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07년 러시아 언론을 통해 소개되어 화제를 불러모았던 '시베리아 요새 섬'.
Por-Bajin(또는 Por-Bazhyn) Fortress는 작은 섬 전체가 고대 요새처럼 보인다.
최근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이 Por-Bajin에 관한 기사를 실어 눈길을 끌고 있다.
'역사학자들의 논쟁이 된 고대 요새 : 1300년전 시베리아 요새 섬이 왜 지어졌고, 왜 파괴됐는지 아무도 모른다'라는 제목의 기사이다.

Por-Bajin이 최초 발견된 시기는 1891년이지만 세상에 널리 알려지면서 심층연구에 들어간 시기는 2007년도이다.
3.5헥타르 면적의 요새 섬은 몽골 국경 인근인 러시아 남시베리아 투바공화국의 Tere-Khol 호수 위에 자리잡고 있다.
이 호수는 사얀산맥과 알타이산맥 사이에 있다.
참고로 투바어인 Por-Bajin은 '진흙 집(clay house)'을 뜻한다고 한다.

Por-Bajin은 약 1300년 전 위구르제국 'Uighur Khaganate(744~840년)'시기에 건설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군사적 목적의 요새로 지어졌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전문가들의 의견도 분분하다. 여름궁전,수도원,사원,천문 관측지 등등...어느 것도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

과학자들은 3.5헥타르의 땅의 3D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 레이저 맵핑을 사용할 수 있었다.
이곳 건축은 중국 전통 건축에서 힌트를 얻어 건축 재료를 사용했다.
돌 기초 위에 36개의 나무기둥을 세웠고 타일 지붕을 올린 것으로 보인다.
이곳 많은 벽들은 두 부분으로 분리된 안뜰에 있는 주요 구조와 함께 잘 보존되어 있다.

아직도 미스터리로 남은 점은 왜 지어졌는지와 사라졌는지이다.
학자들은 지금도 이점에 대해 뜨거운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위구르제국 시기에 한반도는 북쪽으로 발해(698~926년)가, 남쪽에는 신라가 있었다.
Por-Bajin을 건설한 위구르와 발해와의 관계도 궁금해진다.
사실 지난해(2014년) 발해유적지에서 위구르계 토기가 발견된 바 있다.
러시아 연해주 일대의 7~10세기 발해유적지에서 이 유적과 2000km이상 떨어진 중앙아시아의 위구르 양식 토기(아래 사진)가
나왔다고 해서 화제가 된 것이다.
