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제121차 도서 「 GRIT 」
Great ( 그레이트 위대한)가 연상되는 책 제목으로 발제및 발표자 김정희 단우님의 열정과
수고에 감사 드리며, 한결같이 열정적 삶을 살아온 독서A 회원분 한분 한분 지나온 삶
그리고 앞으로 살아갈 삶에 대한 진지하고도 유익한 대흥 독서A 시간을 가질수 있었음에
감사 드립니다.
성공의 결정적 요인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시한 자기계발서인 「 GRIT 」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신경생물학 연구로 수석 졸업하였으며 창의럭 잠재력자에게
주는 '맥아더상' 을 수상(受賞)한 열정적 능력자인 심리학자 저자 앤제라 더크워스
(Angela Duckworth 1970년)가 개념화한 용어 「 GRIT 」
2013년 저자가 TED 강연에서 「 GRIT 」을 처음 소개했는데, 이는 재능보다 노력의
힘을 강조한다. 즉, 평범한 지능이나 재능을 가진 사람도 열정과 끈기로 노력 하면 최고의
성취를 이룰 수 있다는 뜻을 담고 있다.
G rowth (성장 成長),
R esilience (회복력 回復力),
I ntrinsic Motivation (내재적동기 內在的動機),
T enacity (끈기 鬪志)
의 줄임말로 성공(成功)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투지(鬪志)를 나타내는 용어로 동양권 문화
우리말로 한 단어로 표현하기가 쉽지 않은듯 합니다. 저자는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IQ, 유전자,
재능이 성공을 결정짓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심리학을 공부하며 성취의 진짜 요인에 대해
연구를 통하여 성공의 비결은 재능이 아니라 ‘그릿’ 이라고 부르는 열정과 끈기의 조합에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 크게 성공한 사람들은 왜 그렇게 끈덕지게 자신의 일에 매달렸을까 ?
「 성공과 '그릿(GRIT)' ! 」
그들 대부분이 사실상 달성이 불가능해 보일만큼 큰 야망(野望)을 품고 있었다.
그들의 눈에는 자신이 늘 부족 해보였다. 그들은 현실에 안주하는 사림들과는 정반대였다.
그럼에도 불만을 가지는 자신에게 정말로 만족을 느꼈다. 그들 각자가 비할 바 없이 흥미
롭고 중요한 일을 한다고 생각했고,
목표의 달성만큼 이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만족을 느꼈다.
그들이 해야만 하는 일 중에서 일부는 지루하고 좌절감을 안기고 심지어 고통스럽 다고 해도
그들은 추호도 포기할 생각을 하지 않았다. 그들의 열정(熱情)은 오래 지속(持續) 되었다.
성공한 사람들은
분야(分野)에 상관없이 굳건한 결의(決意)를 보였고 두 가지 특성(特性)으로 나타났다.
첫째,
회복력(回復力)이 대단히 강하고 근면(勤勉)했다.
둘째,
자신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매우 깊이 이해하고 있었다.
그들은 결단력이 있을 뿐 아니라 나아 갈 방향도 알고 있었다. 성공한 사람들이 가진
특별한 점은 열정(熱情)과 결합된 끈기였다. 한마디로 그들에게는 「 GRIT (그릿) 」 이 있었다.
※ Grit - 편집자 주(註)
사전적으로 투지(鬪志), 끈기, 불굴의 의지(意志) 모두 아우르는 개념이다.
그래서 저자가 말하는 「열정과 집념이 있는 끈기」라는 그릿의 뜻을 한국어의 한 단어로
명확하게 표현하기란 쉽지 않다. 이 책에서는 그릿이라는 단어를 그대로 쓰되,
문맥에 따라 투지와 의지 등으로 번역했다.
▶ ' GRIT ' 저자와는 다른 관점이 있습니다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신경생물학 연구로 수석 졸업하였으며 창의럭 잠재력자
에게 주는 '맥아더상' 을 수상(受賞)한 열정적 능력자인 심리학자 저자 앤제라 더크
워스(Angela Duckworth 1970년)는 중국계로 상당한 미모와 대단한 천재성을 가진
능력자라고 생각됩니다.
에디슨의 명언을 인용하면
" Genius is one percent inspiration and ninety-nine percent perspiration "
- Thomas Alva Edison
" 천재(天才)는 1%의 영감과 99%의 노력으로이루어진다"
- 토마스 알바 에디슨
※ 註 : 천재(天才)는 선천적으로 타고난, 남보다 훨씬 뛰어난 재주. 또는 그런 재능을 가진 사람.
위의 명언은 실제로 에디슨은
" 천재성은 1%의 영감이 없다면 99%의 노력도 가치를 잃는다"
라는 의미로 영감의 중요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합니다.
새로운 생각 즉 발상(發想)이 있어야만 새로운 미래(未來) 세계는 펼쳐질수 있다고 생각 합니다.
그리고 고정관념에서 벗어난 창의적 발상의 전환을 통한 열정적 노력으로 새로운 발전적인 미래가
창조 되고 실현될 수 있다고 하겠습니다,
과학의 발전은 에디슨의 공상적 아이디어에서 출발 할수 있었다고 생각 합니다.
3월의 도서 ' GRIT (그릿) ' 회원분들과 함께 공부하며 학창 시절에 익히 들었던
윌리엄 클라크 교수의 명언
" 소년들이여, 야망을 가져라! "
" Boys Be Ambitous ! "
생각 났으며, 독서 아카데미 회원분 그리고 우리의 아들 딸에게, 젊은이에게
3A 정신을 들려 드리고 싶었습니다.
A mbitous (야망 野望) 을 가져라
A bility (능력 能力) 을 키워
A chieve (성취 成就) 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