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3살 되는 아들의 엄마입니다. 최근 아들의 행동 때문에 너무 답답합니다. 어느날 아들이 와서 자기 방이 더럽다고 말합니다. 훈육하기 좋은 때라 생각 하여, 아들에게 치우라고 말하자, 싫다고 말하며 엄마가 치우라고 합니다. 스스로 방을 치우는 것에 대한 책임감에 대해 말해주고, 이제 스스로 방을 치워야 한다고 아무리 설득해도 듣지를 않습니다. 잔소리하지 말라고, 왜 시키냐고 오히려 화를 냅니다. 방 뿐만이 아니라 다른 문제에서도 아들이 스스로 일을 하지 않고 부모님을 시키고, 그것을 너무나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것 같습니다. 아들이 너무 이기적인 것 같아 걱정입니다.
자기중심적/이기적인 아이
미국의 한 심리 상담사 및 심리학자 칼 픽카르트 은 부모가 자식을 미워하는 가장 흔한 이유 중 하나로 아이의 이기심을 뽑았습니다. 부모들이 지쳐하거나 힘들어하며 "부모-자녀 관계는 주기만 하고 받는것이 없는 관계인 것 같다"고 이야기 한다고 합니다. 아이들은 청소년이 되고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독립적으로 자라나게 되며, "나"라는 개념을 점차 키워나가게 됩니다 (Pickhardt, 2012).
그는 자녀가 이기적으로 변하고, 그로 인해 지치는것에 대한 부모의 책임을 말합니다. 아이들을 일방적인 소통으로 대했고, 쌍방의 관계가 이뤄지지 않았으니, 그로 인한 책임을 지는것이라 주장합니다 (Pickhardt, 2012).
그는 부모가 자녀에게 느낄 수 있는 것은 자녀에게 사랑을 주는것, 아이들이 사랑을 받는것, 자녀가 올바르게 자라는것, 부모로써의 역할의 확립, 아이와 함께 있는것, 다음 세대의 아이들을 키우는것에 책임감과 행복을 느끼는것이라고 말합니다. 자녀들은 자라면서 독립적으로 변하고, 자아를 찾아나서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점점 더 까다로워 질 수 있습니다 (Pickhardt, 2012).
그때 부모가 느끼는 미움이나 회의감은 좋은 신호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아이와 상호적인 관계를 다시 만들 신호입니다. 상호적인 관계는 서로가 관계를 위해 어느정도 노력을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Pickhardt, 2012).
자기중심성 (Egocentrism)
미국심리학회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은 자기중심성을 타인의 필요, 생각, 영향 보다는 자신의 필요, 생각, 영향을 생각하고 강조하는 성향이라고 정의합니다 (n.d.). 피아제의 이론에 의하면 자기중심성은 상황을 오직 자신의 관점에서만 받아드리며, 타인도 같은 상황을 자신과 동일하게 자각하며, 그 상황이나 일로 인해 느끼는 감정, 생각, 행동 또한 타인과 자신이 똑같을 것이라 믿는 성향이라고 말합니다 (n.d.). 간단히 생각하면 자기중심성은 타인의 생각, 감정, 관점을 생각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기중심적 사고는 자연스러운 사고방식입니다. 이는 단순히 한 사람은 그 사람의 시선으로 세상을 자각하고 바라보며, 타인이 똑같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Whitbourne, 2012).
장 피아제 (Jean Piaget)는 스위스 아동심리학자로, 특히 인지적 발달에 집중하였는데, 그가 한 자기중심성에 대한 연구는 아이들이 타인의 시선을 고려하기 어려워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실험에서 아이들은 하나의 산을 가운데 두고 반대편에 있는 사람에게 자신이 보는 산을 설명해야 합니다. 반대편에 있는 사람은 산에 막혀 자신이 보고 있는 것을 볼 수 없지만, 아이들은 이러한 상황 – 타인의 관점 - 을 고려하지 못하고 자신이 보는것만 말합니다. 매우 간단한 일처럼 보이지만 놀랍게도 8세 이전의 아이들은 이 활동을 어려워했다고 합니다 (Whitbourne, 2012).
청소년 자기중심성에 집중한 아동심리학자인 데이비드 엘킨드 (David Elkind)는 상상속의 관객(imaginary audience)이라는 말을 만들었는데, 이 또한 자기중심성의 하나입니다. 상상속의 관객은 사람들, 특히 청소년들이 어떤 행동이나 생각에 대해 친구들이 어떻게 반응할지에 대해 미리 생각하거나 상상하는 것을 말합니다.
상상속의 관객은 성인이 되어서도 완전히 벗어나기 어려운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춤을 처음 배우거나, 어떤 행동을 할 때 모두가 자신을 본다고 생각되어 어색해하거나 부끄러운적이 있었을 것입니다 (Whitbourne, 2012).
다른 형태의 자기중심성은 유사성 유추(assumed similarity bias)가 있습니다. 이는 그럴만한 이유나 증거가 없음에도 타인이 자신의 생각과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다고 유추하는 것을 말합니다 (Whitbourne, 2012).
자기중심성은 일상에서도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우리가 타인에게 무엇인가를 설명할 때도 나타납니다. 우리는 상황이나 지시를 내리기 위해 설명할 때 디테일 적인 부분이 부족하여 타인에게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거나, 자신은 충분히 설명했다고 생각하지만 타인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종종 자기중심성으로 인해 타인이 자신만큼의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추정하기 때문입니다 (Whitbourne, 2012).
자기도취증/자기애성인격장애 및 이기심
(Narcissism/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nd Selfishness)
이기심과 자기중심성의 차이점은 자기중심성은 남의 생각이나 관점을 보지 못하는 것이라면, 이기심은 봤음에도 불구하고 신경 쓰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자기중심성이나 이기심이 과할 경우 자기도취증이거나 자기애성인격장애로 진단되기도 합니다 (n.d.).
미국심리학회는 이기심을 타인에게 피해가 되더라도 오직 자신의 이득만을 위해 행동하는 성향이라고 정의합니다 (n.d.).
그리고 자기도취증을 과장된 자기애 또는 자기중심성으로 정의합니다 (n.d.).
자아도취증이 심해질 경우 자신의 방식대로 남들이 보지 못하거나 행동하지 않으면 짜증내거나 분노를 표현하기도 하며, 타인을 이용하는 상황까지 발전하게 됩니다 (Whitbourne, 2012).
자아도취증이나 이기심은 성격적인 부분이 있어 선천적인 요인이 없다고 할 수 없지만, 환경적인 영향으로 인해 강화되기 때문에 후천적인 영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Whitbourne, 2012).
예를 들어 습관적으로 지각하는 사람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이 사람은 자신의 지각으로 인해 타인이 불편함을 겪는 상황을 마주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상황에 있던 사람들 중 그 누구도 그 사람을 탓하거나 책임을 지게 하지 않았습니다. 이 사람은 자신이 지각을 해도 아무런 부정적인 영향을 자신이 받지 않으며, 어떤 책임도 지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러한 경험은 이 사람의 이기적인 행동을 강화하게 됩니다 (Whitbourne, 2012).
자아도취증은 관심을 바랍니다. 자아도취증으로 인해 일어나는 행동들은 대부분 주목을 받게 합니다. 지각 또한 주목과 관심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럴 때 지적이 없다면 주목받는 행동이 강화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주목받는 상황에 그 사람은 자신의 자존감을 의존하게 합니다. 이렇게 되면 지속적으로 주목받는 상황을 원하게 됩니다 (Whitbourne, 2012).
애착관계와 자기도취증/자기애성인격장애의 관계
미국의 170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불안정 애착관계와 이후 아동의 자기도취증/자기애성인격장애 및 범죄 행동의 관계를 보고하였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아동의 나이가 3세일 때 주양육자와의 애착관계를 측정한 후, 이후 15세에 자기도취증/자기애성인격장애 수치를 검사하고, 이 둘의 상관관계를 계산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성별, 인종, 문화와 관계없이 불안정 애착관계를 가진 아이들의 자기도취증/자기애성인격장애 수치가 더 높았다고 합니다. 불안정 애착관계는 9세 이후 문제 아동과의 교류와 연관되어 있다고도 발표 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불안정 애착관계의 직접,간접적인 영향을 모두 의미합니다 (Walters, 2019).
청소년 부모-자녀 관계속의 자격에 대한 감각
(Sense Of Relational Entitlement Among Adolescents Toward Their Parents)
자격에 대한 감각(sense of entitlement)은 영아기 부터 부모의 반응속도나 관계에 따라 규정됩니다. 자격에 대한 감각의 강도는 애착관계 및 양육자와의 친밀감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이렇게 친밀한 관계 내에서는 친밀하지 않은 관계보다 높은 자격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만들며, 그 친밀한 타인에게 더 높은 기대치를 만들고, 더 많이 원하게 하며, 더 많이 필요하게 합니다. 그리고 부모-자녀 관계속의 자격에 대한 감각은 여기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감각은 일생동안 아이의 행동에 영향을 주며, 부모-자녀 관계에서 양측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있습니다 (Tolmacz, Efrati, & Ben-David, 2016).
자격에 대한 감각을 자아도취증과 비슷한 분류로 놓는 경우가 많지만, 이 둘의 차이점은 최근 다양한 연구에서 입증되고 있습니다. 가장 특징적인 차이점으로는 자존감이 있습니다. 자아도취증의 경우 과장된 자존감을 특징으로 하지만 자격에 대한 감각이 높은 경우는 오히려 낮은 자존감, 어렷을적 잘못된 처우, 장애 및 보상심리와 연관성을 보입니다 (Tolmacz, Efrati, & Ben-David, 2016).
자격에 대한 과장된 감각(exaggerated sense of entitlement)은 우울증, 불안감 등의 정신질환과 상관관계를 보입니다. 또한, 낮은 자기 효능감, 감정적 문제에 대한 높은 성향, 낮은 부정적 감정조절 능력과도 연관성을 보입니다 (Tolmacz, Efrati, & Ben-David, 2016).
이 연구에서는 자격에 대한 감각을 주장적, 과장적, 그리고 제한적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주장적 자격에 대한 감각은 타인에 대해 무엇을 바라도 되는지에 대해 현실적으로 생각하여 자신이 원하는 것을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과장된 자격에 대한 감각은 타인의 생각이나 감정을 무시하고 자신이 원하거나 필요한 것은 모두 가질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제한된 자격에 대한 감각은 자신의 자격을 의심하여 자신이 필요하거나 원하는 것을 타인에게 말하는 것을 주저하는 것입니다 (Tolmacz, Efrati, & Ben-David, 2016).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속의 자격에 대한 감각 연구는 과장되거나 지나친 자격에 대한 감각을 연구하였습니다. 과장되거나 지나친 자격에 대한 감각은 역기능적 사회적 행동, 욕심, 공격성, 낮은 윤리관, 낮은 경제적 책임감, 그리고 타인의 안녕 (well-being)에 대한 낮은 관심과 연관되어 있다고 합니다 (Tolmacz, Efrati, & Ben-David, 2016).
하지만 건강하거나 타인을 착취하지 않는 자격에 대한 감각은 높은 자존감, 높은 행복도, 적은 병리적 증상과 연관되어 있다고 합니다 (Tolmacz, Efrati, & Ben-David, 2016).
이기적인 아이, 부모님을 위한 팁
##1 아이 앞에서의 행동에 주의해 주셔야 합니다. 인도 아이들과 미국 아이들이 어른들의 선행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두 나라의 아이들 모두 어른들의 행동에 영향을 받았다고 합니다. 이 연구에서, 어른들은 아이들 앞에서 기부를 하였는데, 한 그룹은 ‘구두쇠’로, 다른 그룹은 ‘통이 큰’ 기부를 하였습니다. 이를 본 아이들은 뒤로 가 남들이 보지 않는 곳에서 기부를 진행하였습니다 (Blake, et al, 2016).
두 나라의 아이들 모두 ‘구두쇠’ 그룹에는 영향을 받았지만, ‘통이 큰’ 그룹에는 인도 아이들만 영향을 받았다고 합니다 (Blake, et al, 2016). 이는 곧 부모님들의 이기적인 행동에 아이들이 영향을 받고, 따라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문화적 차이를 들여다 본 연구이지만 배울 수 있는 점이 있습니다. 아이들은 어른들을 모델로 삼고, 행동을 따라합니다. 특히 나쁜 행동은 쉽게 보고 따라한다는 것을 의미 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들 앞에서는 행동에 주의 하셔야 합니다 (Blake, et al, 2016).
##2 타인의 감정에 집중할 수 있게 도와주세요.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그 사람들은 무엇을 느끼고, 무엇을 생각하는지 알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이입하여 듣는 연습을 도와주거나, 공감 및 경청 훈련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의 관점을 키워 안에서 밖 뿐만 아니라 밖에서 안을 볼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Whitbourne, 2012).
##3 자존감을 키워줘야 합니다. 이기적인 행동은 다양한 원인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자존감이 특징인 자아도취증과 다르게 자격에 대한 감각 같은 경우, 낮은 자존감 및 보상심리를 원인으로 보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타인의 시선에 의존하거나, 타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스로 자존감 및 자신의 가치에 대한 기준을 설립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이러한 기준을 통해 올바른 가치 및 성취를 통해 자기 자신을 보상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Whitbourne, 2012).
##4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 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이기적인 행동은 가족관계를 해치기도 하며, 그 원인이 매우 다양합니다. 원인에 따라 그 영향이 이기적인 행동 뿐만 아니라 우울증이나 불안감으로 키워질 수 있기 때문에 가정에서의 지도로 상황이 나아지지 않는 다면 전문가와의 상담 및 치료를 통해 도움을 받으시길 권해드립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 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n.d.).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Selfishnes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n.d.).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Egocentrism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n.d.).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Narcissism
Whitbourne, S. (2012). Its Fine Line Between Narcissism and Egocentrism. Psychology Today. Retrieved from https://www.psychologytoday.com/intl/blog/fulfillment-any-age/201204/it-s-fine-line-between-narcissism-and-egocentrism
Blake, P., Corbit, J., Callaghan, T., & Warneken, F. (2016). Give as I give: Adult influence on children’s giving in two cultures.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152, 149-160.
Walters, G. (2019). Early attachment and narcissistic entitlement: Tracing the roots of adolescent proactive criminal thinking. Journal of Developmental and Life-Course Criminology, 5, 266–285.
Tolmacz, R., Efrati, Y., & Ben-David, B. (2016). The sense of relational entitlement among adolescents toward their parents (SREap) e Testing an adaptation of the SRE. Journal of Adolescence, 53, 127-140.
Pickhardt, C. (2012). Parental Resentment Toward a Self-Centered Adolescent. Psychology Today. Retrieved from https://www.psychologytoday.com/us/blog/surviving-your-childs-adolescence/201212/parental-resentment-toward-self-centered-adolescent
사진출처: pixabay (재사용가능)
작성자: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목동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