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경한의 눈물
황경한은 조선 순조때 천주교 박해사건인 신유사옥(辛酉邪獄)시 백서을 작성한
황사영과 정난주(마리아) 사이에 태어났다.
황사영은 1790년 약관 16세 나이로 사마시에 진사로 급제한 인재로서 당시
명문가인 정약용의 맏형 정약현의 딸 정난주와 결혼하였고 신유사옥때 천주교도의 핵심 주모자로 지목되어 1801년 11월 5일 서소문 밖 사람들이 오가는
저자거리에서 대역부도죄(大逆不道罪)를 저지른 중죄인으로 처참하게 순교하였다. 황사영의 부인 정난주는 제주 대정현의 관노로 유배되어 당시 2살이던
아들 황경한은 추자도로 유배되어 강진에서 배를 타고 제주로 가던중 추자도 관리에게 아들을 인계하면 죽임을 당하리라 믿어 뱃사람과 호송관리를 꾀어 아들의 이름과 내력을 적은 헝겊을 아기의 옷에 붙여 추자도 예초리 해안가 바위에 내리고 하늘이 보살펴 주길 바랬다.
다행히 소를 방목하던 하추자도 예초리 주민인 오씨부인이 울고있는 아이를
거두어 성장시켜 황씨가 없던 추자도에서 창원 황씨 입도(入島)조가 된다.
정난주는 제주에서 관노로 37년간 길고긴 인욕(忍辱)의 세월을 살면서 늘
아들을 그리워하다 1838년 2월 28일 사랑하는 남편이 있는 하늘나라로 소천
했으며, 아들은 자신의 내력을 알고난후 항상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제주도에서
고깃배가 들어오면 어머니의 안부를 물어봤다고 전해진다.
이곳 예초리는 어미를 그리워하는 아들이 애끓는 소망에 하늘이 탄복하여
내리는 황경한의 눈물로서 가뭄에도 마르지 않고 늘 흐르고 있다.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은 감동적이고 애틋한 사연을 새롭게 열리는 추자
올래길과 함께 단장하여 지나가는 길손에게 잔잔한 감흥을 불어 넣고 있다.
한라산
마라도
23년 1월 1일 일출봉
22년 12월 31일 남원 큰엉 일몰
첫댓글 학수 jeon님 22~23년 연말연시를 제주일원에서 보람있게 촬영여행을 하고 오셨군요. 몇 년전 함께 다녀왔던 추억이 엊그제인양 눈에 삼삼합니다. 이번에는 추자도,마라도, 우도, 일출봉 광치기해변, 남원큰엉 등 알차게 다녔네요? 큰엉 일몰은 인상적으로 붉게 떨어지고 추자도는 사진과 함께 정마리아 아들 이야기를 감명 깊게 읽었습니다. 사실 그 아들이 어찌 되었는지 많이 궁금했었는데 어부의 손에 살았고 그 신분도 알려졌다는 것을 알게되어 감사합니다. 추위를 무릅쓰고 고생해 찍은 사진을 애써 올려주셔서 고맙게 감상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