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해운대 지하고속도로 추진
‘김해신공항’에서 해운대를 잇는 대심도(大深度·지하 50m) 고속도로가 추진된다. 이 도로가 생기면 기존 남해고속도로와 부산울산고속도로가 하나로 연결되고, 시내 교통이 분산돼 혁명적 변화가 기대된다. 오는 2026년 도로 개통 시점에 맞춰 기존 동서고가도로 일부는 철거된다.
부산시는 사상구 감전동에서 해운대구 송정동까지 22.8㎞의 김해신공항고속도로를 건설하는 민간투자 사업이 최근 국토교통부에 제안돼 관련 절차를 밟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이 도로는 해당 구간을 지하로 연결하는 대심도 고속도로다. GS건설이 제안했고 사업비는 2조 원이다. 요금은 전 구간을 달릴 때 2400원 정도 예상된다.

이 사업에 대해 부산시는 ‘대환영’이다. 민자사업자 측은 2021년에 착공해 김해신공항 개항 시점인 2026년에 완공하는 것이 목표다. 도로가 생기면 기존 남해고속도로와 부산울산고속도로가 연결되고, 김해공항에서 해운대까지 1시간 20분 걸리던 것도 30분대로 단축된다. 황령터널, 광안대교, 장산로 등 주변 교통량도 30% 정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진출입로는 사상과 학장, 진양, 시민공원, 벡스코, 좌동, 송정, 기장 등 8곳에 설치될 예정이다. 부산시는 고속도로의 개통 시점에 맞춰 기존 사상~진양삼거리의 동서고가로를 철거할 계획이다. 대심도 도로는 30~60m 깊이로 터널을 뚫어 건설한다. 토지 보상비가 들지 않고, 관련 절차도 비교적 간소한 것이 특징이다.
<부산일보 3월 24일자 일부 발췌>
센텀시티~송정 노면전차 달린다
부산 해운대구 센텀시티부터 송정까지 트램(노면전차) 건설이 추진된다. 부산시는 14일 제3차 대중교통계획(2017~2021년) 용역(안)에 대한 심의·검토에 들어갔다. 대중교통계획안은 5년 단위로 수립하며 오는 2021년까지 대중교통 정책 방향과 실행 계획의 기본이 된다. 계획안에 따르면 2개의 트램이 추진된다. 센텀시티~동백섬~해운대해수욕장~미포교차로~동해남부선 폐선구간~송정 구간 관광용 트램은 3단계에 걸쳐 추진된다. 센텀시티~해운대해변로~구남로~옛 해운대역~중동역~좌동순환로 구간의 또 다른 트램도 검토된다. 시는 폐선구간의 트램은 2021년 이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환경단체는 트램 노선에 보존과 개발을 놓고 몇 년간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동해남부선 폐선구간이 포함되자 반발하고 있다.
<국제신문 3월 14일자 일부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