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 4. 북방 현무가 거느리는 칠수(七宿)에 관한 보천가.
1. 두수(斗宿)의 보천가(步天歌)
六紅其狀似北斗(육혹기상사북두)
- 여섯 개의 주홍색 별로 자미원에 있는 북두칠성과 흡사하고,
魁上立紅三相對(귀상립홍삼상대)
-괴(魁) 위쪽에 있는 것은 립(立: 또는 建)인데,세 개씩
이루어진 주홍색별로 서로 마주보고 있다네.
天弁立上三紅九(천병립상삼홍구)
-천변(天弁)은 립의 위에 세별씩 짝을 진 아홉 개의 주홍색별이고,
斗下圓紅十四星(두하원홍십사성)
-두의 아래에 14개의 주홍색별이 원을 이룬 것이 있는데,
雖然名鼈貫索形(수연명별관색형)
-이름 비록 자라이나 동아줄을 꿰어 놓은 것과 같은 형태라네.
天鷄立背雙黑星(천개립배쌍흑성)
-천계(天鷄)는 립의 뒤쪽(북쪽)에 두 개의 검은색별이고,
天鑰柄前八黃精(천약병전팔횡전)
-천약(天鑰)은 두의 자루 앞에 여덟 개의 짙은 누런색별이네.
狗國四烏鷄下生(구국사오계하생)
-구국(狗國)은 네 개의 짙은 검은색(烏色) 별로 천계의
아래에서 생겨나고,
天淵十黃鼈東邊(천연십황별동변)
-천연(天淵)은 10개의 누런색별로 별(鼈)의 동쪽가에 있다네.
更黑兩狗斗魁前(갱흑양구두귀전)
-또 두 개의 검은색별인 구(狗)가 두수의 괴(魁) 앞에 있고,
農家丈黑狗下眠(농가장흑구하면)
-농가장(農家丈)의 검은색별은 구(狗)아래에 잠들었으며,
天淵十黃狗色玄(천연십황구색현)
-천연은 열 개의 누런색별이고, 구(狗)의 색은 검다네.
2. 우수牛宿)의 보천가(步天歌)
六紅近在河岸頭(육홍근재하안두)
-여섯 개의 주홍색 별로 은하수의 둔덕 가까이 있는데,
頭上雖然有兩角(두상수연유양각)
-은하수 쪽으로는 두 개의 뿔(별)이 나있으나,
腹下從來欠一脚(복하종래흠일각)
-복부 아래로 내려오면 다리 하나가 없다네.
牛下九黑是天田(우하구흑시천전)
-우의 아래로 아홉 개의 검은 별이 천전(天田)이고,
田下三三九坎連(전하삼삼구감련)
-천전의 아래로 세 개씩 모여 총 아홉 개가 이어져 있는 것이
구감(九坎)이네.
牛上三紅號河鼓(우상삼홍호하고)
-우의 위로 세 개의 주홍색별을 하고(河鼓)라 하고,
鼓上三紅是織女(고상삼홍시직녀)
-하고(河鼓) 위에 세 개의 주홍색별을 직녀(織女)라 하네.
左旗右旗各九星(좌기우기각구성)
-좌기(左旗)와 우기(右旗)는 각기 아홉 개의 별로 이루어졌는데,
河鼓兩畔右紅明(하고양반우홍면)
- 하고의 양쪽 변두리 우측으로 치우쳐서 주홍색으로 밝게
놓여있다네.
更有四黃名天桴(갱유사황명천부)
-다시 네 개의 누런 색 별을 천부(天桴)라 하는데,
河鼓直下如連珠(하고직하여연주)
-하고의 바로 아래에 구슬을 이어놓은 것처럼 있네.
羅堰三烏牛東居(나언삼오우동거)
-나언(羅堰)은 세 개의 짙은 검은색(烏色)별로 우의 동쪽(왼쪽)
에 놓여있고,
漸臺四黑似口形(점대사점사구형)
-점대(漸臺)는 네 개의 검은색별이 입구 자(口)와 비슷한 형태며,
輦道東足連五丁(연도동족연오정)
-점대의 동쪽의 발에 해당하는 곳에 다섯 개의 별이 ‘丁(정)’자
형으로 놓여 있는 것이 연도(輦道)라네.
輦道漸臺在何許(연도점대재하허)
-연도와 점대의 두 별자리를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欲得見時近織女(욕득견시근직녀)
-이를 보고자 한다면 직녀성의 근처를 살펴라.
3. 녀수(女宿)의 보천가(步天歌)
四紅如箕主嫁娶(사홍여기주가취)
-네 개의 주홍색별이 기(箕)와 같은 모습으로, 시집가고
장가가는 일을 주관하네.
十二諸國在下陳(십이제국재하진)
-십이제국(十二諸國)이 그 아래에 벌려 있는데,
先從越國向東論(선종월국향동론)
-제일 앞에 있는 월(越)나라로부터 동쪽으로 얘기하자면,
東西兩周次二秦(동서양주차이진)
-동주(東周)와 서주(西周)의 두 별이 있고, 두 별로 된 진(秦)이
그 왼쪽에 있고,
雍州南下雙鴈門(옹주남하쌍안문)
-옹주의 남쪽 아래로 쌍으로 된 안문(雁門:代國)이 있다네,
代國向西一晉伸(대국향서일진신)
-대국(代國)의 오른쪽으로 한 개로 된 진(晉)이 펼쳐졌고,
韓魏各一晉北輪(한위각일진북륜)
-한(韓) 위(魏) 두나라 각기 한 개의 별로, 진(晉)나라의 바로
위에 수레바퀴처럼 있고,
楚之一國魏西屯(초지일국위서둔)
-초(楚)나라가 역시 한 개의 별로 위(魏)나라의 오른쪽에 진을
치고 있으며,
楚城南畔獨燕軍(초성남반독연군)
-초나라 별(城)의 남쪽(아래쪽)으로는 연(燕)나라의 군사들만
있고,
燕西一郡是齊隣(연서일군시재린)
-연나라의 오른쪽에 있는 한 개의 별이 제(齊)나라이네.
齊北兩邑乃趙垠(재북양읍내조은)
-제나라 북쪽(윗쪽)으로 있는 두 개의 별(邑)이 조(趙)나라이고,
欲知鄭在越下存(욕지정재월하존)
-정(鄭)나라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고자 하면 월(越)나라의
아래에 있으니,
十六黃星細區分(십륫황성세구분)
-이것이 16개의 누런 별을 세분해서 본 것이네.
五點離珠女上橫(오점리주여상행)
-다섯 개의 별로 된 이주(離珠)은 여(女)의 위쪽으로 비스듬히
놓여있고,
敗瓜之上匏瓜生(폐과지상표과생)
-패과(敗瓜)의 위에서 포과(匏瓜:박과 오이)가 생겨나며,
兩星各五匏瓜明(양성각오표과명)
-두 별자리(패과와 포과)가 각기 다섯 개의 별로 이루어졌는데,
포과(匏瓜)가 밝은 별이라네.
天津九赤彈弓形(천진구적탄궁형)
-천진(天津)은 아홉 개의 붉은 색 별이 활을 튕겨놓은 형태이고,
兩星入牛河中橫(양성입우하중횡)
-그 중 두 별은 우수(牛宿)의 영역에 들어가서 은하수 안에
횡으로 있다네.
四黃奚仲天津上(사왕해중천진상)
-네 개의 누런 별이 해중(奚仲)으로 천진(天津)의 위에 있고,
七烏仲側扶筐星(칠오중칙부광성)
-일곱 개의 짙은 검은색(烏色) 별이 해중 옆에 있는 것이
부광(扶筐)이라네.
4. 허수(虛宿)의 보천가(步天歌)
上下各一如連珠(상하각일여연주)
-위와 아래로 각기 한 개의 별이 구슬을 이은 것 같고,
命祿危非虛上呈(명록위비허상정)
-사명(司命)·사록(司祿)·사위(司危)·사비(司非)의 네 별자리는
허의 위에 있다네.
虛危之下哭泣星(허위지하곡읍성)
-허와 위(危)의 아래에 곡(哭)과 읍(泣)이 있는데,
哭泣雙雙下壘城(곡읍쌍쌍하루성)
-곡과 읍이 쌍쌍으로 있는 아래에 천루성(天壘城)이 있고,
天壘圓黃十三星(천루원황십삼성)
-천루성은 누런 별 13개가 원을 그리고 있다네.
敗臼四星城下橫(폐구사성성하횡)
-패구(敗臼)의 네별은 천루성의 아래에 빗겨 놓여 있으며,
臼西三點離瑜明(구서삼점리유명)
-패구의 서쪽(오른쪽)에 세 개의 별로 이루어진 이유(離瑜)가
밝게 비추고 있다네.
5. 위수(危宿)의 보천가(步天歌)
三星不直舊先知(삼성불직구선지)
-세별이 곧지 않게(삼각형 모양)놓여 있는 것이 위수(危宿)라는
것을 옛날에 먼저 알았네.
危上五黑號人星(위상오흑호인성)
-위(危)의 위쪽으로 검은 색(黑)의 다섯 개 별이 인성(人星)이고,
人畔三四杵臼形(인반삼사저구형)
-인성의 옆에 세 개의 별(내저)과 네 개의 별(臼:구)이
절구질하는 형태로 있으며,
人上七烏號車府(인상칠오호거부)
-인성 위에 일곱 개의 짙은 검은 색별을 거부(車府)라 부르고,
府上天鉤九黃精(부상천구구황정)
-거부의 위에 아홉 개의 진한 누런색의 별이 천구(天鉤)이며,
鉤上五黑字造父(구상오흑자조보)
-천구의 위에 다섯 개의 검은 색(黑) 별이 조보(造父)라네.
危下四紅號墳墓(위하사홍호분묘)
-위의 아래쪽으로 네 개의 주홍색(紅) 별을 분묘(墳墓)라 하고,
墓下四黃斜虛梁(묘하사황사허량)
-분묘 아래 네 개의 누런 별이 비껴 있는 것이 허량(虛梁)이며,
十箇天錢梁下黃(십개천전량하황)
-열 개 누런 색 별로 이루어진 천전(天錢)은 허량의 아래에 있고,
墓傍兩星名蓋屋(묘반양성명개옥)
-분묘의 곁에 두 개의 별을 개옥(蓋屋)이라고 하는데,
身着黑依危畔宿(신착흑의위반수)
-검은 색 옷을 입고 위(危)의 옆에 잠들었네.
6. 실수(室宿)의 보천가(步天歌)
兩紅上有離宮出(양홍상유리궁출)
- 두 개의 주홍색 별 위로 리궁(離宮)이 나왔으니,
遶室三雙共六星(요실삼쌍공육성)
-실을 둘러싸며 세 쌍을 이루어 모두 여섯 개의 별이네.
下頭六黑雷電形(하두육흑뇌전형)
-실의 아랫머리 쪽 여섯 개의 검은색(黑色) 별이 뇌전(雷電)이고,
壘壁陳次十二星(누벽진차십이성)
-그 아래로 누벽진(壘壁陳)의 열두 개의 별이 놓여 있는데,
兩頭如升陳下分(양두여승진하분)
-양쪽의 머리 모양이 되(升) 같은 것이 아래로 나뉘어 늘어졌네.
陳下分明羽林軍(진하분명우림군)
-누벽진 아래에 나뉘어 늘어진것이 분명 우림군(羽林軍)이니,
四十五卒三爲群(사십오졸삼위군)
-마흔 다섯 개 별(兵卒)이 셋씩 무리지어 있다네.
璧西西下最難論(벽서서하최란론)
-누벽진의 서쪽(오른쪽)의 아래가 제일 분간하기 어려우니,
字細歷歷着區分(자세력력착구분)
-자세히 살펴보아 구분해야 한다네.
三粒黃金名鈇鉞(삼립황금명부월)
-세 개의 황금의 환 알 같은 별을 부월(鈇鉞)이라고 하고,
一顆明珠北落門(일과명주북락문)
-한 알의 명아주(明珠) 구슬 같은 별이 북락사문(北落師門)이며,
門東八魁九黑子(문동팔괴구흑자)
-북락사문의 동쪽에는 아홉 개의 검은색별인 팔괴(八魁)가 있고,
門西一宿天綱是(문서일수천강시)
-북락사문의 서쪽에 있는 한 개의 별이 바로 천강(天綱)이라네.
電傍兩黑土公吏(전방양흑토공리)
-뇌전(雷電) 곁에 두 개의 검은 색 별이 토공리(土公吏)이고,
騰蛇室上二十二(등사실상이십이)
-등사(騰蛇)는 실(室)의 위에 스물두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다네.
7. 벽수(壁宿)의 보천가(步天歌)
兩紅下頭是霹靂(양홍하두시벽력)
-두 개의 주홍색(紅色) 별인데, 그 아랫머리 쪽으로 있는 것이
벽력(霹靂)이라네.
霹靂五烏橫着行(벽력오오횡착행)
-벽력은 다섯 개의 짙은 검은 색(烏色) 별이 횡으로 가로질러
가는 모습이고,
雲雨次之口四方(운우차지구사방)
-운우(雲雨)는 그 밑에서 ‘입구(口)’자 모양으로 사방을 가리키네.
壁上天廐十圓黃(벽상천구십원황)
-벽의 위에는 열 개의 누런색별인 천구(天廐)가 원형으로 있고,
鈇鑕五烏羽林傍(부질오오우림방)
-다섯 개의 짙은 검은 색(烏色) 별인 부질(鈇鑕)은 우림군
(羽林軍)의 왼쪽 옆에 놓여 있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