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과 콘크리트의 재료를 일체화시켜 각각의 장·단점을 보완한 구조를 말한다.
즉, 철근 콘크리트 조는 철근으로 보강한 콘크리트를 말하는 것이다.
흔히 RC(Reinforced Concrete)조라 부른다. 형태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고, 고층주택이나 지하층 만들기에 유리하다. 또 재료가 풍부하고 구입이 용이하다. 공동주택에 많이 이용하고 있다. 내화성·내구성·내진성·풍압 등에 강하나, 중량이 무겁고, 공사비가 비교적 많이 든다. 형태의 변경이나 파괴, 철거가 어렵고 재료의 재사용이 어렵다. 또 시공 때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 흠이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69C33E5660E10723)
![](https://t1.daumcdn.net/cfile/cafe/267D7A335653F77205)
S.R.C조 (Steel Reinforced Concrete)
SRC조는 철골부재의 주위를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한 것으로 RC구조보다 끈기가 있고 고층건축에 채용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40CA43C5653F79318)
![](https://t1.daumcdn.net/cfile/cafe/251743445660E14917)
라멘조 (Rahmen construction)
구조형식에 따른 분류로 보기둥구조(Beam & Column Structure) 라고도하며 기둥,보,바닥으로 구성된 구조로 각부재간 강접(Moment Connection)으로 횡력에 저항토록하는 방식이다
즉 바닥 슬래브의 적재하중과 고정하중이 보를통해 모아저서 기둥으로 전달되고 기둥을타고 내려가 기초와 지반으로 하중이 전달되는 일반적이고 전통적인 구조방식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7576455660E19910)
벽식구조 (Wall construction)
구조형식에 따른 분류로 기초,바닥,벽으로 구성된 구조다
형틀(거푸집)속에 철근을 조립하고 그사이에 콘크리트를 부어 일체식으로 구성하는 철근콘크리트 벽식구조다.
이는 벽체가 기둥 역할을 하여 상부의 바닥슬래브 하중이 하부의 벽을타고 내려가 기처 및 지반에 전달된다. 일반적인 아파트의
내력벽이 이런구조이다.
무량판구조 (Mushroom construction)
건축구조의 구조형식에 따른 분류로 , 수직재의 기둥에 연결되어 하중을 지탱하고 있는 수평구조 부재인 보(beam)가 없이 기둥과 슬래브(slab)로 구성된다. 건축구조를 건물에 작용하는 힘에 저항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때, 축하중에 의한 구조방식 중의 하나이다.
본래 교량건설에 사용되는 방식으로, 평판바닥구조 또는 플랫슬래브구조라고도 한다. 슬래브란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바닥을 말하는데, 슬래브에 발생하는 하중이 곧바로 기둥을 통하여 바닥에 전달되어 지반으로 내려가도록 하는 방식이다.
보를 설치하기 위하여 50∼70㎝의 공간을 별도로 확보하지 않아도 되므로 층의 높이를 줄일 수 있으나 대신 두께가 두꺼운 슬래브가 필요하다. 특히 기둥 주위의 슬래브를 구멍내거나 절단하려는 힘이 크게 작용하므로 기둥 주변 슬래브를 보강해야 한다. 주로 철근콘크리트구조에 적용된다. 한편, 슬래브에 발생하는 하중을 보로 모은 뒤 각 기둥에 전달되도록 하는 구조를 보기둥구조라고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22B983A5653F7CA18)
불에 구운 벽돌로 쌓아 축조한 구조를 말한다.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에 많이 이용하며 외벽치장에 쓴다. 과거에는 벽돌조라 하면 연와조를 말했으나, 시멘트 벽돌이 생산되면서 벽돌조는 연와조와 시멘트벽돌조로 구분하게 되었다. 블록조와 다르다.
연와조는 벽돌 구조의 한 종류이다.
재료에 의한 벽돌 구조에는 시멘트 벽돌조와 연와조(붉은벽돌)구조로 나누어 진다.
벽돌 구조중에 붉은 벽돌 즉 진흙등으로 만들 벽돌을 1차 가열(소성)을 해서 만든 벽돌을 일반적으로 예전에 연와조라고 하였다.
쉽게 설명하면 집을 짓는데 일부 시멘트 벽돌과 붉은 벽돌을 이용하여 벽을 쌓고 지붕공사는 시멘트 기와를 이용하여 일부를 공사하고 슬라브(옥상이 있고 지붕 형태가 평평한 형태)로 지어진 집이라 생각하면 된다.
요즘 일반주택의 가장 보편적인 형태라 볼 수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246A3F5660E1D922)
벽돌조
외벽을 시멘트벽돌로 쌓은 후 화장벽돌, 각종 타일 또는 몰탈을 바른 것을 말하되, 칸막이 벽은 목조로 한 경우도 있으며, 지붕․바닥 등은 목조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한 경우도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691A435660E22027)
블럭조
주체인 외벽의 재료가 시멘트블럭 또는 시멘트콘크리트 블럭으로 된 구조를 말하며 칸막이벽, 지붕, 바닥 등은 시멘트벽돌조와 같이 할 수도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409D6335653F8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