가 거의 없다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보도했음. WHO가 입원 환자 1만1,266명을 상대로 진행하고 있는 '연대 실험'에서 렘데시비르가 환자의 입원 기간을 줄이거나 사망률을 낮추지 못했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맥스로텍, 파미셀, 비씨월드제약 등 코로나19(렘데시비르) 테마가 하락. |
[특징 종목]
= 코스피 =
특징 종목 | 이 슈 요 약 |
한국가스공사 (036460) 29,400원 (+8.89%) | 수소발전의무화제도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
▷유진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전일 정부가 제2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수소발전을 재생에너지처럼 의무화하는 수소발전의무화제도(HPS)를 발표한 가운데, 국내는 천연가스 개질을 통해 수소를 확보하는 방법이 보편적이라 가스 수요확대에 긍정적 영향이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저렴한 가스를 개질해 수소를 얻게 되면 연료전지의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고 시장이 성장하면 동사는 신규 설비 투자(개질기, 가스용 배관을 수소 수송용 배관으로 전환하는 투자)를 통해 요금기저 증가, 국내 도매사업 이익 증가의 수혜를 얻게 되어 긍정적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3,000원[유지] | |
쌍용차 (003620) 4,500원 (+7.53%) | 中 BYD와 배터리·전기차 MOU 체결 소식에 강세 |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와 중국 1위 전기차 회사 BYD가 전기차/배터리 분야에 협력하고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양사는 전기차 U100을 공동 개발/생산해 2022년 선보일 예정이며, BYD는 U100에 탑재되는 배터리팩과 제어 장치, 전동 모터, 충/배전 장치 등을 공급하고, 동사는 경기 평택 공장에서 이를 생산할 것으로 전해짐. | |
화성산업/서한 | 14조원 규모 서대구 역세권 사업 단독 컨소시엄 입찰 소식에 강세 |
▷전일 언론에 따르면, 대구시가 '서대구 역세권 개발 사업'을 위해 민간 기업 제안서를 접수한 결과, 화성산업, 서한, GS건설, 태왕 등 8개사로 구성된 1개 컨소시엄이 단독으로 제안서를 제출했다고 전해짐. 이에 따라, 대구시는 11월 심의위원회를 개최해 평가를 실시한 후 올해 1차 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며, 사업자로 선정되면 2025년 역세권 개발에 착수해 2027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할 것으로 전해짐. ▷한편, 서대구 역세권 개발은 2030년까지 서구 이현동 서대구역 인근 98만㎡에 민간 자본과 국비·시비 등 14조5,000원(민자 31%, 국·시비 69%)을 투입해 공동주택을 비롯해 쇼핑·문화·레저 시설 등을 건립하는 사업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화성산업, 서한이 시장에서 부각. [종목] : 화성산업, 서한 | |
대한전선 (001440) 878원 (+6.42%) | 매각 진행 본격화 소식 등에 강세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최대주주인 IMM 프라이빗에쿼티(PE)가 최근 자문단 선정을 마무리하고 매도자 실사를 시작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매각 대상은 IMM 프라이빗에쿼티(PE)가 특수목적법인 니케를 통해 보유하고 있는 동사 지분 54.94%를 포함해 총 75%로 시장에선 경영권 프리미엄 등을 감안해 매각 가격을 6,000억원대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
메타랩스 (090370) 1,220원 (+4.27%) | 손자회사 메타약품, 한국암웨이와 마스크 공급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손자회사 메타약품이 한국암웨이와 마스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의 이수진 대표는 "이번 한국암웨이와의 계약을 계기로 글로벌 수출 시장 진출도 준비하고 있다며, 자체 생산설비와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마스크 공급은 물론 마스크 시장에서 새로운 사업 모델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힘. | |
삼성에스디에스 (018260) 173,500원 (+3.58%) | 3분기 실적 호조 전망 등에 상승 |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매출액은 2조9,183억원(+10% y-y), 영업이익 2,124억원(+3% y-y)으로 당사 추정치 및 시장 컨센서스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물류BPO 부문 성장 등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코로나19 확산으로 위축되었던 IT투자 회복 중이며, 신규 프로젝트 집행, 대외고객 확보 재개로 하반기부터 IT서비스 실적 정상궤도 근접 중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10,000원 → 260,000원[상향] | |
한미반도체 (042700) 11,300원 (+2.73%) | 총 192.57억원 규모 반도체 제조용 장비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
▷UNIMICRON과 120.1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9.98%) 규모 공급계약(반도체 제조용 장비 수주) 체결(계약기간:2020-10-15~2021-05-15) 공시. ▷아울러 ASE(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Inc)와 72.3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6.01%) 규모 공급계약(반도체 제조용 장비 수주) 체결(계약기간:2020-10-16~2020-12-30) 공시. | |
두산솔루스 (336370) 36,250원 (+2.55%) | 국내 최초로 하이엔드 초극박 시장 진출 소식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그 동안 일본 업체가 독점해 온 시스템 반도체용 하이엔드 초극박을 국내 최초로 수주에 성공했다고 밝힘. 동사는 두께 2μm(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미터) 초극박을 내년 초 양산 예정인 국내기업의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에 공급할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이번 수주는 일본 업체가 독점했던 국내 초극박 시장에 국내 소재업체가 진입한 최초의 사례로서, 반도체용 하이엔드 초극박 시장에서도 비즈니스 성과와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힘. | |
풍산 (103140) 25,350원 (+2.01%) | 신동ㆍ방산 부문 이익 개선에 따른 3분기 실적 호조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6,320억원(+12.1% y-y, +9.0% q-q), 영업이익은 434억원(+21,326.3% y-y, 106.4% q-q), 지배주주순이익 241억원(흑자전환 y-y, +198.5% q-q)으로 특히, 영업이익은 10분기 만에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 이는 신동 제품 판매 회복 지연에도 불구하고 구리 가격이 오르고 탄약 수출이 늘면서 방산 부문 매출액이 증가할 것이며, 구리 가격은 재고 재축적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긍정적인 수요에 힘입어 추가 상승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2020년과 2021년 주당순이익 전망치를 각각 35.3%, 20.0% 상향해, 목표주가를 기존 대비 26% 상향 조정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HOLD → BUY[상향], 목표주가 : 25,000원 → 31,500원[상향] | |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687,000원 (-2.41%) | 현직 임원 횡령 혐의 기소 확인 소식에 소폭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당사 현직 임원(김태한 사장, 김동중 전무)의 업무상 횡령 혐의에 대한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의 공소제기 사실 확인 공시. 혐의발생금액은 47.12억원 규모이며, 당사는 본 건과 관련하여 제반 과정에 대해 적법한 절차에 따라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밝힘. | |
태영건설 (009410) 9,720원 (-2.51%) | 토목건축사업에 대한 영업정지에 소폭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중대재해 발생으로 1조314억원(매출액대비 26.28%) 규모 토목건축사업에 대한 영업정지 공시(영업정지일:2020-10-30 ~ 2021-01-29). |
= 코스닥 =
특징 종목 | 이 슈 요 약 |
KT서브마린 (060370) 6,060원 (+12.85%) | LS전선으로 피인수설 등에 급등 |
▷금일 언론에 따르면, 로이터통신을 비롯한 일부 외신을 인용해 LS전선이 동사 인수를 위한 협상에 나섰다고 보도했음. 동사는 최근 몇 년 간 해양건설 계약뿐만 아니라 광섬유 해저 케이블 설치 사업 독점 계약 건수가 증가하고 있고 최근 코로나19 펜데믹에 따른 조선업황 부진에도 선박 평형수 정화 장비, 해저 케이블 사업 등에서 안정적인 사업 실적을 보이고 있어 인수설에 업계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전해짐. | |
대한광통신 (010170) 4,005원 (+8.39%) | KT, 구리선 전화망 광케이블로 교체 소식 속 수혜 기대감에 급등 |
▷전일 언론에 따르면, KT가 구리선 기반 유선전화망(PSTN)을 광케이블로 전면 대체할 것으로 알려짐. 이에 따라, 오는 2021년부터 5년동안 5,000억~7,000억원을 투입해 유선망을 고도화할 예정이며, 이는 5G 이동통신과 유선 기반의 초고화질 방송·영상회의 등 서비스 혁신 기초인프라로 활용하기 위한 결정으로 알려졌음. ▷이에 광섬유 및 광케이블 제조업체인 동사가 금일 시장에서 부각. | |
바이온 (032980) 1,590원 (+7.80%) | 투자사 미래셀바이오, 100억원 규모 pre-IPO 기관투자유치 완료 소식에 강세 |
▷동사가 2대주주로 있는 투자사 미래셀바이오는 언론을 통해 지난 9월 70억원 규모의 Pre-IPO에 이어, 티그리스인베스트먼트(티그리스언리미티드파트너스투자조합1호)로부터 30억원 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해 총 100억원의 기관투자유치를 완료했다고 밝힘. ▷미래셀바이오는 본 투자유치 자금을 향후 임상시험 및 치매연구 등 연구개발에 활용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짐. | |
피씨엘 (241820) 39,050원 (+6.69%) | 코로나19 항원진단키트 인도 판매 시작 소식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코로나19 항원간편진단 제품이 인도 의학연구위원회(ICMR)의 평가를 통과해 인도에 공식적으로 등록, 판매를 시작했다고 밝힘. 이번주 초 등록과 동시에 초도 물량으로 미화 120만 달러 상당의 주문을 받고 일주일 내로 공급을 마칠 예정. ▷동사 관계자는 "인도의 경우 코로나19 감염으로 매우 급박한 상태이고, 백신의 공급이 불투명해진 시점에서 증상이 있는 확진자를 구별하여 격리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에 허가와 동시에 대량의 주문이 밀려 들어오고 있어 인도의 코로나19 방역에 도움이되고자 지금껏 해오던 것처럼 인도에도 성심성의껏 공급을 빠르게 할 예정"이라고 밝힘. | |
휴젤 (145020) 189,300원 (+5.64%) | 보툴리눔톡신 레티보 中 시판 허가 기대감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中 국가식품의약품감독관리총국(NMPA) 약품심사평가센터(CDE)는 전일 생물학적 의약품 허가 심사 목록에서 동사의보툴리눔톡신 레티보를 제외한 것으로 알려짐. 이는 레티보에 대한 서류심사를 끝내고 심사 결과를 NMPA로 넘겼다는 뜻으로, 향후 NMPA는 20일(영업일 기준) 내로 CED의 심사결과를 검토, 최종 허가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전해짐. | |
파워넷 (037030) 5,950원 (+5.50%) | 과기부 5배 빠른 와이파이 '6GHz' 공급에 따른 수혜 기대감에 상승 |
▷전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GHz 대역(5,925∼7,125MHz, 1.2GHz 폭)을 차세대 와이파이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광대역 비면허 통신용 주파수로 공급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지난 6월 행정예고에 이어, 지난 12일 주파수심의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된 바 있음. ▷이에 내장형 와이파이 모듈(Wifi Module)을 선행 개발하고 있는 동사가 금일 시장에서 부각. | |
에이티세미콘 (089530) 904원 (+5.36%) | 코스모파마 지분 취득 및 60.04억원 규모 CB발행 결정 등에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사업다각화 및 수익증대 목적으로 화장품 제조 및 원재료 수출입업을 영위하는 주식회사 코스모파마 주식 7,900주를 60.04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 공시(취득후지분율:30.38%, 취득예정일:2020-10-16). ▷아울러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윤일진 대상 6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공시(전환가액:868원, 전환청구일:2021-10-16 ~2023-09-16). | |
메디톡스 (086900) 216,600원 (+4.54%) | 1,665억원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성공 속 상승 |
▷1,665억원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청약결과, 청약률이 104.66%를 기록했다고 공시. 이와 관련, 모집 주식 97만1,763주에 대해 101만7,042주가 청약됐으며, 이번 유증의 납입일은 10월22일, 상장예정일은 11월4일임. | |
세미콘라이트 (214310) 1,560원 (-3.11%) | 경영권 분쟁 소송 피소에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구본천 외 3명이 주주명부 열람 및 등사 가처분 신청 소송 및 이사회의사록 열람등사 가처분 소송 제기 공시. | |
교보8호스팩 (307280) 2,220원 (-4.31%) | 상장예비심사결과 승인 속 거래재개 후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의료용품 및 기타의약 관련제품 제조업체인 코넥스시장 상장기업 원바이오젠과 합병 관련 상장예비심사결과 통지(승인) 공시. 이에 지난 8월10일부터 거래가 정지됐던 동사의 주권매매거래가 금일 재개됨. | |
한송네오텍 (226440) 1,995원 (-16.53%) | 총 149.99억원 규모 유상증자 및 CB발행 결정 등에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넥스트에라테크놀로지펀드 대상 1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공시(전환가액:2,210원, 전환청구일:2022-03-30 ~ 2024-02-28). ▷아울러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시너웍스(주) 대상으로 2,675,227주(4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공시(발행가:1,869원, 상장예정:2021-03-05). ▷또한, 최대주주 형남신 외2인이 시너웍스(주)에 보유주식 11,915,009주를 230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공시(최대주주 변경예정일:2020-11-30). | |
펩트론 (087010) 14,550원 (-21.35%) | 749.99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에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5,300,353주(749.99억원) 규모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 공시(예정발행가:14,150원,1주당 약 0.33주 배정,청약예정:2020년12월17일(우리사주조합)/2020년12월17일~2020년12월18일(구주주),상장예정:2021-01-13). |
기대감 속 세종시 인근 지역에 본사 및 공장 소유사실 부각에 급등 | |
KT서브마린 (060370) 6,060원 (+12.85%) | LS전선으로 피인수설 등에 급등 |
한국가스공사 (036460) 29,400원 (+8.89%) | 수소발전의무화제도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
대한광통신 (010170) 4,005원 (+8.39%) | KT, 구리선 전화망 광케이블로 교체 소식 속 수혜 기대감에 급등 |
에코바이오 (038870) 11,100원 (+8.29%) | 바이든 美 대선 후보 여론조사 우세 속 이산화탄소 배출량 제로 공약 기대감 지속에 일부 온실가스(탄소배출권)테마 상승 속 급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