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짜르트는 요제프 하이든과 더불어 18세기 빈 고전주의 악파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오페라, 실내악, 교향곡, 피아노 협주곡 등 여러 양식에 걸쳐 방대한 작품을 남겨 전시대를 통틀어 음악의 천재 중 한 사람으로 알려졌다. 짤츠부르크에서 태어나 빈에서 사망했다. 그는 바이올린 연주자이자 작곡가인 레오폴트 모차르트(1719-87)의 아들이다. 그와 그의 누나인 마리아 아나(1751-1829)는 음악적 재능이 아주 뛰어났다. 1762년 레오폴트는 그의 어린 아이들과 유럽 음악 여행을 시작하였다.
모차르트는 첫번째 음악 여행(1762-69)에서 프랑스와 잉글랜드에 갔는데, 그곳에서 그는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를 만났고 거기서 그의 첫번째 교향곡을 썼다. 이탈리아 여행(1769-74)에서 그는 처음으로 요제프 하이든의 현악 4중주를 보았고 첫번째 이탈리안 오페라를 썼다. 1775-77년 그는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과 첫번째 피아노 소나타를 작곡했다.
그의 어머니가 1779에 죽자, 그는 궁정 오르간 연주자로서 잘츠부르크로 돌아왔고, 1781년 정가극 〈이도메네오 Idomeneo〉를 썼다. 1781년 그는 대주교와의 갈등으로 쫓겨났다. 모차르트는 그의 친구들과 함께 베버가로 옮기고, 비엔나에서 그의 독립적인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그는 콘스탄체 베버와 결혼하였고, 〈The Abduction from the Seraglio〉(1782)와 많은 그의 위대한 피아노 협주곡을 썼다. 1780년대 후반 〈피가로의 결혼 Le Nozze di Figaro〉·〈돈 조반니 Don Giovanni〉·〈코지 판 투테 Cosi fan tutte〉등의 작품으로 그는 최고의 성공을 거두었다. 모차르트는 35살에 병으로 죽었는데, 이처럼 짧은 생애 동안 위대한 업적을 남긴 작곡가는 없다. 모차르트의 아버지 레오폴트는 작곡가이자 잘츠부르크 대주교 악단의 부악장이었으며 어머니 아나 마리아(결혼 전 성은 페르틀)는 장크트 길겐 출신인 공무원의 딸이었다.
그들 사이에는 7명의 자녀가 있었지만 그 가운데 1751년 7월 30일에 태어난 딸 마리아 아나(나네를로 알려졌음)와 볼프강(모짜르트)만이 살아 남았다. 모차르트는 요아네스 크리소스토무스 볼프강구스 테오필루스라는 긴 이름으로 영세를 받았지만 테오필루스가 독일어로는 Gottlieb, 라틴어로는 Amad였기 때문에, 후에 그는 자신의 편지나 작품에 W. A. Mozart, 혹은 Wolfgang Amad Mozart라는 이름으로 서명했다.
볼프강과 누이는 어려서부터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보였으며 아버지로부터 체계적인 음악 교육을 받았다. 레오폴트 모짜르트는 비록 바이올린 연주자나 작곡가로 명성을 떨치지는 못했지만 볼프강이 태어나던 해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처음 출판한 그의 이론서 〈기본 바이올린 교습법 시론 Versuch einer gründichen Violinschule〉은 그가 죽고 오래지 않아 세계 각국어로 출판되었다. 1778년 2월 16일에 레오폴트가 아들에게 보낸 편지는 모차르트의 어린시절을 가장 정확하게 묘사하고 있다.
"어린시절 너는 어린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어른스러웠으며 네가 클라비어에 앉아 있거나 음악에 몰두하고 있을 때면 아무도 감히 너에게 농담조차 걸 수 없었다. 심지어 너무나 엄숙한 너의 연주와 일찍 개화한 너의 재능과 생각에 잠긴 진지한 네 작은 얼굴을 지켜보았던 여러 나라의 많은 사람들은 네가 오래 살 수 있을지 걱정했다."
5세에 볼프강은 미누에트와 소품들을 작곡하기 시작했으며 하프시코드와 바이올린을 능숙하게 연주하게 되었다.
1770년대말경 점차 공개적인 바이올린 연주와 피아노 협연을 그만두었으며 그때 이미 정상급의 대가가 되어 있었다. 레오폴트는 시골 잘츠부르크에서보다 두 자녀의 재능을 여러 사람들에게 보일 수 있고 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볼프강과 나네를에게 여러 차례 유럽 여행을 하도록 해 따로 또는 함께 연주할 기회를 마련했다.
★Burg(부르크)는 독일어로 성, 마을, 도시를 가리킨다. 부르크는 특히 성과 그 안에 있는 도시를 가리킨다. 슬라브어권의 그라드와 거의 비슷하게 인식되는 단어이다. 실제로 독일과 러시아가 역사적으로 전쟁을 할 때마다 몇몇 도시들은 점유자가 바뀌면서 그 이름이 바뀌는 경우가 있었다. 지명으로 많이 쓰이는 유사한 발음의 단어로 베르그(Berg)와 브루크(bruck)가 있는데, 베르크는 독일어로 산이라는 뜻으로 어원은 같으나 도중에 단어가 분화되어 뜻이 다르며, 브루크는 다리라는 뜻이다. 잘츠는 salt,소금을 의미하는데 이곳이 옛날부터 소금 산지였기 때문에 붙여진 지명이다.
심 산
장크트 길겐마을(St. Gilgen)▼ ,한국 관광객이 많은 곳으로 길가의 태국기가 반갑다▲
모짜르트 외가▼
잘츠부르그 전경,작지만 아름다운 도시 풍경▼
멀리 알프스의 흰눈이 인상적이다▼
모짜르트 생가 ▼
짤츠부르크 게트라이데 거리 ▼
토마젤리 카페 ▼
호엔짤츠부르크 성채 ▼
잘츠부르크 대성당▼
대성당 성모마리아상 ▼
호엔 짤츠부르크 성채 ▼
모짜르트 동상▼
카피텔 광장 ▼
레지덴츠궁 광장의 종탑 ▼
레지덴츠궁 광장의 종탑, 분수대 ▼
모짜르트 동상▼
모짜르트 초코렛 마켓 , 이곳에는 여기저기 많은 모짜르트 초코렛 가게에서 판촉을 한다. 모짜르트가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은 음악가이기는 하지만 초코렛 판촉에 이용하는 것은 좀 씁쓸하다. ▼
짤츠부르크 미술관▼
박물관▼
신시가지▼
The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