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준이 소개한 경옥고
우리 선조들은 무병장수와 생명연장의 양생법을 쉼 없이 연구하였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경옥고다. 허준은 동의보감 도입부에서 “경옥고는 정(精)과 수(髓)를 보충하고 원기를 북돋우며 혈액을 풍부하게 하여 늙는 것을 막고 만신을 튼튼하게 하고 백병을 낫게 하며 허로(虛勞)로 머리털이 일찍 희어지고 이가 흔들리며 쉽게 피곤해지고, 소모성 질병일 때 보약으로 쓸 수 있다.”고 가장 먼저 소개하였다.
그러면서 “하루에 여러 번 먹으면 종일 배고프거나 갈증이 없으며 27년 동안 먹으면 수명이 360세에 이를 수 있고, 64년 동안 먹으면 500살에 이를 수 있다.”고 했다. 과장된 표현이지만 그만큼 좋다는 것이다. 기혈이 부족한 허약체질이 먹으면 몸이 따뜻해지면서 기운이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니까 경옥고는 허준이 인정한 최고의 보약인 셈이다.
또한 Morris Water Maze라는 동물실험을 통해 천마 추출물을 먹인 쥐의 기억력이 증가하고 학습효과가 개선되었음을 발표했고, 쥐에게 경옥고를 투여하고 미로 탈출을 실험한 결과 일반 쥐는 300초가 걸린 반면 경옥고를 투여한 쥐는 불과 100초였다는 점에서 뇌질환 예방에도 도움이 됨을 알 수 있다. 최근 논문에 의하면 결핵, 폐암, 심장질환, 피로회복, 노화방지 효과가 입증되었다.
한의서에 경옥고는 노인의 허약체질, 하체가 부실한 사람, 발육이 부진한 소아, 기력이 떨어진 남성, 중풍이나 치매 환자, 수면이 부족한 수험생이나 운동선수, 애주 애연가, 위장 빈혈 폐결핵 등 만성 소모성질환, 임산부의 산후조리, 중병 후 보양, 그리고 피부가 고와지고 붓기가 빠지는 등 미용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경옥고를 복용하는 방법은 동의보감에서 “한 번에 한두 숟가락씩 데운 술에 타먹거나 술을 못 마시면 끓인 물에 타먹으면 된다. 복용횟수는 하루에 두세 번씩 먹는다. 무쇠로 만든 숟가락이나 무쇠그릇을 써서는 안 되고, 먹을 때는 파, 마늘, 무, 식초, 신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철은 산화가 잘 되는 금속이어서 약물에 철이 닿으면 약성분의 변화가 일어나기 쉽다.
경옥고는 약성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법제 과정을 거친 것으로 누구나 이로운데 특히 심장과 간장과 폐와 위장이 약한 환자는 장복할수록 효과를 볼 수 있고, 체력보강과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몸을 덥혀 암 치료를 더욱 용이하게 한다. 주의할 점은 경옥고를 먹을 때는 파 마늘 식초 신음식 등을 피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한다.
지금까지의 임상결과를 통한 경옥고의 효능 내지 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氣血(기혈)이 부족한 사람. 2.체질허약자. 3.머리털이 일찍 희어지는 사람. 4.이가 흔들리거나 쉽게 피로해지는 사람. 5.早老證(조로증)이 있는 사람. 6.일체의 허로손상. 7.만성적인 위와 장의 질병. 8.중풍후유증. 9.폐결핵을 비롯한 여러 가지 소모성 질환. 10.코피가 자주 나는 사람. 11.임산부 산후조리. 12.술 담배를 많이 하는 사람. 13.소아 발육부진. 14.일체의 燥證(조증) (인터넷 자료)
섭취법 : 효과를 빨리 보려면 동의보감대로 드실 수 있지만, 공복에 반 수저씩 1~3회 따뜻한 술이나 온수에 타거나 그냥 빨아 먹는다. 오래 불을 때어 부작용이 없지만 개인에 따라 호전반응이 있을 때는 잠시 중단했다가 드세요.
경옥고 효능
瓊玉膏(옥경, 구슬옥, 기름고)는 이름부터 뭔가 다른 보약이지만 그 효능은 역시 뛰어나다. 그래서 옛날에는 왕실이나 고관대작들이나 경옥고를 먹을 수 있었다. 허준의 동의보감 제1권 身形篇(신형편) 養性延年藥餌(양성연년약이. 병들지 않게 하며 오래 살게 하는 약)條(조)에 보면 瓊玉膏는 三精丸(삼정환),延年益壽不老丹(연년익수불로단), 五老還童丹(오로환동단), 延齡固本丹(연령고본단), 斑龍丸(반룡환), 二黃元(이황원), 현토고본단, 固本酒(고본주) 등과 더불어 延年益壽藥(연년익수약. 건강하고 오래 살게 하는 약)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경옥고의 효능에 대해서 동의보감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精(정기 정)과 髓(골수 수)를 채워 주고 진기를 고르게 하며, 원기를 보하여 늙은이를 젊어지게 하고, 모든 虛損證(허손증)을 보하며, 온갖 병을 낫게 한다. 또 정신이 좋아지고 오장이 충실해지며, 흰머리가 다시 검어지고 빠진 이가 다시 나오며, 걸음걸이가 뛰는 말과 같이 빨라진다. 하루에 두 세 번 먹으면 종일토록 배고프거나 목이 마르는 일이 없다. 1제를 5몫으로 나누어 쓰면 반신불수 환자 5명을 치료할 수 있고, 1제를 10몫으로 나누어 쓰면 노채(결핵)환자 10명을 치료할 수 있다.”
경옥고를 복용하는 방법은 동의보감에서 “한 번에 한두 숟가락씩 데운 술에 타먹거나 술을 못 마시면 끓인 물에 타먹으면 된다. 복용횟수는 하루에 두세 번씩 먹는다. 무쇠로 만든 숟가락이나 무쇠그릇을 써서는 안 되고, 먹을 때는 파, 마늘, 무, 식초, 신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철은 산화가 잘 되는 금속이어서 약물에 철이 닿으면 약성분의 변화가 일어나기 쉽다.
경옥고는 다량의 생지황즙에다 인삼이나 홍삼이나 산삼 복령 복신 백밀련 그리고 질병에 따라 천마 구기자 하수오 천문동 맥문동 지골피 녹용 사향 산마 산수유 같은 다른 고귀한 약재를 추가한 것인데 약재는 약성이 좋은 입동 이후에 채취하고 민가와 떨어진 심산유곡에서 시종 쇠붙이에 닿지 않게 여러 날 불 때기를 반복하는 등 만드는 기간만도 1주일이 소요되는 정성이 많이 가는 보약이다.(인터넷 자료)
폐질환과 암에 좋은 보약
각종 생리활성을 가지는 사포닌 saponin계 유도 화합물이 주요약리성분이며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품질의 지표가 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한방처방에서는 건위소화약, 정장지사약, 진통진경약으로 되는 처방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약리작용으로는 혈당강하 작용, 항암효과, 혈청단백 합성 촉진,항체생산 촉진작용, 중추흥분작용, 항피로작용등이 있습니다.
복령은 포도당의 다당체인 파치만 pachyman이 주성분으로 베타 포도당이 결합을 한 글루칸 Glucan의 약리작용은 위궤양 예방효과 혈당강화 및 접촉성피부염 억제작용등 이 있습니다.
생지황은 이리도이드 iridoid 배당체의 일종인 카타폴 catalpol 이 주요 약리성분으로써이뇨작용과 사하작용등의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고 특히 근경을 보혈하고 강장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혈액이 부족해지는 증상, 빈혈이나 선천적 허약체질을 개선을 할 수 있고 혈당을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당뇨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여러 가지 한약방제에 쓰이기도 하고 천연물 약품중 많은 비중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처방내용은 생지황생즙 6.4kg, 인삼분말 960g, 백복령과 복신 분말 1,920g, 백밀련을 고루 섞어서 사기항아리에 넣고 유지 5겹과 두꺼운 천으로 항아리의 아가리를 꼭 봉한 다음, 구리냄비 속에 넣어 데롱 데롱 달아놓고 뽕나무불로 70-90도 쯤 저온으로 3일 동안 끓인 후 찬 우물 속에 1일간 식혔다가 다시 앞에서와 같이 1일을 더 끓인 다음 물기가 없어지면 꺼내서 복용한다. 경옥고의 주재료에다 질병에 따라 천마 구기자 하수오 천문동 맥문동 지골피 녹용 사향 산마 산수유 같은 다른 한약재를 추가할 수 있다. 그 효능은 한약재나 법제법에 따라 다를 수 있다.(인터넷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