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좌에 앉으신 이와 죽임을 당하는 어린 양
이사야는 메시아 예언으로 유명한 선지자입니다. 신약성경에 로마서가 있듯이, 구약성경에는 이사야서가 있습니다. 구약성경에 이사야서가 없었다면, 예수가 그리스도(메시아) 시라는 증거를 세울 수 없었을 정도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예언서입니다. 그런데 고등비평가들은 이런 이사야서를 도마 위에 올려놓고 통일성에 이의를 제기합니다. 1-39장까지만이 이사야 선지자의 기록이고 나머지는 누군지 알 수 없는 제2 이사야(40-55장), 제3 이사야(56-66장)의 기록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렇다면 묻습니다. 제2, 제3 이사야는 하나님의 선지자인가? 아닌가? 영감 된 하나님의 말씀인가? 아닌가?
신약성경은 이사야서를 22회 이상 인용하면서 전체가 이사야 선지자를 통하여 계시하신 하나님의 말씀임을 증언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복음서들은
㉮ 세례 요한의 등장을 다같이 “선지자 이사야를 통하여 말씀하신”(마 3:3,막 1:2,눅 3:4,요 1:23), 예언의 성취임을 증언합니다.
㉯ 주님은 “선지자 이사야의 글”에서, “주 여호와의 영이 내게 내리셨으니 이는 여호와께서 내게 기름을 부으사 가난한 자에게 아름다운 소식을 전하게 하려 하심이라”한 61:1절을 찾으셔서 낭독하신 후에 “이 글이 오늘 너희 귀에 응하였느니라”(눅 4:17 -21)고 자신이 예언의 성취자로 오셨다는 점을 친히 증언하셨습니다.
㉰ 성령께서 구스 내시를 회심케 하실 때 사용하신 말씀이 이사야 53장인데, 성경은 이를 가리켜서 “선지자 이사야의 글”(행 8: 28)임을 증언하고 있습니다. 이상의 인용들이 이사야의 기록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40장 이하에 나오는 말씀들이요, 예수가 그리스도이심을 입증하는 근거로 제시하는 핵심적인 말씀들입니다. 그러면 묻습니다. 이런 본문들을 설교할 때에 이는 선지자 이사야가 기록한 말씀이 아니고, 누군지 알 수 없는 제2 이사야의 글이라고 말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그러므로 그들의 주장을 받아드리게 되면 이는 이사야서에 대한 훼손일 뿐만 아니라, 위의 인용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사야서를 논거(論據)로 하여 예수가 그리스도이심을 입증하고 있는 신약성경 전체의 권위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될 것이요, 궁극적으로는 예수가 그리스도 시라는 증거(證據)가 훼손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웃시야와 요담과 아하스와 히스기야”(1:1), 4대에 걸쳐서 활동한 선지자입니다. 이사야의 활동 기간을 웃시야 왕이 죽던(6:1) 해로부터 계산하여, 예루살렘을 침략했다가 패퇴한 산헤립이 죽임을 당한(37:38) 때까지만 계산한다고 해도 58년 이상이나 됩니다. 이토록 오랜 기간에 걸쳐서 기록된 것이라면 문체(文體)가 다양하다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이를 겸비한 마음으로 받아드리려 하지 않고 이성의 잣대로 판단하려는 저의가 무엇이란 말인가?
이사야서의 핵심 장을 말할 때에 53장을 택한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입니다. 53장은 이사야서 뿐만이 아니라, 구약성경 전체에 있어서도 메시아 예언의 핵심적인 장입니다. 신앙생활에 생기가 없고 심령의 갈급함을 느낄 때에 53장을 낭독해보십시오.
그는 실로 우리의 질고를 지고 우리의 슬픔을 당하였거늘
우리는 생각하기를
그는 징벌을 받아 하나님께 맞으며 고난을 당한다 하였노라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 때문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 때문이라
그가 징계를 받으므로 우리는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으므로 우리는 나음을 받았도다
우리는 다 양 같아서 그릇 행하여 각기 제 길로 갔거늘
여호와께서는 우리 모두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 (53:4-6)
그런데 이사야서에는 또 하나의 핵심 장이 있습니다. 그것은 6장입니다. “웃시야 왕이 죽던 해에 내가 본즉 주께서 높이 들린 보좌에 앉으셨는데 그의 옷자락은 성전에 가득하였다”(6:1)고 말씀합니다. 왕이 죽던 해에 보좌에 앉으신 하나님을 계시하여 주신 의도가 무엇인가?
천지는 없어지려니와 주는 영존하시겠고
그것들은 다 옷같이 낡으리니 의복같이 바꾸시면 바뀌려니와
주는 한결같으시고 주의 연대는 무궁하리이다(시 102:26-27)
즉 보이는 왕ㆍ지상의 왕ㆍ유한한 왕은 갈리어도, 하늘 보좌에 앉으신 영존(永存)하시고 한결같으시며 무궁(無窮)하신 왕은 갈리지 않음을 보여주기 위해서요, 지상의 나라들이 하늘 보좌에 의하여 통치되고 있음을 계시하기 위해서입니다. 이처럼 “보좌에 앉으신 하나님”은 성경 전체로 보아도 중심적인 주제입니다. 53장에 나오는 세상 죄를 지고 가는 어린 양이 “성경의 중심”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이 복음의 주체(主體)가 보좌에 앉으신 하나님에 의하여 계획되고 성취해 나가시는 “하나님의 복음ㆍ아들의 복음”(롬 1:1,9)인 것입니다. 이는 구약성경에 나타난 갈보리입니다. 이사야서에는 “구원”이란 말이 30회, “구속ㆍ구속자”란 말이 28회 이상 등장합니다. 이는 이사야서의 중심주제가 “구원과 구속자”이신 메시아라는 점을 말해줍니다. “보라 하나님은 나의 구원이시라 내가 신뢰하고 두려움이 없으리니 주 여호와는 나의 힘이시며 나의 노래시며 나의 구원이심이라 그러므로 너희가 기쁨으로 구원의 우물들에서 물을 길으리로다”(12:2-3).
그런데 이사야서의 두 주제인 “보좌와 어린 양”을 마지막 책인 계시록에서 만나게 된다는 것은 감격스러운 일입니다. 이사야가 웃시야 왕이 죽던 어려운 시기에 높이 들린 보좌를 본 것처럼, 요한도 밧모라 하는 유배지에서 높이 들린 보좌와 일찍 죽임을 당한 어린 양을 뵈었던 것입니다. 계시록에는 “보좌”가 44회, “어린양”이 30회나 등장합니다. “큰 소리로 외쳐 이르되 구원하심이 보좌에 앉으신 우리 하나님과 어린 양에게 있도다”(7:10). 그런가 하면 “보좌에 앉으신 이의 얼굴에서와 그 어린 양의 진노에서 우리를 가리라 그들의 진노의 큰 날이 이르렀으니 누가 능히 서리요”(6:16-17)한 진노도 나타납니다. 이처럼 “보좌에 앉으신 이와 일찍 죽임을 당한 어린 양”은 이사야서 뿐만이 아니라 성경 전체에 있어서도 중심적인 주제입니다.
이사야서를 구속사라는 맥락에서 바라보노라면 경탄할 정도로 일관성과 점진성이 있음을 대하게 됩니다. 이사야서는 “슬프다 범죄한 나라요 허물진 백성이요 행악의 종자요 행위가 부패한 자식이로다”(1:4)한 “죄와 허물”로 말미암아 심판당하게 된 슬픔과 절망으로 시작됩니다. 그리고 이 죄와 허물은 장(章)을 거듭할수록 쌓여만 갑니다. 이는 인간이 범한 소행입니다. 그런데 후반부에 이르러 하나님께서는, “우리는 다 양 같아서 그릇 행하여 각기 제 길로 갔거늘 여호와께서는 우리 모두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53:6)하고, 자기 아들에게 담당시키시고 있는 것입니다. 이것은 그리스도를 통해서 이루어주실 하나님의 행사입니다. 왜 이렇게 행해주셨는가? 아브라함과 다윗에게 언약하신, 다시 말하면 하나님의 구원계획을 성취하기 위해서입니다.
우리는 지금 이스라엘의 역사를 공부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여자의 후손 → 아브라함의 자손 → 다윗의 자손 → 그리스도에게서 성취된 하나님의 구원계획을 어떻게 이루어 오셨는가에 확고하기 위해서 상고하고 있는 것입니다.
㉠ 먼저 아브라함인데,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그러나 나의 종 너 이스라엘아 내가 택한 야곱아 나의 벗 아브라함의 자손아”(41:8) 하고 부르십니다. “너희 조상 아브라함과 너희를 낳은 사라를 생각하여 보라 아브라함이 혼자 있을 때에 내가 부르고 그에게 복을 주어 창성하게 하였느니라”(51:2)하고 아브라함에게, “네 씨로 말미암아 천하만민이 복을 받으리라”(창 22:18)한 언약을 상기시킵니다.
㉡ 다음은 다윗인데, “이는 한 아기가 우리에게 났고… 그 정사와 평강의 더함이 무궁하며 또 다윗의 왕좌와 그의 나라에 군림하여 그 나라를 굳게 세우고”(9:6-7)하고, 그리스도가 다윗의 자손으로 “한 아기”로 오실 것을 예언합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다윗에게 “내가 네 몸에서 날 네 씨를 네 뒤에 세워 그의 나라를 견고하게 하리라”(삼하 7:12)한 언약에 근거합니다. “오호라 너희 모든 목마른 자들아 물로 나아오라 돈 없는 자도 오라 너희는 와서 사 먹되 돈 없이, 값 없이 와서 포도주와 젖을 사라 너희가 어찌하여 양식이 아닌 것을 위하여 은을 달아 주며 배부르게 하지 못할 것을 위하여 수고하느냐 내게 듣고 들을지어다 그리하면 너희가 좋은 것을 먹을 것이며 너희 자신들이 기름진 것으로 즐거움을 얻으리라 너희는 귀를 기울이고 내게로 나아와 들으라 그리하면 너희의 영혼이 살리라 내가 너희를 위하여 영원한 언약을 맺으리니 곧 다윗에게 허락한 확실한 은혜이니라”(55:1-3).“여호와의 <열심>이 이를 이루시리라”(9:7)하십니다.
설교자라면 누구나 선지서에 메시아 예언이 있음을 인정합니다. 그런데 이것으로는 부족합니다. 메시아 증거가 선지서에 있어서 “주(主)냐, 객(客)이냐”에 분명해야 합니다. 다시 말하면 선지서들의 핵심적인 주제가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으로 오실 그리스도를 증언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 확고해야만 합니다. 이에 확고하지 못하고 마치 쌀밥에 검은콩이 뜨문뜨문 섞여 있듯이 선지서에 메시아 증거도 섞여 있는 양 여겨서는 안 된다, 그렇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설교에서 인문학ㆍ심리학ㆍ자기계발 등이 주(主)가 되고 그리스도는 객(客)이 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미련하고 선지자들이 말한 모든 것을 마음에 더디 믿는 자들이여 그리스도가 이런 고난을 받고 자기의 영광에 들어가야 할 것이 아니냐 하시고 이에 모세와 모든 선지자의 글로 시작하여 모든 성경에 쓴바 자기에 관한 것을 자세히 설명하시니라”(눅 24:25-27). 그러므로 신구약 시대를 막론하고, 구원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뿐입니다. 이를 알았기에 바울은 “이 복음은 하나님이 선지자들을 통하여 그의 아들에 관하여 성경에 미리 약속하신 것이라”(롬 1:2) 합니다. 이처럼 선지서에는 다양한 내용들이 있지만 “죄에 대한 책망과 메시아 예언”이라는 두 주제로 요약되고, 결론은 우리 죄를 그리스도에게 대신 담당시키심으로 구원이 가능하여진다는 데 이르고 있습니다.
학자들은 이사야서를 대할 때에 내용의 배열(配列)이 연대기(年代記)적인 것도 아니요, 그렇다고 주제(主題)별로 정리되어 있는 것도 아니라는 점에 크게 당황해합니다. 한마디로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혼란스럽다고 말합니다. 이는 선지서의 기록목적과 중심주제를 망각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혼란입니다. 선지서를 기록하게 하신 목적이 무엇인가? 하나님은 예루살렘의 심판을 전후해서 16명의 문서 선지자들을 집중적으로 투입하셨습니다. 그러나 멸망을 막은 선지자는 단 한 사람도 없습니다. 그렇다면 이 실패를 보여주시려고 기록했단 말인가? 아닙니다. 여기에는 윤리적인 면과 신학적인 면이 있는데, 윤리적인 면은 죄에 대한 책망과 심판에 대한 경고입니다. 그런데 이 점에서 조심해야 할 점은 “그들은 율법을 준행하지 않았다가 심판을 받았다, 우리는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는 식으로 적용하는 일입니다. 성경은 말씀합니다.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롬 3:20), 그들은 준행하지 않았습니다. 준행함으로 의롭다함을 얻을 수도 없었습니다. 구약교회의 멸망은 자력구원의 불가능성을 말씀해주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구약의 성도들은 어떻게 구원을 얻을 수 있었단 말인가? 여기에 신학적인 면이 대두되는데 “메시아언약 안에서,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이 가능했던 것입니다. 그런데 그들이 우상을 숭배했다는 것은 메시아언약을 배신했음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심판을 당하고 멸망을 한 것입니다. 어떤 분들은 선지자들이 횡설수설하고 있다고 말하는데, 그런 말은 선지자 당시에 “제사장과 선지자”들이 “교훈에 교훈을 더하되 여기서도 조금, 저기서도 조금 하는구나”(28:10) 하고 이사야 선지자를 조롱한 말입니다. 그런 것이 아닙니다. 선지자들은 인간의 행위로 말미암은 “절망”과 하나님이 행해주실 “소망”을 수고로움도 아랑곳하지 않고 10번, 100번, 수도 없이 반복해서 증언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여기에 사활이 걸려있기 때문입니다. 그 점을 본문 관찰에서 보게 될 것입니다만 그래서 횡설수설하는 것 같이 여겨진 것입니다.
그러므로 선지서의 기록목적은 당대를 위한 것도 아니요,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오게 하심을 증언하는 데 있는 것도 아닙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구원계획, 즉 하나님의 나라건설은 바벨론 포로귀환으로 회복이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궁극적인 성취는 에덴에서 추방당한 아담의 후예들이 돌아올 수 있어야만 합니다. 그리고 이 회복은 율법을 통한 윤리나 교훈으로는 불가능하고 어린 양의 대속으로만이 기능하여진다는 점입니다. 그러므로 주님은 “너희가 성경에서 영생을 얻는 줄 생각하고 성경을 연구하거니와 이 성경이 곧 내게 대하여 증언하는 것이로다”(요 5:39) 말씀하십니다. 선지서의 궁극적인 기록목적은 그리스도를 증언하는 데 있습니다. 그러므로 선지서의 예언에는 복합성(複合性)이 있습니다. 즉 여러 장면(場面)이 겹쳐져 있다는 말씀입니다. 선지자들은 한결같이 “심판과 돌아옴”, 즉 회복을 약속합니다.
㉠ 그 심판이 당대에는 바벨론에 의하여 예루살렘이 멸망 당하는 것으로 임하였으나 궁극적으로는 최후심판으로 귀결되고,
㉡ 그리고 회복에 대한 예언이 일차적으로는 바벨론으로부터 귀환할 것을 의미하지만 궁극적으로는 그리스도를 통한 회복을 내다보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이사야서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집니다. 1-39장까지는 주로 죄에 대한 책망과 심판에 대한 경고, 즉 “진노”를 말씀하는 문맥이고, “내 백성을 위로하라”하고 시작되는 40-66장에서는 초점이 위로와 회복, 즉 “은혜”에 맞춰져 있습니다. 전반부의 죄에 대한 진노가 보좌에 앉으신 이의 공의(公義)와 결부되어 있다면, 후반부의 은혜는 보좌에 앉으신 이의 사랑의 발로입니다.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은 갈보리 십자가에도 동시에 나타나고 있음을 유념해야 합니다. 그리고 전 후반부에는 하나님의 “진노의 막대기”(10:5)도 등장합니다. 앞부분의 막대기는 “앗수르”이고, 뒷부분의 막대기는 “바벨론”입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북 왕국이 앗수르에 의하여 멸망 당한 후에도 남 왕국에 대해서는 130년이나 참고 기다리십니다. 왜냐하면 북 왕국이 멸망 당하는 것을 보고 회개하기를 기대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끝내 회개하지 않자 바벨론이라는 진노의 막대기에 의하여 멸망 당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서 말씀하시려는 메시지는 “죄의 값은 멸망이라는 것과 자력구원의 불가능성”입니다.
그러므로 이사야서는 그리스도의 탄생(7:14, 9:6, 11:1)으로 시작하여 죽으심(53장)과 그가 다시 오심으로 완성될 “새 하늘과 새 땅”(65:17)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리고 있습니다. 이사야서를 상고하면서 놓치지 말아야 할 두 가지 요점이 있는데,
㉠ 첫째는 주님께서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하고 물으신 “메시아”, 즉 예수님이 누구인가 하는 점입니다. 선지자는 증언합니다. “이는 한 아기가 우리에게 났고 한 아들을 우리에게 주신 바 되었는데, 그의 어깨에는 정사를 메었고 그의 이름은 기묘자라 모사라 전능하신 하나님이라 영존하시는 아버지라 평강의 왕이라”(9:6).
㉡ 그렇다면 둘째는, 이런 분이 어찌하여 “한 아기”로 오신단 말인가? 즉 그가 우리를 위하여 무엇을 해주셨는가 하는 점입니다. 선지자는 증언합니다. “우리는 다 양 같아서 그릇 행하여 각기 제 길로 갔거늘 여호와께서는 우리 모두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53: 6). 다른 것을 다 말해도 이 두 가지 요점을 빠뜨린다면 그것은 이사야서의 겉만 핥은 격입니다. 다른 것은 몰라도 이 두 가지 요점만 듣고 믿으면 구원을 얻습니다. 여기에 사활이 걸려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영광스러운 이사야서를 신학자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목회자의 입장에서, 그것도 성경신학(구속사)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아 그리스도를 증언코자 하는 것이 본 강해의 목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